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혼 풍습은 언제 사라졌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은 1894년 갑오개혁 때 남자는 20세 이상, 여자는 16세 이상이어야 혼인이 가능하다고 법으로 공포해 조혼을 금지하나 실제로는 지켜지지 않았습니다.1907년 8월 17일 일본 민법을 본떠 남자 만 17세 이상, 여자 만 15세 이상이 되어야 혼인할 수 있다는 칙령이 공포, 1922년 일제는 조선민사령을 개정해 1923년 7월 1일부터 관습혼을 부인하고 신고혼 제도를 시행해 조혼의 법적효력을 부인, 이후 대한민국은 민법을 제정하면서 1960년 1월 1일부터 혼인적령을 한살씩 올려 남자 만 18세이상, 여자 만 16세이상으로 정해 시행하다 2007년 12월 21일부터 혼인적령을 남녀 모두 만 18세 이상으로 통일했습니다.
Q. 중세 유럽 사회에서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졌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세는 고대의 문화와 사상을 바탕으로 기독교 사상에 의해 시대적 통일성이 형성된 시기로 모든 분야에서 단결된 요소가 등장합니다.이러한 중세의 종교적 통일성은 교육이념과 내용의 통일성을 가져왔고 단일한 교육제도의 형성을 가능하게 했으며 중세 전반에는 기독교 교화를 목적으로 한 기독교 학교제도가 발달했습니다.중세 중반기로 접어들며 세속적 교육이 성장, 게르만 민족의 교화책으로서 카롤루스 대제를 중심으로 한 교육사업이 전개되었고 봉건제도와 함께 기사교육이 정비, 농민 계급을위한 특별한 학교가 설립되지는 않았습니다.농민 계급의 자녀들은 가정 안에서 생활과업을 배웠기 때문이며 중세 후반에 이르러 봉건제도가 붕괴되어 도시가 발달함에 따라 시민사회가 성립, 이에 따라 세속교육기관으로 시민학교와 대학이 출현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