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정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전문가입니다.
정철 전문가
고려대학교 화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5월 23일 작성 됨
Q.
왜 고산으로 갈수록 산소가 줄어드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산소나 대기등도 중력의 영향을 받습니다. 주로 지표면 근처에서 머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높은 곳의 경우 중력의 영향이 지표면과 다르기 때문에 이로 인해 공기의 분포가 줄어들고 호흡시 산소가 부족하게 되어 고산병에 걸리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2023년 5월 23일 작성 됨
Q.
인간과 침팬지를 교배가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이러한 실험을 한적이 있다 없다를 가지고도 논란이 될만큼 여전히 많은 의문과 연구가 행하여지고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단순히 가능하다 불가능하다만 놓고 본다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이종교배와 그에 대한 성공사례들이 있기 때문에 영장류 라는 관점에서만 본다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화학
2023년 5월 23일 작성 됨
Q.
과탄산소다와 온수의 만남에서 나오는 연기는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과탄산소다의 경우 찬물에 잘 안녹습니다. 따라서 뜨거운물이나 따뜻한물에 용해하여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수산화 이온이 갑자기 온도가 높은 물에 의해 해리 되면서 기화할수 있습니다 .이 수산화 이온이 안좋은 영향을 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죽지는 않겠지만 호흡기나 눈등 수증기가 닿게 되는 곳에 안좋을 수 있습니다 .환기가 잘 되는 공간에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화학공학
2023년 5월 23일 작성 됨
Q.
지난해 말 우리나라 첨단소재 기업이 초고강도 탄소섬유 개발에 성공했는데요. 요즘 탄소섬유가 각광받는 과학적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효율성이 좋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금속과 비교시 금속보다 가볍고 금속보다 단단한 소재라면 그 활용도가 매우큽니다. 특히 이동수단의 경우 가벼울수록 연비가 좋아지지만 가벼운 차량은 사고시 위험할수 있습니다 .만약 가볍지만 단단한 탄소소재로 차량을 만들게 된다면 연비와 안전 두가지를 다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그외 섬유, 스포츠소재등 그 쓰임새가 많고 넓다고 할 수 있습니다.
화학
2023년 5월 23일 작성 됨
Q.
미세먼지와 황사는 어떻게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황사도 큰 틀 안에서는 먼지입니다 따라서 미세먼지나 황사나 비슷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차이점은 발생의 차이입니다. 황사는 자연발생된 먼지이고 미세먼지는 인간의 인위적인 활동에 의한 것입니다.
화학
2023년 5월 23일 작성 됨
Q.
송진이 굳은 상태를 '호박'이라고 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나무에서 나오는 송진이 땅으로 떨어져서 퇴적층내에서 오랜시간 고온, 고압의 조건하에서 생성되는 물질을 뜻합니다. 엄밀히 말해 보석은 아니지만 보석으로 간주됩니다. 강도는 일반적인 보석에 비해 낮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5월 22일 작성 됨
Q.
스스로 목숨을 끊어내는 생물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돌고래는 호흡을 스스로 멈추면서 가라 앉습니다. 전갈은 스스로 독침을 찌르며, 개는 주인의 무덤앞에서 스스로 굶어 죽기도 합니다. 이유는 인간의 이유와 유사하게 우울증이나 상실감, 자괴감등이 있을수 있습니다.
화학
2023년 5월 22일 작성 됨
Q.
석유와 석탄은 왜 다르게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석탄과 석유 모두 시간과 압력이 필요합니다. 석탄은 식물이 퇴적된 곳에서 만들어지고 석유는 생물이 바다에서 퇴적된 층으로부터 만들어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석탄은 탄소가 주 성분이며, 석유는 탄화수소가 주성분입니다.
전기·전자
2023년 5월 22일 작성 됨
Q.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차이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아날로그는 우리가 보고 듣고 느끼는 모든것을 아날로그로 뜻합니다. 디지털은 그 반대로 0과 1, 흑 과 백등 중간이 없고 좋고 싫고등 확실한 것을 말합니다.
생물·생명
2023년 5월 22일 작성 됨
Q.
꿀벌 개체수가 줄어들면 생기는 문제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식물은 풍생수와 충생수가 있습니다. 바람에 의해 번식하는 종과 곤충등에 의해 번식할수 있는 식물을 뜻합니다. 풍생수보다 충생수의 종류가 훨씬 많으며 그중 꿀벌이 대부분의 일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꿀벌이 없어지게 된다면 충생수중 대부분이 서서히 영향을 받게 될것이며 이로 인해 결국 그 피해는 인간에게 미치게 될것입니다.
416
417
418
419
4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