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인도에서 소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힌두교에서는 소를 신성시하기 때문입니다.흰 암소는 여신과 같은 신성함을 지닌 존재로 믿으며 그들은 흰 암소를 돌보거나 흰 암소에 서 있기만 해도 행운을 얻고 악으로부터 보호받는다 믿습니다.소가 절대적으로 신성시되는 이유는 소에게서 물질적으로 다섯가지 영물인 우유, 치즈, 버터, 배설물인 소변과 대변을 얻을 수 있기 때문으로 우유, 치즈, 버터는 풍부한 음식으로, 소의 배설물은 오염을 제거하거나 연료로 사용되어 그들에게 절대 없어서는 안될 삶의 중요요소로 간주됩니다.
Q. 태극기가 처음으로 사용된 역사적 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극기는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의 조인식에서 역관 이응준이 최초로 사용했습니다. 본래 조선은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처럼 국가적 상징으로서의 국기라는 개념이 없었으며 강화도 조약을 체결 후 국기 제정 문제를 두고 의논하나 계속 도안을 정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1882년 5월 14일 미국 공사 로버트 슈펠트는 5월 22일 있을 조미수호통상조약 조인을 앞두고 조인식에서 사용할 국기를 지정해달라는 요청을 했고 이에 통리기무아문의 김홍집이 역관 이응준에게 국기를 그리게 했으며 이제 최초의 사용례인 속칭 이응준 태극기입니다.1910년 8월 경술국치로 한국 최후의 왕조 대한제국이 멸망하면서 대한제국의 국기였던 태극기 사용이 금지되는데, 한국을 강제 병탄한 일제는 태극기를 불령선인의 상징으로 보아 제조, 소지를 금했으며 당시 태극기는 중앙의 태극과 대각선의 팔괘라는 기본 개념 외에 고정된 개념이 없어 3.1운동 시기 휘날린 태극기의 도안도, 의병 전쟁 시기 사용된 태극기의 도안도, 임시정부가 사용한 태극기의 도안 모두 달랐습니다.
Q. 르네상스 시대를 왜 가장 예술이 발달한 시기라고 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르네상스는 유럽 문명사에서 14세기 ~16세기 일어난 문예 부흥 운동으로 문화, 예술 전반에 걸친 고대 그리스와 로마 문명의 재인식과 재수용을 의미합니다. 옛 그리스와 로마의 문학, 사상 , 예술을 본받아 인간 중심의 정신을 되살리려했습니다.이 시기 미켈란젤로, 다빈치, 라파엘로 등의 박식가들이 회화, 건축, 조각 등에서 다방면의 재증을 드러냈습니다.다빈치의 피에타, 다비드, 시스티나 성당 천장화 등이 해당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