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실손비 갱신할 때 질문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창조 보험전문가입니다.2009년 7월에 판매가 시작된 1세대 실손보험부터 2021년 6월까지 판매되었던 3세대 실손보험까지는 내가 보험금을 적게 청구한다고 해서 보험계약 갱신 시 보험료 상승이 낮아지거나 하지는 않습니다.이 시기에 판매되었던 실손보험의 경우 해당 회사에서, 해당 보험을 가입한 모든 가입자들의 청구 내역을 합쳐서 보험사의 손해율을 계산하고, 손해율이 높다면 갱신시 다 같이 보험료가 오르게 됩니다.예를 들어서, 10명의 가입자가 있는데 10명이 모두 1년에 5만원의 보험금을 청구해서 받은 경우와 10명의 가입자 중 8명은 청구를 안하고 2명이 1년에 100만원의 보험금을 청구해서 받았다면, 후자의 경우가 결과적으로 더 많은 손해율이 발생했기 때문에 보험료 상승이 커지게 됩니다.이렇게 되면 건강해서 보험금을 청구하지 않았던 대다수의 사람들이 보험금 청구를 많이 하는 소수의 사람들 때문에 같이 보험료 상승을 감당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그래서 2021년 7월부터 4세대 실손보험이 나왔으며 기존 실손보험보다 보험료가 저렴하고, 개인의 비급여 청구 금액에 따라 갱신율을 조정하는 기능을 탑재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과거의 실손보험에 비해서 보장해주는 비율이 많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실손 전환을 생각하고 계신다면 이 부분에 대해서 잘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추가적인 문의나 궁금증이 있으시다면 아래 오픈카톡으로 문의 남겨주세요 :)https://open.kakao.com/o/s0RPMSIe
Q. M사 h사 실비 처리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창조 보험전문가입니다.보험금을 주는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두 가지 형식이 있습니다.하나는, 실손의료보험으로 대표되는 실손비례보장 방식이고다른 하나는, 종신보험이나 암보험 등으로 대표되는 정액보장 방식입니다.실손비례보장의 경우에는 말 그대로 내가 실제로 손해본 금액에 대하여 일정 비율을 보장해주는 방식입니다.그렇기에 내가 실제로 손해 본 금액 이상의 보험금을 수령할 수 없으며, 이와 관련되어 둘 이상의 보험을 가지고 있어도 보상 받는 금액에는 혜택이 없습니다.예를 들어서, 내가 실손비례보장이 100%되는 보험이 있다고 했을 때100만원의 손해를 봤다면 A보험 한개만 있을 때는 손해액의 100%인 100만원을 받을 수 있지만, A보험과 B보험 두 개의 보험이 있다면 각각 100%가 아닌 두 개의 보험에서 50%씩 보험금이 나와서 각각 50만원씩, 결과적으로 100만원의 보험금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즉, 비례보상 형식의 보험상품은 중복 가입을 한다고 해도 보험료만 추가로 발생할 뿐 보상 측면에서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하지만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골절 "진단비", 골절 "수술비" 등의 보장은 "정액보장" 방식입니다.이러한 보장 들은 최초 가입 시 약속한 "가입금액"을 정해놓고 있으며, 보험사고가 발생하면 약속된 가입금액을 그대로 지급하게 됩니다.그렇기에 같은 담보를 여러 회사에 가입한다고 하면, 하나의 보험사고가 발생했어도 관련된 모든 보험회사에서 각각 보험금이 지급됩니다.즉, 치료를 받으시고 M사와 H사에 청구를 하신다면 두 회사에서 각각 관련 보험금을 받으실 수 있는 것이죠.보험금 청구는 각 하나의 서류를 가지고 각 회사의 어플에 로그인 하신 다음 신청을 하시면 사진으로 접수하실 수 있어서 굳이 서류를 2개 뽑으실 필요 없이 각각 신청이 가능하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추가적인 문의나 궁금증이 있으시다면 아래 오픈카톡으로 문의 남겨주세요 :)https://open.kakao.com/o/s0RPMS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