Q. 메타버스가 붐이라던데 정말 미래의 일상으로 자리매김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메타버스가 요즘 많이 주목받고 있고, 학교나 회사에서도 도입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지만, 말씀하신것처럼 현실적인 한계도 분명히 있습니다. 우선 메타버스는 가상공간에서의 활동을 뜻하는데, 이게 꼭 vr 헤드셋을 써야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요즘은 그냥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접속해서 회의하거나 수업듣는 것도 메타버스의 일종으로 보는데요. 다만 진짜 몰입형 메타버스를 말할 땐 vr이나 ar을 떠올리게 되는데, 여기서 마한 것 처럼 기기가 무겁거나, 오래 쓰면 어지럽고 피로한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아직까지는 현실을 완전히 대체하긴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특정한 상황에서는 메타버스가 분명히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코로나 때 처럼 직접 만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가상공간이라도 함께 모여서 일을하거나 공부할수도 있고, 박람회나 전시같은 것도 멀리서 체험할 수 있다는 점은 유용합니다. 또 실제로 공간을 빌리는 비용 없이 교육이나 회의를 할 수 있는 장점도 있어서 기업들이 관심을 갖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는 아직 메타버스가 일상을 완전히 대체하긴 어렵지만, 일부 영역에서는 실용적인 보조 수단으로 자리잡아 가는 중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앞으로 기술이 더 발전하고 기기 사용도 편해지면 지금보다 더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는 있겠지만, 당분간은 현실을 완전히 대체하긴 어렵고 보완제 역할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Q. 물체에 전기가 흐르면 그 물체에 무게도 증가하나요?? 아니면 무게가 증가하지 않나요?? 증가할꺼 같긴한데 어떤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전기가 흐른다고 해서 물체의 무게가 눈에 띄게 증가하지는 않습니다. 전기가 흐른다는 것은 전자가 이동하고 있다는 뜻인데, 이 전자들은 엄청나게 작고 가볍습니다. 실제로 전기흐름에 따라 물체에 포함된 에너지가 아주 조금 증가하긴 하지만, 그 차이는 너무 작아서 일반적인 저울로는 전혀 측정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쉽게 말하면, 이론적으로는 아주 미세하게 무게가 늘어날 수는 있어도 사실상 무게가 늘어난다고 보긴 어려운 수준이고, 일상생활이나 전기공사, 실험 등에서 전기가 흐른다고 해서 무게가 바뀌었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그래서 전기가 흐르면 물체에 무게가 증가하나요? 라는 질문에는 이론적으로는 아주 미세하게 증가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무게 변화가 없다고 봐도 됩니다
Q. 건물 현장에서 파란배관 노란배관 초록배관 빨간배관 이렇게 색을 나누던데 왜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건설 현장에서 파이프나 배관 색을 다르게 칠하는 이유는 한눈에 어떤 용도인지 구별하기 위해서 입니다. 예를 들어서 파란색은 수도, 빨간색은 소방, 초록은 환기, 노란색은 가스 같은 식으로 정해두면 나중에 공사나 점검할 때 헷갈리지 않고 바로 알아볼 수 있어서 훨씬 효율적입니다. 처음 보면 색이 여러 가지라 정신없어 보일 수 있지만, 전기나 설비 일을 오래 한 사람들은 이 색만 봐도 어떤 배관인지 바로 알 수 있어서 훨씬 편하다고 느낍니다. 예를 들어 벽을 뜯지 않고도 빨간 배관이 보이면 여기는 소방라인이구나 하고 바로 판단 할 수 있는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색 구분은 사실 법이나 규정, 업체 기준에 따라 정해져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더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일부러 색을 다르게 쓰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는 보기 좋으라고 색을 나누는 게 아니라, 현장 작업자들이 빠르게 구분하고 실수를 줄이기 위해 색을 나눈것이라고 보시면됩니다.
Q. 와이파이 옆에 있는 화살표가 계속 깜빡거려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와이파이 옆에 있는 위아래 화살표가 깜빡이는 건 대부분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그 화살표는 스마트폰이 와이파이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고 있다는 표시인데요, 위쪽 화살표는 업로드, 아래쪽 화살표는 다운로드를 뜻합니다. 그래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거나, 백그라운드에서 앱들이 자동으로 데이터를 동기화하거나 광고 로딩, 알림 수신 같은 작업을 할 때도 이 화살표가 깜빡일 수 있습니다. 정전 이후 공유기를 다시 켜서 와이파이를 주의깊게 보게 되면서 평소에 못 느꼈던 부분이 눈에 띈것 같습니다. 만약 인터넷 연결 속도가 느리거나 끊김이 자주 생기는 게 아니라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고, 깜빡거림 자체가 기기 이상이나 오류는 아닙니다. 다만 평소보다 너무 자주 깜빡이면서 속도도 느려졌다면 공유기를 재부팅하거나, 연결된 기기 수를 확인해 보는것도 좋겠습니다. 요약하자면 깜빡거림 자체는 데이터 송수신이 잘 되고 있다는 의미라서 정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