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은서 전문가
성신학원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세시대 화장실에서 배출된 분변과 소변은 어떻게 처리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세시대에는 유럽은 인간의 배설물이 단순히 더럽고 불결하다는 인식이 있어 공중화장실의 개념이 없었고, 후미진 장소나 정원 등에서 용변을 해결했습니다.18세기 공 농부라는 변소와 오물 구덩이에서 인간 배설물을 파고 제거한 사람이 있었는데, 이들은 밤에 변소에서 똥을 퍼올렸으며 이 똥은 농촌지역의 거름으로 쓰기 위해 도시 밖으로 나가거나 공식 쓰레기장으로 옮겨 불에 태워졌습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미국 50개주중에서 인구가 가장많은주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주는 뉴욕으로 인구 8,537, 673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역사상 핸드폰은 언제 처음 나왔는지 역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1984년 한국이동통신이 휴대전화 서비스를 개시, 이후 삐삐와 시티폰의 과도기를 거쳐 1990년대 후반에 개인 이동전화가 본격적으로 보급되며 휴대전화 시대가 열리게 됩니다. 대한민국 휴대전화 시장은 삼성전자의 애니콜과 LG전자, SKY, 모토로라, 노키아, 블랙베리 등이 각축을 벌이며, 1999년 폴더 모양의 휴대전화를 삼성전자에서 처음 출시, 동시에 1999년 5월 첫 카메라폰이 출시되었으며 국내에서 2000년 삼성전자가 출시한 SCH-V200이 최초의 카메라 폰입니다.2001년 세계 최초의 VOD폰이 출시되기도 했습니다.2000년대 초반은 휴대전화 업계에서 여러 발전이 일었던 시기로 2001년 노키아가 첫 컬러 액정 휴대전화를 출시한 것을 시작으로 2002년 첫 TFT-LCD 컬러 휴대전화 SCH-X430이 출시되는 등 흑백에서 컬러로의 전환이 이루어졌으며 국내,외 휴대전화 업계는 2003년을 끝으로 흑백폰 시판을 중간, 2000년대 중반부터 컬러 액정만 시장에서 살아남게 됩니다.또 2002년 3세대 이동통신 시험 서비스가 시작되어 2003년 상용화가 되며 3G로의 세대교체가 이루어졌으며 2002년까지 출시된 휴대전화는 전부 안테나가 외장형으로 되어있어 통화 시 안테나를 빼서 사용해야 했으나 2003년 2월 첫 안테나 내장형 SPH-X8300이 처음 출시, 2005년부터 모든 휴대전화가 안테나 내장형으로 출시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난징 조약이 중국의 역사와 문화에 어떤 영향을 끼쳤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난징조약을 기본으로 1844년 미국이 청나라와 망하조약을 체결, 프랑스도 청나라와 황포 조약을 체결해 영국과 같은 여러 특권을 획득하게 됩니다.난징 조약을 비롯해 이에 이어지는 그 뒤 여러 조약은 근대 중국이 국제관계에서 부담하게 된 불평등조약의 단서가 되어 영국을 비롯한 유럽 여러 나라의 경제, 정치, 문화, 영토면에서 중국 침략에 길을 열어준 결과가 되며 이후 중국은 점차 유럽 및 일본 등 자본주의 세계의 종속적인 시장으로서 재편될수 밖에 없었습니다.난징조약체결을 기점으로 중국은 그동안 세상의 중심은 중국이라는 중화사상에서 깨어나기 시작, 근대화에 대한 의식이 생겼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 검사 척준경 인물에 대한 영화 같은건 없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창작물에서 척준경을 주인공으로 잘 다루지 않는 것은 창작자의 기준에서 추측한다면 대중의 인식과 달리 의외로 척준경은 주인공으로 내세우기 힘든 인물로, 잡고 휘두르는 주인에 따라 인물이 달라졌다고 평가될 만큼 척준경의 생애는 본인이 무언가를 선택해 밀어붙인 삶이 아니었고, 상관이 누구냐에 따라 척준경은 구국의 명장이나 간신을 지키는 맹견도 되기 때문에 주인공으로 삼기는 어렵습니다.