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정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전문가입니다.

정철 전문가
고려대학교 화학과
화학
화학 이미지
Q.  라이터를 던지면 펑 하고 폭발하던데 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액체처럼 보이지만 액체가 아닙니다. 기체인 가스를 압력에 의해 기체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휘발점이 낮고 기화가 잘되는 가스이지요이러한 가스가 담겨 있는데 충격을 주게 되면 조금이라도 불꽃이 생기게 되면 폭발합니다. 그리고 라이터 안에는 부싯돌이 있기 때문에 더욱 위험한 행동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에서 소행성이 지구에 떨어지면 왜 핵폭발만큼 파괴력이 커지는거죠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어느정도 규모가 되는 소행성 말그대로 소행성이어야 할듯 합니다. 단순히 조금큰 운석정도라면 그정도의 파괴력은 없을것입니다. 일단 그정도 파괴력을 낼 수 있다는 소행성이라고 가정하였을때 소행성이 지구로 올때의 속력이 있고 대기권에진입하면서 중력 가속도의 영향을 받게 되어 더욱 가속됩니다. 물론 대기권을 진입하면서 공기층의 저항을 받기는 하겠지만 이보다 무게와 속도가 더 크기 때문에 속도가 높을 것입니다. 힘은 속도 와 무게의 곱입니다. 이 수치가 커지면 커질수록 소행성이 가지게 되는 힘이 커지고 이 에너지가 폭발하게 되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랑니가 생기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랑니는 새롭게 생겨나기 보단 원래 가지고 있던 이빨이 날 시기가 되어 나는 것입니다. 물론 끝까지 안 나는 사람도 있습니다. 필요 없다기 보단 너무 안쪽이고 치아가 고르게 나지 못해 다른 치아의 성장이나 방향등에도 영향을 줄수 있기 때문에 제거하는 것입니다. 또한 사랑니가 있는곳은 칫솔질로 관리하기 어려운 부분이기도 하여 미리 제거 하기도 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배터리는 왜 계속 쓰면 성능이 떨어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배터리는 충전과 방전으로 에너지를 충전하고소모합니다. 이 충전과 방전 사이클이란것이 있습니다. 이게 지속적으로 동일하게 유지가 되면 좋겠지만 모든 부품이나 소모품은 영구적일수 없습니다. 배터리 자체 문제라기 보단 배터리를 구성하는 여러 부품들이 쉽게 말해 노화되고 그로 인해 충 방전 효율이 떨어지게 되어 수명이 점점 짧아지게 되는것입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격렬한 운동 후 차가운 물로 샤워를 하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격렬한 운동이나 근육운동을 하게 되면 평소에 사용하지 않던 근육을 사용하게 되거나 미세하게 근육이 손상되어 있을수도 있습니다. 이때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게 되면 오히려 부종이나 근육통을 심화 시킬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찬물 샤워도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운동후 미지근한 물로 샤워호 냉찜질을 하시는게 더 효과적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밤하늘에 붉은빛을 내는 별을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아마 화성이 아닐까 합니다. 화성의 표면은 주로 현무암과 안산암의 암석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두 가지는 지구 상에서 마그마가 지표 근처에서 굳어 생기는 암석이며, 포함된 이산화규소의 양으로 구별됩니다. 화성의 대부분의 지역은 미세한 티끌로 두께 수 m 혹은 그 이상 덮여 있습니다. 이 먼지들은 대부분 산화철로 되어 있어서 화성은 전체적으로 붉게 보인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초저녁 하늘에 유난히 반짝이는 별의 정체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서쪽하늘이라면 목성과 금성이 아닐까합니다보통 가장 밝게보이는 별을 북극성이라고 생각하곤하는데 사실 북극성은 도심에서 그렇게 밝게보이는 별은 아닙니다.물론 북극성도 충분히 밝은 별이지만 2등급대인 북극성과 달리 목성과 금성은 마이너스 대로 북극성보다 더 잘보입니다.목성보단 금성이 더 크고 반짝입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가끔 책을 보면 삼투압 현상이 나오는데 정확하게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삼투압이란 쉽게 말씀드려서 평형을 맞추기 위한 방법입니다. 물질막이다 세포막이다 이런저런 어려운 설명보단한쪽에만 어떤 물질이 있으면 근접해 있는곳으로 이동하게 되어 양쪽의 평형을 맞추기 위한 현상입니다. 이 물질이 수용성, 이온성등등 여러 가지 일수 있고 단순실험이나 세포내에서 일어날수도 있는 현상입니다. 다만 기본은 평형을 맞추기위해 일어나는 현상이라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뜨거운물이 더 빨리 언다는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이러한 현상에 대한 연구가 실제로 있었고 원인 분석이 있었습니다. 간단하게 말해 뜨거운 물에서 얼음으로가 차가운 물에서 얼음으로 갈때 보다 더 많은 열을 잃게 되기 때문입니다. 100 에서 0으로 가는것이 10에서 0으로 가는것보다 잃어버리는 에너지가 많고 이 에너지가 사라지는것이 아닌 얼음으로 변하는데 사용되어 진다고 생각하시면 더 많은 에너지가 뜨거운물에서 얼음으로 갈때 사용되어지기 때문에 더 빠르게 얼음이 된다는 것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더우면 왜 몸에서 땀이 날까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체온이 올라가면서 흘러내린 땀은 마르면서 다시 우리의 체온을 낮아지게 만듭니다. 더운곳 또는 운동으로 인해 땀이 나는 이유는 바로 체온을 낮춰서 원래의 체온으로 돌아가기 위한 자연스런 방법입니다.
5315325335345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