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정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전문가입니다.
정철 전문가
고려대학교 화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19일 작성 됨
Q.
최근에 흙비가 내렸는데, 어떻게 그게 가능하죠?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이나 생성되느니 비가 오염되어 내리는것이 아닌 공기주에 있는 미세먼지 먼지 오염물질 등이 비가 내릴때 비와함께 내리게 되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2023년 2월 19일 작성 됨
Q.
정자검사를 하였는데 왜 정자는 모양이 다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아마 A B C형으로 표현해서 설명해주 않으셨을까 합니다 A형인 고속 직진형 B형은 고속 또는 저속 사선형 C형은 저속또는 제자리형 이렇게 나뉘었던걸로 기억합니다A형의 비율이 높을수록 건강하고 임신확률이 높고 C로갈수록 불임일 확률이 높습니다 이는 개인차이기 때문에 정확한 이유는 없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19일 작성 됨
Q.
UFO는 정말 있는건가요?존재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UFO는 미확인물체란 뜻으로 외계인 또는 외계에서 온것만을 지칭하는것은 아닙니다. 다른 나라의 확인 안된 기술등도 포함되지요외계인이 있을까에 대한 내용이라면 존재 할수 있다곤 생각합니다
화학
2023년 2월 19일 작성 됨
Q.
기름의 발연점은 무엇이고 왜 발연점이 높은 기름이 튀김요리에 적합한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끓는점이 넘어서 기름을 사용하게되면 기름의 산패가 일어나게 됩니다.산패가 지속되면 흔히말하는 안좋은 또는 해로운 물질이 생긴다고 하죠.올리브유는 끓는점이 낮긴 하지만 끓는점을 넘어 가열해도 다른 기름ㅈ에 비해 훨씬 안전합니다. 잘못된 정보지요. 콩기름 까놀라유 등은 GMO 식품이라 섭취를 안하시는것이 좋고 끓는점이 높은 기름 중에 좋은건 아보카도 유가 좋습니다
화학
2023년 2월 17일 작성 됨
Q.
태양열 판이 기능이 더 좋아질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열을 모으는 판은 한개의 판이아니라 수백개의 모듈이 합쳐져서 하나의 판을 이루고 이판들이 여러개가 모여서 태양열 판이 만들어집니다. 모듈 한개의 효율은 좋을수 있겠지만 여러개가 합쳐진만큼 손실이 발생하게 될것입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술개발이 되고있습니다. 아마 미래엔 더 효율적인 태양열 판이 개발되지 않을까합니다
전기·전자
2023년 2월 17일 작성 됨
Q.
스마트폰 보는 식습관이 과식을 부르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식사를 할때 잘 씹고 본인이 먹는양을 보면서 확인해야 과식이나 다이어트에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스마트폰이나 티비를 시청하게되면 이러한 부분을 놓치게되어 자신도 모르게 많이 먹게되거나 제대로 씹지않고 섭취를 하게되는등 잘못된 식습관으로 이어질수 있습니다.
화학
2023년 2월 17일 작성 됨
Q.
만약 화재가 나면 고층아파트는 안전할까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산소가 부족할정도의 고층은 아직 없지않을까합니다.저층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고층일수록 위험해집니다. 탈출할 방법이 없기 때문인데요 너무 높은곳은 사다리차가 닿지않아 구조가 쉽지않고 옥상으로 가야 하는데 애매한 층은 오르는 높이도 부담이 되지않을까합니다.
생물·생명
2023년 2월 17일 작성 됨
Q.
'벼룩'의 점프력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벼룩은 조그마한 다리로 뛰어오르는 엄청난 능력으로 사람들이 많이 알고 있습니다. 실상은 피를 빨아 병균을 전파하는 존재이지요벼룩의 점프력은 자신 몸의 50~100배까지 점프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토목공학
2023년 2월 17일 작성 됨
Q.
해저 압력은 수심에따라 어떻게 차이나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수심에 따른 압력이 궁금하시군요~~수심에 따른 압력은 알고 계신대로 깊어질수록 증가합니다. 단순히 깊이만을 따졌을때 10m 당 1기압씩 상승합니다. 대기압이 1기압이니 10m만 내려가도 벌써 부담이 되겠죠~사람마다 훈련마다 다르지만 최대로 버틴 수심은 120m 라고 합니다.
생물·생명
2023년 2월 17일 작성 됨
Q.
영혼을 과학적으로 촬영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예전부터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가 많이 있었습니다. 죽기 직전에 사람을 저울에 올려놓고 사후 무게가 준것을 측정하여 그무게가 영혼의 무게라고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영혼이란 개념자체가 과학과는 다른 개념이라 증명하기는 쉽지 않을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신내림이나 빙의등은 과학쪽에선 정신질환으로 생각합니다.
536
537
538
539
5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