드라마 도깨비에서 김신 장군의 모티브가 척준경이었으며, 사극에서 현재까진 등장한 적이 없습니다만 육룡이 나르샤를 포함해 뿌리깊은 나무 세계관에서 가장 강하다고 추측됩니다. 육룡이 나르샤 세계관에서 척준경이 얼마나 괴물이었는지 알수 있는데 그의 후손인 척사광의 재능이 생전의 척준경을 연상케한다는 언급이 나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관복의 종류는 어떻게 분류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관복은 시복과 상복으로 나뉘며 용도에 따라 크게 예복용과 집무용으로 나누며 시복과 상복의 개념은 시대에 따라 잘라집니다.조선건국 태조부터 세종 초기까지는 시복, 상복의 개념이 명확하지 않고 혼용되어 사용되며 건국 초기 관복은 명나라의 관복제도를 따라 잡색 단령을 사용했습니다.세종 28년 조참이나 조계 등의 의례때 관복으로 흑색 단령을 사용, 그 외의 경우 잡색 단령이 그대로 사용되었습니다.단종 2년 부터 단령에 흉배를 부착, 성종시대 사모뿔이 연각에서 경각으로 변화하기 시작했습니다.성종말기부터 시복과 상복의 개념이 뚜렷해지기 시작하는데 예복용 단령은 세종때 처음 시작했던 흑색 단령이 그대로 사용되나 집무용 단령은 잡색에서 붉은색 계열로 통합되기 시작했으며, 임진왜란 때 군사복식인 융복을 입었다가 전쟁 후 선조 32년부터 선조 34년까지 흑색 단령을 착용했습니다.선조 34년~ 영조 33년 임진왜란 이전의 풍속으로 돌아가기 위해 관복의 색을 다시 분리하기 시작하는데 광해군 2년 예조판서 이정구가 국조오례의를 근거로 상복은 흑단령이라는 주장을 하게 되며 상복과 시복의 개념이 뒤바뀌게 됩니다.영조 시기 관복에 대한 논의가 많았는데 최종적으로 예복용은 흑색, 집무용은 당상관은 홍색, 당하관은 녹색으로 정해졌습니다.고종 21년 시복과 상복 구분 없이 모두 흑단령으로 통일, 전체적으로 간소해지며 이러한 양식이 1900년 대한제국 복식 개정 이전까지 사용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제암리 학살 사건에서는 얼마나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고, 희생자들은 누구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암리 학살사건은 3.1운동 당시 일본 군대가 경기도 수원군 향남면 제암리에서 주민을 집단적으로 살해한 만행 사건입니다.1919년 4월 15일 오후 2시경 아리타 도시오 일본 육군 중위가 이끄는 일단의 일본군경이 앞서 만세운동이 일어났던 제암리에 도착해 마을 주민 약 30명을 제암리 교회에 모이게 한 후 주민들이 교회당에 모이자 아리타는 출입문과 창문을 모두 잠그게 하고 집중사격을 명령합니다.그때 한 부인이 어린 아기를 창 밖으로 내어놓으면서 아기만은 살려달라고 애원하나 일본 군경은 그 아이마저 죽였습니다.이같은 학살을 저지른 일제는 증거인멸을 위해 교회당에 불을 질렀고, 아직 죽지 않은 주민들이 아우성을 치며 밖으로 나오려 하나 모두 불타 죽었으며 이때 교회당안에서 죽은 사람이 23명, 뜰에서 죽은 사람이 6명입니다.또 일제는 인근의 교회건물과 민가 등 31호에 불을 질러 살상자를 내었습니다.제암리 학살사건으로 30여명, 고주리 학살 사건으로 40여명의 주민들이 일본군에게 잔인하게 목숨을 잃었습니다.이 사건은 수촌리에서 벌어진 학살 사건을 파악하기 위해 수촌리로 가던 스코필드가 제암리에서도 학살 사건이 벌어졌다는 소식을 듣고 달려가 상황을 파악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습니다.