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시대 웨딩드레스 활옷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중기와 후기에 여자의 혼례복으로 많이 사용한 활옷은 공주와 옹주의 대례복으로 서민에게는 혼례때에 한해 사용이 허락되었습니다.활옷은 다홍색 비단에 장수와 복을 기원하는 이성지합 백복지원, 수여산 부여해 라는 덕담이 쓰여있고 앞길과 뒷길과 소매에 장수와 길복을 뜻하는 모란꽃, 연꽃, 물결, 불로초, 어미봉, 새끼봉, 호랑나비, 동자 같은 문양이 수놓여 있습니다.
Q. 한글을 과학적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무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글의 기본 자음들은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 땄습니다.예를 들어 자음 ㄱ은 혀 뒷부분을 목젖 근처에 가져다 댈 때 소리가 나는 연구개음을 나타내기 위해 디자인되었고 ㄴ은 혀 끝을 윗 잇몸에 가져다 댈 때 소리가 나는 치조음을 나타냅니다.또한 자음 모양으로 소리 유사성을 짐작할수 있는데 ㄴ,ㄷ,ㄸ,ㅌ은 치조음으로 ㄴ->ㄷ->ㄸ->ㅌ의 모양이 비슷합니다.예를 들어 ㄴ에 획만 추가하면 모든 치조음 자음을 만들 수 있습니다.즉 한글 자음은 모양으로 쉽게 분류가 가능하고 그 분류는 발음 기관을 나타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