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15개월 아이에게 우유대신 먹여도될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말씀하신 15개월이 나이에 해당한다면 몸무게는 해당월령에서 하위 25퍼센타일에 해당합니다.평균보다 체중이 작긴 하지만 저체중(10퍼센타일 이하)은 아니므로급한 마음보단 인내심을 가지시고 우유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1. 우유에 대한 거부? 젖병에 대한 거부?완모하던 아이가 분유를 거부하는 경우 분유의 맛보다도 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런 경우엔 우유를 젖병에 주지 말고 바로 으로 먹여 보는 것이 좋습니다.소주잔 정도의 크기의 컵에 주시되 절대 아이의 입에 붓거나 넣지 말고아이 스스로가 맛을 보도록, 입근처에서 3-4cm 간격을 두고 든 채로 기다려 보세요.(여기서 핵심은 절대 아이가 호기심에 입을 대어보아야지, 급한 마음에 먼저 컵을 입에 갖다대어서는 안됩니다.)2. 정말로 아이가 우유 맛 자체를 싫어한다면이런 경우엔, 우유를 다른 음식을 함께 소량씩 섞어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과일을 갈아놓은 것에 우유를 소량씩 섞어 먹이다가 서서히 양을 늘리거나빵을 우유에 적셔 먹여보는 것도 좋습니다.(돌지난 아이는 빵을 먹어도 괜찮습니다.)다만, 딸기맛 우유나 바나나맛 우유는 절대 권하지 않습니다.이들은 실제 성분과 다른 로 만든 것으로우유와 비교해서 여러 성분이 빠지고 비타민도 대부분 파괴된 것입니다.가끔 이러한 환원유에 이라고 써져 있는데이는 환원유가 이 성분들을 포함하지 않고 있기고 인공적으로 넣은 것이라는 뜻으로첨가에도 불구하고 실제우유에 비해 30%-40%정도밖에 포함되지 않은 것입니다.(다른 영양소는 더 비교할 필요가 없겠지요)물론 딸기맛과 바나나맛도 실제 과일이 아닌 인공 감미료에 의한 것입니다.인공감미료가 든 환원유 대신처음에 양이 많지 않더라도 위에 말씀드린 방법대로 하시면서 서서히 양을 늘려가 보시기 바랍니다.대신, 우유량이 늘어날 때까지쇠고기 등의 붉은 색 육류를 갈아서 이유식으로 좀더 많은 양을 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Q. 남자아이 성기를 자주 만지는데 괜찮은가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소아가 성기를 만지는 경우는 성인의 자위와 원인 및 목적이 아주 다릅니다.즉, 성인은 성적 쾌감을 위해 자위를 하지만소아는 가지고 놀 게 없고, 외롭거나 심심할 때 자신의 몸의 감각을 사용해서 노는 행위입니다.우리 몸의 감각세포는 성기에 집중되어 있으므로그 모습을 보면 단지 성인의 시각에서 성적인 행위로 보일 뿐인 거죠.그러한 상황에서 아이에게 만약 직접적으로 중단하도록 지시하면아이는 별다른 내색이 없더라도 원인모를 수치감을 느끼는데그렇게 되면 숨어서 하게 되고, 또 들키면 수치감은 배가 되는 악순환이 일어납니다.만약 아이가 얼굴이 빨개지며 성기를 문지르고 있다면1. 먼저 이게 절대 성적인 행위가 아님을 부모님은 먼저 생각하셔야 합니다.2. 아이는 굉장히 심심할 뿐 아니라 외롭고 같이 놀 대상이 없어서 힘들어하는 상태임을알아주셔야 합니다.3. TV를 끄시고, 심지어 하던 일을 정리하신 후 아이에게 다가가가벼운 놀이부터 함께해 주세요.아이는 금세 중단한 뒤 부모님을 반짝이는 눈으로 바라보게 될 것입니다.그리고 가장 중요한 건, 아이에게 어떤 상황에서도 을 심어주셔서는 안됩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Q. 아이가 말을 잘 안듣는데 어떤훈육법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아이가 보채고 공격적일 때, 특히 낯선 이들의 눈치까지 봐야 할 상황이면정말 부모 된 입장에서 울고 싶기만 하죠.진료실에서도 이런 고민을 하시는 분들을 정말 많이 만나 뵙습니다.이럴 때 제가 주의 깊게 확인하는 건 입니다.만 3-4세(지금 딱 그 나이군요)엔 "분노발작의 시기"라는 공식 명칭까지 있습니다.말 그대로, 분노발작....관찰해 보시면 고함지르고 우는 아이들 대부분이 이 나이랍니다.원인이 여러 가지 있겠지만, 소아과에선 아이들의 언어발달이 뇌의 발달만큼 따라주지 않아 답답한 마음이 커져서라고 보는 의견이 주 입니다.즉, 를 떠올려 보시면 되는데요.지능발달만큼 언어발달이 따라주지 못하는 시기라할 말을 잘 할 수 있지 못해 아이가 고함치거나 소리를 지르는 걸로 표현하는 거죠.그렇다면, 이때 보호자분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위험한 행위일 때는 꼭 붙들고 못하게 해야 하나, 가벼운 상황에서도 그렇게 하는 건 권하지 않습니다.(꼭 붙잡는 건 아이에게 조금은 폭력적인 느낌을 받게 합니다.위험한 상황일 때만 꼭 안아주면서 괜찮아라고 말해주시면 더 좋습니다.)웬만한 경우 옆에서 기다려주시고(그 자리에서 모른 채 떠나버리거나 혼자 두는 건 절대 금기입니다.)왜 울었는지 하소연을 들어주시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기다렸다가 스스로 멈추면꼭 안아주기를 반복하시길 바랍니다.물론 힘드시겠지만, 아이 스스로 답답해서 오죽 힘들었을까 생각하시면서 다독여준다면아이는 크나큰 안정감을 가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