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은서 전문가
성신학원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글에서 창제당시에 있었던 아래아 가 사라진 이유가 무엇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6세기 이후 ㆍ의 고유 음가가 희미해지며 중세 한국어에서 아래아가 어두에 붙어 있던 단어는 ㅏ, 초성 이외 어중 어미에 붙어있던 다어는 ㅡ나 ㅜ 등으로 음이 흡수되는데 정확히는 16세기 이후 1차 음가 소실이 일어나 어두가 아닌 부분의 ㆍ는 모두 ㅡ나 ㅜ로 바뀌었고 18세기 경 2차 음가 소실이 일어나 어두의 ㆍ가 ㅏ로 바뀌었습니다.1912년 조선총독부에서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을 발표하며 고유어의 아래아는 공식적인 표기상으로도 폐지됩니다.한자어의 아래아는 그대로 남았으며, 조선총독부 마음대로 아래아를 폐지한 것은 아니고 당대 주시경을 비롯해 아래아를 폐지하자는 주장이 있었습니다.1933년 조선어학회가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 한자어의 아래아도 표기상으로 폐지하면서 아래아는 한국어에서 완전히 자취를 감추게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승정원일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에 승정원이라는 기구가 있었고 지금의 대통령비서실과 같은 곳이었습니다. 왕과 부서들 간의 소통을 맡아 각종 서류들을 정리해 왕에게 올려 보고하고 왕이 내린 명령을 부서들에게 전달하는 소임을 맡았는데 이렇게 승정원에서 왕이나 부서들에게서 올라온 일들을 시시콜콜 기록한 기록물이 승정원일기 입니다.조선왕조가 시작된 이후부터 작성되어 조선왕조가 멸망할때까지 계속 기록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정인보의 얼사상이 뭔지 자세히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인보는 오천년간의 조선의 얼 이란 책에서 얼 중심의 정신사적인 역사관을 강조하는데, 그가 강조한 얼 은 민족정신이며, 이러한 얼 의 반영으로 나타나는 것이 역사라고 보았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국역사를 보면 야간통행금지가 있었던데 왜시행되었는지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야간통행금지제도는 일상적으로 사회 공공질서 유지 및 질서 확립의 책임을 담당하는 역할로 작용했으나 근본적으로 사상 통제, 국가안보 수호, 정치적 저항세력 억압을 위해 국민들의 시 , 공간을 제한하는 기능을 담당했습니다.이 제도 시행아래 일반 시민들은 일상의 자유를 받탈당하고 일제의 감시와 처벌 방식은 야간통행금지제도의 처벌과 감시 양식으로 이어져 식민지 국가폭력은 해방 후에도 사회 전반에 지속, 이후 계엄법과 국가보안법으로 분화, 적용되는 주요한 동력을 제공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세계사에서 제일 치명적인 전염병은 뭐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 역사상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전염병은 흑사병으로 최소 7500만~최대 2억명이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 1334년부터 1353년까지 유럽 전역을 휩쓴 대재앙은 중세 유럽을 공포로 몰아 넣으며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방면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수영 종목에 포함되어 있는 다이빙 경기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다이빙이 처음 등장한 것은 독일, 스웨덴의 체조 선수들이 해변에서 훈련하면서부터로 알려져있는데 옾은 곳에서 뛰어들면서 기계체조 연기를 연습했는데, 물 위에 뛰어들기 때문에 안전이 확보되어 체조 연습에 안성맞춤이었고 이후 자연스럽게 다이빙 경기가 체계를 갖춘 스포츠 종목으로 발전하게 되는데, 처음 경기가 이루어진 것은 독일에서 1886년 열린 제 1회 세계선수권대회였습니다.이후 미국과 영국 등에 보급이 확대되며 인기 스포츠로 자리잡았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에 방문한 서양인 하멜은 조선에서 어떤 경험을 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하멜은 항해사이므로 이들을 훈련도감에 배속시켜 효종의 친위대로 썼으며, 조선인들은 하멜의 하얀 피부를 신기해했다고 합니다.당시 신분을 가리지 않고 하멜 일행은 늘 화젯거리였고, 서로 구경하기 위해 모이기도 했습니다.하멜 일행의 생김새가 괴물같다는 소문이 있었으며, 조선인들은 하멜 일행의 생김새를 희화화하며 이야깃거리로 삼았고, 괴물 취급을 받던 하멜 일행에게 동정심을 느낀 사찰의 승려들이 그들을 잘 대해 주어 그들은 승려들과 가장 사이가 좋았으며, 대갓집에 불러다니며 네덜란드 춤과 노래를 보이는 일을 해 식량을 얻거나, 대갓집 하인들의 주인의 명령이라 속여 이들을 불러내는 일도 있었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서양의 미술과 동양의 미술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양화와 동양화의 가장 큰 차이로는 자연관입니다.동양은 인간 역시 자연의 일부로 보지만 서양에서 생각하는 자연은 인간이 극복해야 할 대상으로 생각합니다.또, 동양화의 경우 화선지, 비단, 먹, 먹물 등을 사용하나 서양화의 경우 종이, 캔버스, 수채화, 붓, 유화 등을 사용해 그립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미켈란젤로가 '천지 창조'를 그린 이유와 목적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508년 미켈란젤로가 교황 율리우스 2세에게 명을 받아 시스티나 예배당 천장에 그린 창세기 9장면을 말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천지창조로 알려져있습니다.시스티나 예배당 천장화는 교황 율리우스 2세가 1508년 로마의 성 베드로 대성당 재건축의 일환으로 주문한 것으로 미켈란젤로는 4년간 혼자 이 천장화를 그렸고 그동안 개인적인 양식도 발전하게 되며 그의 해부학에 대한 지식과 조각기술은 인물이 보여주는 다양한 자세에서 분명하게 드러납니다.이 인물들은 미켈란젤로가 고대 그리스와 로마 조각에 바친 찬사라 할수 있으며 그가 그린 삼백 장의 예비 드로잉은 실물 크기의 밑그림으로 확대되어 천장으로 옮겨졌습니다.조각가적인 사고방식으로 배경의 세부묘사를 단념하고 인물들의 몸짓과 움직임에 초점을 맞추며 중심 패널은 천지창조부터 노아의 방주까지 창세기에 나오는 장면으로 이루어지며 주요 패널의 장면을 보충해주는 역할을 하는 열 개의 메다이용에는 구약 성서에 나오는 이야기가 형상화 되어있습니다. 선지자들과 시빌레의 측면에, 나체의 젊은 남자를 뜻하는 이그누디는 중심패널의 각 모서리에 위치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의 역사상 남녀 화장실 구분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50년대까지 남녀 공용으로 야외에 있는 수거식 변소가 널리 이용되었고, 일제 강점기 때 처음으로 총독부, 호텔, 백화점 등 인공 수세식 변기가 설치된 이후 6,70년대부터 남녀 변소를 확실히 구분하고, 공중 변소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70년대 들어 우리에게 익숙한 픽토그램형 남녀 화장실의 구분과 함께 수세식 정화조를 통한 하수처리, 화장지의 보급화, 공중화장실의 보편화가 이루어졌습니다.
4514524534544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