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일본에서의 성우라는 직업은 어느 정도 대우를 받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에서는 성우 오타쿠라는 것도 발생해 유명 성우의 경우 큰 팬덤이 생기곤 하며 가수활동을 겸하며 개인명의 앨범을 내서 활동해 유명세를 타게 되면 팬 동원력이 생겨 연예인과 성우를 겸하는 아이돌 성우 문화까지 발생했습니다.신인때부터 가수 활동을 밀어주는 경향이 강하며, 여성 성우의 경우 이러한 빈도는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또한 각종 엔터테인먼트적 활동이 많아 성우 각 개인의 개성이 중시되면서 여러 컨셉을 가지고 활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그러나 전체적으로 성우의 수요에 비해 공급이 지나치게 많아 지명도를 얻지 못하고 묻힌 성우나 부업을 뛰며 가늘게 업계에서 이름을 남기는 경우, 한 두 작품에만 출연하고 성우일을 그만 두는 경우도 부지기수입니다. 업계 자체의 스케일이 세계 최고 수준이고 밑바탕이 되는 시장이 확실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매니아 층이 탄탄한것 외에 무명 성우가 돈을 벌지 못하는 점, 연예인에 비해 유명세가 낮은 것은 한국과 흡사합니다.
Q. 구한말에 청나라와 일본은 왜 조선 땅에서 전쟁을 벌였는지 역사적 배경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76년 일본은 청의 간섭을 배제한 채 조일수호조규를 체결, 한편 청은 일본의 조선 진출을 견제하기 위해 조선으로 하여금 서양 각국과도 조약을 맺도록 조언합니다. 1882년 조선에서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적극적으로 개입해 조선에서 주도권을 잡았고, 1884년 일본의 지원을 받은 개화파가 갑신정변을 일으키가 이를 3일만에 진압합니다. 두 사건에서 청이 우세하고 일본이 약세를 보이자 일본은 이를 만회하기 위해 전략을 추진, 다음해 청과 일본은 톈진조약을 체결하여 양국 군대의 철수를 약속하고 이후 조선에 출병 할 때 상호 통고하기로 약속합니다.이에 청과 일본의 군대는 조선으로부터 철수하나 청은 위안스카이를 조선에 상주, 조선의 내치와 외교에 대한 간섭을 강화합니다.1894년 조선에서 동학농민운동이 발생, 위기에 처한 조선은 청에 지원을 요청, 청은 섭사상, 섭지초와 3000명의 군인을 아산만으로 파병한 뒤 일본에 이를 통보합니다.일본은 톈진조약에 근거해 오시마 요시마사와 7000명의 군인을 인천으로 보냈고, 청과 일본이 군대를 파병하자 동학농민군은 조선 조정과 전주 화약을 맺고 해산, 양국은 조선에 주둔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이에 청은 일본에 대한 공동 철병할 것을 제안, 일본은 양국이 공동으로 조선의 내정을 개혁하자고 제안, 청은 일본의 제안을 거절합니다.일본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 상품시장과 원료 공급지의 안정적인 획득을 도모, 이를 위해 청과의 전쟁을 고려하고 있었으며 또한 이후 조선 , 타이완 등지로 진출하고자 했습니다. 반면 청은 조선과의 전통적인 관계를 통해 조선에서의 이익을 유지하려했고, 청과 일본은 조선에서의 충돌을 앞두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