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안구건조증 원인과 예방법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안구 건조증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노화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정상적인 노화 현상에 의해 눈물의 분비량이나 눈물의 상태가 변합니다. ② 동반 질환류마티스성 관절염, 쇼그렌 증후군(입, 눈 등 몸 전체 점막에 염증이나 건조가 발생하는 류마티스 질환), 루프스, 공피증, 당뇨병, 비타민 A 결핍증 등의 질병이 있으면 눈물 생산량이 줄어듭니다. ③ 만성 결막염만성적인 염증에 의해 결막에서 점액 분비선 역할을 담당하는 술잔 세포들이 줄어들면 점액 분비량이 적어집니다. 이로 인해 수분을 점액층에 붙잡아 둘 수 없어서 눈물층 중 수성층이 눈물관을 통해 코로 흘러나가 버립니다. ④ 갑상선 질환갑상선기능항진증으로 인해 눈이 커져서 과도하게 눈물이 증발할 수 있습니다. 또는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인해 눈물 생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⑤ 여성호르몬 감소갱년기 때 여성호르몬이 감소하여 눈물 생성이 줄어듭니다. ⑥ 약물 복용항생제, 항히스타민제, 이뇨제, 지사제, 스코포라민과 같은 부교감신경 차단제, 고혈압 치료를 위한 베타차단제, 수면제, 피임약, 일부 여드름 치료제, 일부 항우울제, 일부 마취제 등 눈물 생성을 감소시키는 약물 때문에 눈물이 마를 수 있습니다. ⑦ 환경 요인주위 환경이 건조하거나, 연기나 먼지 자극, 햇볕, 바람 등으로 눈이 자극되거나, 독서나 컴퓨터를 하면서 무의식중에 눈을 깜박이는 횟수가 줄어들면 안구 건조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⑧ 기타방사선이나 염증으로 인한 눈물샘 손상, 각막의 예민성 감소, 과도한 눈물 증발, 눈꺼풀 문제(눈꺼풀 속말림, 눈꺼풀 겉말림, 눈꺼풀염) 등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먼지가 많은 작업장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조한 곳에는 가습기를 틀어서 공기를 습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장시간 독서나 운전, 컴퓨터 작업을 할 때는 자주 눈을 깜박이거나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안검염 등이 동반되었을 때에는 이에 대한 치료를 병행하여야 합니다.
Q. 평소 두부, 콩류를 자주 먹이는 것만으로 성조숙증 위험이 높아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사춘기 조숙의 원인은 대부분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사춘기 조숙이 뇌의 병변에 의해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어린 나이에 발병하거나 남아에게 진성 성조숙증이 나타나면 뇌와 뇌하수체 MRI를 시행해야 합니다. 특히 남아의 경우 중추신경계 등에 이상이 있는지 세밀하게 진찰해야 합니다. 중추성 성조숙증 여아의 90~95%, 남아의 50% 정도는 특별한 기질적 원인을 찾을 수 없습니다. 이러한 경우를 특발성 성조숙증이라고 합니다. 특발성 성조숙증의 발생 기전은 분명하지 않습니다. 다만 유전적 인자 혹은 환경적 인자에 의하여, 생식샘에서 음상 되먹이기 기전과 중추성 억제 기전에 의한 시상하부의 GnRH 파동 발생기의 억제가 풀리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춘기 시작에는 영양적 요인과 신체 구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비만이 있으면 사춘기 시작 시점이 빨라집니다. 비만이 있는 아이는 체지방 내 비만 세포에서 사춘기 관련 물질이 다량 분비되면서 사춘기가 일찍 시작됩니다. 반면에 운동선수나 발레 무용수, 영양 결핍, 만성 질환, 신경성 식욕 부진 환자는 초경이 늦게 시작됩니다. 환경 호르몬도 이러한 현상에 영향을 미칩니다. 환경 호르몬은 사람이나 동물에게 정상적으로 생성되고 분비되는 물질이 아닌, 산업 활동으로 인해 인위적으로 생성된 화학 물질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물질이 사람이나 생물체에 흡수되면, 정상적인 내분비계 기능을 방해하며 호르몬과 같이 작용합니다. 음식물로 인한 발병은 드물기 때문에 안심하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