제암리 학살 사건이 알려져 국제적 여론이 악화되자 일본은 제암리 학살을 지휘한 아리타 중위에게 30일의 중근신 처분만 내리고 사태를 덮으려했으나 이 사건이 전세계적으로 알려져 일본에 대한 세계의 여론은 안좋은 방향으로 흘러가게 됩니다.일본은 아리타 중위가 미숙하고 주민들이 저항하여 우발적으로 사건이 발생했다 주장, 후일 김완섭은 당시 조선 땅에 일본군이 없었는데 어떤 일본군이 학살을 하나? 주장해 논란이 있었습니다.그러나 당시 조선 주둔 일본 육군이 조선군이라는 이름으로 주둔했으며, 이 중 헌병 병력 일부는 일반 치안 임무를 하고 있었습니다.당시 조선 주둔군 사령관인 우쓰노미야 다로 장군의 일기가 발견되면서 일본이 제암리에서 벌어진 학살 사건을 조직적으로 은폐하려 한 사실이 드러났으며 관여한 군인들은 30일간 근신처분을 받았으나 후에 군법회의 결과 살인, 방화에 대해 무죄 처분을 받게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통감부는 무엇이었으며, 당시에 어떤 역할과 권한을 가지고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통감부는 일본 제국이 을사늑약을 체결한 뒤 대한제국 한성부에 설치했던 정치와 군사 관련 업무를 보는 관청으로 한국의 정사 및 행정 등을 장악하며 직접 통치하도록 일본 제국에 의해 설치된 기관입니다.애초에 외교 및 국방 위주로 맡는다는 조항을 따랐지만 시간이 지나고 대한제국의 행정 및 내정에 깊숙이 관여하고 향후 대한제국의 모든 국책이나 국사 등은 반드시 통감부의 감독 및 허가를 받도록 조항을 개정하게 되며 사실상 대한제국의 모든 분야를 감독하고 관리하는 감시 기관으로 바뀌었습니다.1907년 헤이그 특사를 빌미로 고종 황제를 퇴위시키고 순종을 즉위, 대한제국군에 대해 강제 해산을 발령함에따라 국방, 병무 체계도 모두 일본군 위주로 개편했고, 이완용을 내각 총리 대신에 앉히고 신한일협약 체결을 이끌어내며 차관직을 신설해 일본인이 차관을 맡도록 하는 차관 정치를 실행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신시대에 평민이 신분상승할수 있는바업에는 어떤 방법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평민은 상민으로써 농업생산력의 증대와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에 힘입어 부농층, 상업 자본가, 독립 수공업자 등 부를 축적한 새로운 계층이 나타나게 되며, 이들이 공명첩을 사거나 족보를 매입, 위조로 양반 신분을 획득해 양반의 수가 급증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1920년대 물산 장려 운동은 어떤 배경에서 시작되었으며, 어떤 목적과 의도를 가지고 진행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라의 주권을 일제에 빼앗긴 뒤 우리나라는 일본 상품이 많이 들어왔고 이에 우리의 민족 산업은 매우 어려워졌습니다.많은 기업이 더 이상 상품을 팔지 못해 문을 닫거나, 비싼 이자를 내고 일본인의 돈을 빌려야했습니다. 이런 현상으로 경제에서도 일본의 지배가 심해지게 되었습니다.이에 지식인들의 중심으로 조선물산 장려운동이 벌어졌습니다.이들은 우리 민족 경제의 자립을 주장, 운동 조직인 조선물산장려회를 만들게 되며 조선물산장려회는 내살림 내것으로 라는 구호를 내걸고 국산품 사용하기, 소비 줄이기, 금주, 금연 등이 운동을 벌였습니다.이 운동으로 민족 기업을 세우고 국산품을 애용해 경제 자립의 토대를 닦고자 했으나 일부 생활용품의 가격이 오르는 부작용과 가난에 시달리던 민중들에게 현실감있게 다가오지 않아 지지를 지속적인 얻을수없었습니다.
4764774784794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