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전찬일 전문가
서울교통공사
Q.  뇌파로 컴퓨터 조작하는 시대가 오게 되면 주변장치 중 하나인 키보드는 아예 없어질까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뇌파로 컴퓨터를 조작하는 기술은 BMI라고 불리며 요즘 실제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생각만으로 커서를 움직이거나, 간단한 명령을 내리는 실험들은 이미 성공한 사례도 많습니다. 하지만 이 기술이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키부드가 완전히 사라지긴 어렵다고 보는 의견이 많습니다. 이유는 몇가지가 있는데요. 뇌파는 지금도 정확도나 속도면에선 아직까진 키보드를 따라가기 힘들다는것과, 뇌는 생각과 의도를 항상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예들어 내가 진짜로 삭제하려고 생각한건지 그냥 상상한 건지를 컴퓨터가 구별하기가 힘듭니다. 그래서 프라이버시나 오작동의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어떤 사람들은 단순하고 직관적인 도구를 선호합니다. 마우스나 키보드는 손으로 조작하는 느낌 자체가 익숙하고 안정감 있어서 일부러 그런 장치를 계속 쓰는 사람들도 있을것으로 예상합니다. 결론적으로는 뇌파 기술이 발전해도 키보드 같은 장치는 사라지기 보다는 선택지로 남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손을 못 쓰는 사람이나 특별한 작업엔 뇌파기술을 쓰고,, 일반적인 사람들은 키보드와 같이 병행하거나 상황에 따라 선택하는 사용 방식이 될 것 같습니다
Q.  전기와 이온과도 관계가 많은것인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네 전기와 이온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이온이라는 것은 전기를 띈 입자인데요. 예를 들어 전자 하나를 잃어버리면 플러스 이온이 되고 전자를 하나 얻으면 마이너스 이온이 됩니다. 이런이온들은 물속이나 다른 액체 속에서 전기를 흐르게 하는 주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소금물을 전기로 흐르게 하면 전류가 흐르는데, 이건 소금이 물에 녹으면서 생긴 이온들이 움직이면서 전기를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배터리도 내부에서 이온이 왔다갔다 하면서 전기를 만드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이온이 없으면 전기 흐름도 못만듭니다. 그래서 쉽게 말하면 이온은 전기가 흐르도록 도와주는 핵심적인 입자라고 보시면 됩니다
Q.  ktx 밑 레일에 닿으면 감전되나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우선 ktx나 일반열차의 레일에는 전기가 흐리지 않기 때문에 레일에 닿아도 감전되지않습니다.우리가 흔히 보는 한국의 철길, 즉 두 줄로 깔린 철제 레일은 기차가 달리는 길일 뿐이지 전기가 흐르는 부분이 아닙니다. 전동차나 ktx같은 고속열차는 전역을 위쪽에 있는 전차선으로 부터 공급받습니다. 이 전차선에는 최소 수천 최대 수만볼트의 고압 전기가 흐르고 있어서 거기에 닿으면 정말 위험하지만 바닥의 레일에는 그런 전기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감전되진않습니다. 물론 열차 밑으로 들어가는 행동은 매우 위험합니다. 기차는 커서 느려보이지만 보기보다 빠르며, 열차의 제동장치는 일반 자동차와는 달라서 제동거리가 비교적 길어 더 위험합니다. 당시에 레일에 손이 닿았더라도 레일 자체에는 전기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감전은 되지 않았을것이며 혹시나 비슷한 경우가 생기시면 역무원이나 직원의도움을 요청하는것이 좋습니다
Q.  자율주행 및 AI가 발달하면서 데이터센터가 많이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네 자율주행이나 AI가 발전할수록 데이터센터의 중요성과 수요는 계속늘어나고있습니다. aI나 자율주행시스템은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저장해야하는데, 이걸 빠르고 안정적으로 처리하려면 고성능 컴퓨터가 모여 있는 데이터센터가 꼭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차는 도로상황 신호 차량 위치 같은 정보를 계속 주고받고 계산해야하는데 이걸 처리하는데도 ai와 데이터센터가 연결되어있습니다. 또한 ai모델을 학습시키는데에도 막대한 데이터와 연산이 필요해서, 이를 뒷받침해줄 데이터센터가 필수입니다. 그래서 요즘은 대기업이나 정부도 ai에 투자할 때 데이터센터를 같이 늘리고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ai가 두뇌라면 데이터센터는 그걸 움직이게 해주는 근육같은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됩니다.
Q.  번개를 이용한 전기생산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번개는 실제로 엄청나게 큰 전기에너지를 가지고 잇어서 이걸 이용해서 전기를 만들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번개를 이용한 전기 생산이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그이유로는 번개가 어디서 칠지 예측이 어려워 모으기가힘들다는점, 순간적으로 너무 큰 전류가 짧은 시간에 흘러서, 그걸 받아내고 저장할 수 있는 장비가 거의 없습니다. 기계가 다 타버릴 수도 있구요. 그리고 설사 번개를 받아낸다고 해도 양이 너무 적어서 실제로 전력 생산에 쓰기엔 비효율적입니다. 그래서 지금은 태양광 풍력 수력처럼 꾸준하고 안정적인 에너지원이 주로 쓰이고 있고, 번개는 아직 기술적으로 발전에 활용하기엔 어렵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16171819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