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은서 전문가
성신학원
역사
역사 이미지
Q.  세계 7대 불가사의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94년 미국 토목학회에서 말한 7대 불가사의로는 도버 해협의 채널 터널, 토론토의 CN타워,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금문교, 파라나 강의 이타이푸 댐, 네덜란드의 델타 계획/자위더르 간척사업, 파나마 운하 입니다. 2007년 뉴세븐원더스 재단은 새로운 세계 7대 불가사의로 만리장성, 요르단의 페트라, 브라질 예수상, 타지마할, 페루의 마추픽추, 로마 콜로세움, 멕시코의 치첸이트사를 꼽았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하멜은 어떻게 본국으로 돌아갔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666년 7명의 동료와 함께 배를 타고 탈출, 일본 히라도로 건너가 나가사키로 탈출했습니다.나가사키에는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상관이 있었으며 이를 통해 일본 바쿠후에도 전해져 조선에 남아있는 네덜란드 선원들의 석방교섭이 진행, 1667년 석방 교섭이 완료되어 조선에 남아있던 동료도 모두 석방되었고 1668년 네덜란드로 귀국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정약용 형제는 전부 천주교신자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약용의 이복 형인 정약현은 형제들 중 유일하게 천주교를 받아들이지 않아 당시 처벌받지 않았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 창왕이 실제로는 신돈의 아들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대 한국 사학계에서는 기록의 모순 등의 이유로 우왕이 신돈의 아들일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으로 봅니다.우왕은 공민왕과 신돈의 시녀인 반야 사이에 태어났는데 반야는 신돈의 시녀로서 신돈을 가까이했고 왕비나 후궁들처럼 다른 남자의 접근이 차단된 환경에 산게 아니었습니다.공민왕은 직접 ' 이 아이는 내가 신돈네 집 여종을 가까이 해 낳은 아들이다' 라고 인정했지만 목격자는 이인임 밖에 없었으므로 우왕이 즉위할 때부터 공민왕의 아들이 아닌 신돈의 아들이라는 소문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 훗날 이성계 일파가 창왕을 폐위하면서 '우왕이 신돈의 아들이니 창왕은 신돈의 손자'라는 무리한 주장을 할수 있던 것은 고려 사람들 사이에서 우왕의 혈통을 의심하는 움직임이 있었음을 증명, 그러나 우왕의 혈통에 대한 의심이라해도 우왕의 혈통이 왕씨가 아니라는 주장에 대한 기록은 우왕 재위 당시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전 세계적으로 보았을 때 온돌문화의 원형, 즉 뿌리는 어느 지역에서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원전 4세기 옥저 시대부터 온돌이 발명되었다고 추정하며 구석기시대와 청동기 시대 유적에서 이미 온돌의 원형으로 추정되는 형태가 발견되었습니다.고구려 때 긴 구덩이를 만들고 그 아래에 불을 때어 따뜻하게 하였다는 기록이 구당서에 있으며 같은 기록에 백제는 고구려와 습속이 유사하다 이야기 하므로 백제에서도 이미 온돌의 초기 형태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이런 문화가 발달한 것은 기후 때문으로,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해 최처온도가 50도 이상 차이가 나 겨울은 너무 추워 난방을 하지 않으면 버티지 못하고 여름은 너무 더워 냉방을 하지 않으면 버티지 못하는 특성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여름을 버티기 위해 산을 등지고 강을 마주보는 배산임수형 주거지가 발달했는데 그 목적은 강 바람이 정면에서 들어오고 이 바람이 뒷면의 산을 통해 집에 좀 더 오래 머물수있게 되기 때문,반대로 겨울에는 온돌이라는 난방으로 버티게 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왕이 변을 볼 때 궁녀나 내시들이 주변을 지켰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왕이 대변을 볼때 신하들은 옆을 지키며 대변 성공 후 축하의 인사를 했으며 나인은 왕이 본 대변을 전의감에게 전달,전의감은 변의 농도와 색을 보고 손으로 찍어 맛을 보기도 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망부석이라는 옛날이야기는 어떻게 생긴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망부석 전설은 우리나라 여러 지방에 전해졌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신라 눌지왕 때 박제상의 아내에 대한 전설로 박제상이 일본에 볼모로 있는 왕자를 구출하고 자신은 사망, 돌아오지 않자 그의 아내는 수릿재에 올라가 높은 바위 위에서 멀리 왜국을 바라보며 통곡하다 그대로 돌부터가 되어 수릿재 신모가 되었고 그 바위를 뒷날 사람들이 망부석이라 불렀다 합니다.다.사람이 돌로 변한다는 화석 모티브는 현실에서 일어날수는 없고 돌 이라는 단어에는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찬양받을 만한 기념물이라는 뜻이 있어 이러한 돌로 후에 인공으로 기념비를 세우거나 죽은 장소에 있던 자연석을 기념하는 대상물로 삼게되면 그 곳 주민은 망부석을 대할 때 훌륭한 부인을 대할 때와 같은 경건한 존경심을 가지게 되니 이러한 과정을 줄이면 사람이 죽어 망부석이 되었다는 화석 이야기가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계백장군은 황산벌 전투에서 관창을 왜 두번이나 살려주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계백은 어린 소년의 용맹함에 감탄하여 죽이지 않고 용맹을 칭송한 뒤 신라군에게 되돌려 보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서는 왜 과거제를 서얼, 천민은 볼 수 없게 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얼은 태종이 만든 서얼금고법 때문에 정조 이전까지 문과 응시가 막혀있었습니다.경국대전에 따르면 범죄자나 횡령죄나 뇌물을 받은 관리의 아들, 재가한 부녀의 아들, 손자 , 서얼은 문과생원, 진사시에 응시할수없었습니다.서얼의 차별원인은 고려시대의 폐단을 반복하지 않기 위한 조처였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이성계 아들 이방원이 정몽주를 회유하기 위해서 부른 하여가는 어떤내용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칡넝쿨이 얽혀진들 그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혀 한평생을 누리니 입니다.
7467477487497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