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차호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차호정 전문가입니다.
차호정 전문가
심장혈관흉부외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학문
내과
2025년 5월 27일 작성 됨
Q.
병원 가서 배 진찰을 받을때 숨을 편하게 쉬어도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차호정 흉부외과 의사입니다.병원에 가면 긴장을 해서 그런 경우들이 종종 있습니다.진찰을 받으실 때 특별히 숨을 쉬는 것에 대한 어떠한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숨을 편안하게 쉬셔도 됩니다^^
내과
2025년 5월 26일 작성 됨
Q.
복부ct 찍고 CD 받을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차호정 의사입니다.해당 병원에서 촬영한 CT를 가지고 다른 병원에 가서 진료 받아보고 싶다고 CD로 복사해 달라고 하시면 해줍니다. CT 판독이.나오는 시간은 아무래도 병원에 총 판독해야 하는 영상의 분량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조금 빨리 나올 수도 있고 더 늦게 나올 수도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5년 5월 25일 작성 됨
Q.
지혈을 할 때는 어떤방법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차호정 흉부외과 의사입니다.지혈에 가장 좋은 방법은 피가 나기 않을 때까지 누르는 것입니다. 실제로 수술 할 때도 피가 안 멎으면 계속 누르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잠시 눌렀다가 확인 한다고 잠시 떼서 보고 하는 것보다 5분 10분 정도를 계속 누르고 있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5년 5월 25일 작성 됨
Q.
멍이든다는것은 혈관이 터져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차호정 흉부외과 의사입니다.네 맞습니다. 피부에 멍이 들어 보이는 것은 피하출혈이 발생하여 그렇게 보이는 것입니다. 즉 피부 아래쪽 조직으로 가는 미세혈관의 파열로 인해 출혈이 발생해서 멍으로 관찰이 되는 것입니다. 대부분은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흡수되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어디 부딪히거나 한 적이 전혀 없는데 온 몸에 멍이 너무 자두 또는 많이 드는 경우에는 다른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일 수도 있어 병원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내과
2025년 5월 25일 작성 됨
Q.
심방 세동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차호정 흉부외과 의사입니다.심방세동은 나이가 들수록 생길 수 있는 확률이 올라갑니다. 물론 젊은 나이에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심방세동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약물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심방세동이 있는 환자에서 점수화를 진행하여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경우 항응고제 처방을 하게 됩니다. 이외 다른 심혈관질환의 유무를 보고 추가적인 약제 처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내과
2025년 5월 25일 작성 됨
Q.
혈관에 쌓인 혈전을 녹여주는 약품이나
안녕하세요. 차호정 의사입니다.혈전을 녹여주는 약물로는 혈전용해제가 있고 혈전 생성 방지 물질로는 항응고제나 항혈소판제가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모두 전문의약품으로써 반드시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약물입니다. 약물의 부작용으로 출혈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혈전이 있거나 생길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만 투여하는 것이 원칙이며 일반적인 사람들에게 예방적으로 투약하지는 않습니다.일반 건강기능 식품 중에는 혈전 형성을 방지하는 것은 없습니다. 이것은 매우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혈전형성을 예방하기 위한 약물이나 음식은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5년 5월 24일 작성 됨
Q.
상처가 난 부위에 지혈이 잘 안될때는 어떤 방법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차호정 흉부외과 의사입니다.지혈을 하기 가장 좋은 방법은 지혈이 될 때까지 상처 부위를 꾹 누르고 있는 것입니다. 사실 그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습니다.
내과
2025년 5월 23일 작성 됨
Q.
왼쪽갈비뼈 늑골 옆구리부터 갈비뼈끝나는지점통증
안녕하세요. 차호정 흉부외과 의사입니다.말씀하시는 증상을 보았을 때 의심할 수 있는 첫 번째 질환은 대상포진일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의 경우 처음에는 통증만 생겼다가 4,5일 정도 지나면 가슴에 수포 겉은 것들이 띠를 두르며 생길 수 있습니다.두 번째는 갈비연골염의 가능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우선은 진통제를 복용하며 경과를 관찰해 보시고 통증이 지속되거나 더 심해지는 경우 가까운 병원에 내원하시어 진료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5년 5월 22일 작성 됨
Q.
하지정맥류 수술했는데 좀 의심스러워요
안녕하세요. 흉부외과 전문의 차호정 입니다.고주파 열시술을 위한 카테터 삽입 부위는 혈관 상태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우선 대복재정맥 시술을 위한 카테터 삽입 부위는 무릎을 기준으로 약간 위쪽이 될 수도 있고 약간 아래쪽이 될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타겟으로 하는 시술 부위는 사타구니 근처에 있는 부위(복재대퇴정맥이 만나는 부위, saphenofemoral junction)부터 대복재정맥을 따라서 무릎 주변까지 고주파를 주면서 내려오게 되는데 이 부위만 고주파가 잘 들어가면 크게 문지되지 않습니다.소복재정맥의 경우 보통 장딴지 바로 아래 정도에서 카테터를 삽입하게 되는데, 더 많이 내려가서 하는 경우 신경손상의 위험이 따르기 때문입니다.피부 바깥으로 구불구불한 혈관들이 심하게 튀어나와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보통 이 정도 절개만 가지고 고주파 치료만 하면 하지정맥류 치료는 대부분 끝이 납니다. 다만 피부 바깥으로 구불구불한 혈관들이 심하게 튀어나와 있는 경우에는 이런 혈관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그 주변에 작은 절개들을 더 많이 넣게 됩니다.즉 절개의 많고 적음은 환자 상태에 따라 다 다른 것이니 내 시술 부위가 다른 사람과 다르다고 해서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5년 5월 22일 작성 됨
Q.
앉아있거나 쪼그려 있을때 일어나면 순간적으로 어지러워지는 현상이 생기는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차호정 의사입니다. 앉아있거나 쪼그려 있다가 갑자기 일어서면서 어지러운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기립성저혈압의 가능성이 높습니다.대부분 치료가 필요한 상황은 아니며 예방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심한 경우 쓰러질 수도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2차 부상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앉아있가가 일어날 땨는 시간을 두고 천천히 일어나시는 것이 좋으며 평소 수분섭취량을 조금 더 늘려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