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지진 후 여진이 일어나는 이유와 대비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여진은 축적된 에너지가 지진으로 모두 발산되지 않고 남아있어 추가로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따라서 여진의 발생 횟수와 규모는 본진의 규모에 비례하는데 여진의 발생율은 '오모리의 법칙'이라는 간단한 통계적 법칙을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진의 발생률을 n(t)n(t)라 했을 때, n(t)=\frac{K}{t+c}n(t)=t+cK(KK, cc는 상수)를 따른다는 법칙으로, 복잡계에서 흔히 나타나는 특징인 멱법칙(power law)에 속함을 알 수 있습니다
Q. 머리카락은 염산에 녹지 않는다는 데 왜 그런 건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염산은 대리석, 강철, 대못, 알루미늄 양은 냄비 등을 부식시킵니다. 이런 염산이 왜 머리카락을 녹이지 못할까? 강산이라서 수소양이온을 잘 내놓고 이 수소이온은 다른 금속이온과의 어떤 화학반응이 일어나야 합니다. 염산이 화학반응을 하려면 다른 금속이온과 결합해야 되는데 머리카락은 염산의 수소이온이 떨어져 나가면서 받아 들이게 될 금속이온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녹지 않습니다. 머리카락 성분인 강한 단백질(염산에 고깃덩어리 넣고 중탕하면 3일 이내에는 다 분해 됨)을 잘 녹이지 못합니다.염산이 녹일 수 있는 물질은 대부분 금속성의 물질이고 머리카락처럼 비금속성 물질은 녹이지 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