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하이든의 음악에서 그만의 독특하게 사용되는 요소나 기법은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오랫동안 귀족 집안의 전속 작곡가로 일한 탓에 작품에 큰 기복이 없고 꾸준한 자기 발전을 보여주는 것이 일반적이며, 초기에는 바로크 음악의 강한 영향을 받았으며 이탈리아에서 유래한 합주 협주곡양식을 적극 도입해 여러 악기들이 솔로 역할을 부여받았습니다.1760년대 후반부터 1770년대 초반까지 판할이나 디터스도르프같은 동시대 작곡가들이 유행시킨 질풍노도 양식에 영향을 받았고, 이 시기 단조로 된 교향곡이나 현악 4중주가 나왔으며, 다소 가볍고 해학적인 곡들이 많았습니다.1790년대 런던 등 유럽 각지를 여행하며 자신의 명성과 작풍을 완전히 확고하게 굳히는데 자신의 임지였던 아이젠슈타트 근처에서 쉽게 접할수 있던 헝가리나 크로아티아, 체코 등 동유럽계 민속음악이나 집시 음악의 영향이 반영되었으며, 작품의 구조와 규모가 방대해졌습니다.
Q. 발해의 건국과정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668년 당은 대동강 이북과 요동 지방의 고구려 땅을 차지하기 위해 평양에 안동 도호부를 설치, 고구려 유민은 요동 지방을 중심으로 당에 대한 저항을 계속했고 이에 당은 고구려 유민을 통제하기 위해 영주로 강제 이주합니다.이곳에는 고구려 유민을 비롯해 말갈인, 거란인 등 다수 민족이 당의 감시와 통제를 받고 있었으므로 언제든지 반란을 일으킬수있는 상태였습니다.696년 5월 거란추장 이진충과 손만영이 영주도독 조홰의 폭정에 불만을 품고 봉기, 혼란한 틈을 타 고구려 장군 출신인 대사리 걸걸중상과 그의 아들 대조영은 고구려 유민, 말갈인과 함께 영주를 탈출해 만주 동부지역으로 이동, 이동 도중 말갈인을 이끌던 걸사비우와 고구려 유민을 이끌던 대사리 걸걸중상이 전사하면서 대조영이 무리를 이어받은 것으로 추정합니다.대조영은 추격해오는 이해고와 당나라군을 천문령 전투에서 무찌르고 만주 동부지방에 남아있던 고구려 유민과 말갈인을 규합해 698년 길림성 돈화현 부근에 위치한 읍루의 동모산 기슭을 차지하고 당나라의 안동도호부를 정복해 도호부의 한족들을 노비로 강등, 곧 진국을 건국하고 말갈 촌장 , 고구려 촌장들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진국왕이 됩니다. 고왕 대조영은 천통이라는 독자 연호를 사용합니다.당나라는 대조영의 발해 건국이 기정사실화되고 돌궐, 거란, 해 등의 압력으로 요하 유역과 만주 일대를 발해에게 정복당하고 안동도호부도 멸망하자 발해인들을 달래기 위해 705년 책봉을 시도, 불발됩니다.713년 대조영은 좌효위원외대장군 발해군왕이 되었고 홀한주 홀한주도독의 벼슬을 추가, 당나라는 발해의 번성에 굴복합니다.
Q. 이탈리아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어떻게 변화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 전쟁을 기점으로 이탈리아 왕국은 공화정으로 변모합니다.이탈리아는 독일과 일본보다 훨씬 이른 1943년 항복하고 연합국으로 돌아섰기 때문에 추축국이었음에도 전후 처분에서 완전히 패전국 취급을 받지 않았고 , 전범 재판이 따로 열리지 않았습니다.프랑스와 접한 국경 지역의 몇몇 마을들과 1차 대선 승전의 대가로 주어진 이스트리아반도, 달마티아의자다르정도만 상실하게 되었고, 백성의 신뢰를 잃은 암주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퇴위까지 강행하며 왕정을 사수하려하지만 이미 사보이아 가문은 민심을 잃어 1946년 실시된 국민투표의 결과로 폐지, 이탈리아 왕국은 공화국으로 바뀌게 됩니다.
Q. 렘브란트의 작품에서 자화상은 어떤 의미를 가지며, 여러 자화상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렙브란트 자신의 화풍이 성숙하면서 평면적인 초상화로 만족하지 못했고 점차 내면을 표현하고자하는 욕구가 강해지며 종교적,신화적인 소재를 따 그리거나 자화상이 많아지기 시작, 이때부터 세속적인 성공에서 멀어지게 됩니다.초상화 속 렘브란트 젊었을 적에는 미래에 대한 희망이 넘치는 청년의 모습이였다가 늙어가면서 재산을 탕진하고 자식이 죽고, 부인들과 사별하면서 희망을 잃어가는 얼굴로 바뀌어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