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은서 전문가
성신학원
미술
미술 이미지
Q.  예술은 폭발이다 라는 말을 한 예술가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술은 폭발이다 라고 말한 사람은 일본을 대표하는 아방가르드 예술가인 오카모토 타로의 예술의 정체성에 대해 남긴 명언입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세계에서 최초로 나온 우표는 어떤 우표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 최초의 우표는 영국의 블렉페니 우표 입니다.블렉페니는 영국의 여왕이었던 빅토리아 여왕의 초상화가 도안이 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체스는 언제부터 즐기기 시작한 문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체스는 6세기 혹은 그 이전에 인도의 고대 장기 차투랑가를 체스 및 동양장기의 원조로 봅니다.차투랑가 또는 샤트란지 단계에서 고대 체스는 동양으로는 중국의 샹치, 한국의 장기, 몽골의 샤타르, 말레이시아 장기, 태국의 막룩, 미얀마의 시투인, 일본의 쇼기로 전파, 샤트란지는 서쪽으로는 아라비아, 남쪽으로는 에티오피아의 센테레지로 전파, 아라비에서 무슬림들을 통해 스페인으로, 동로마를 통해 이탈리아로 전해지며 현재의 체스로 바뀌어 유럽 각지로 전파되었습니다.체스의 기원은 그리스 장군 팔라메데스가 전술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었다는 설, 어느 여왕에게 아들이 죽었다는 것을 은유로 보여주기 위해 만들었다는 설, 인도 설화 중 두 왕이 철학자들에게 놀이를 만들어달라고 했는데 운명과 운에 영향을 많이 받는 백개먼스러운 놀이보다 개인의 의지와 지성이 더 큰 영향을 주는 체스 쪽이 더 인기가 많았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J.P. 모건은 어떤 인물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코네티컷주 하트퍼드 출생으로 모건 재벌의 제 2대 입니다.독일 괴팅겐대학을 졸업, 아버지 J.S.모건이 하던 금융업에 들어가 1895년 회사 이름을 J.P.모건으로 바꾸었고 아버지와 함께 영국의 자본을 동원해 신흥 미국시장에 투자시키는데 성공, 19세기 후반 미국의 공업과 철도를 위한 자금조달에 중요한 구실을 했으며 이로써 모건은 국제적 금융가로서의 지위를 확립, 프로이센프랑스전쟁때 프랑스 정부에 자금원조를 하고, 제 1차 세계대전 때 아들인 J.P. 모건 2세가 영국정부와 프랑스 정부를 원조하기로 했으며 로마에서 죽은 후 막대한 재산을 넘겼고 소장미술품의 대부분은 뉴욕의 메르로폴리탄 미술관에 기증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권율이 원균에게 곤장을 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권율이 원균에게 곤장을 쳤던 이유는 조정을 기망한 죄였습니다.원균이 자신의 평가가 깎일 원인을 제공했는데 간첩 요시라와 내응한 김응서, 그와 한패인 윤두수, 윤근수 형제는 이순신이 부산포를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나아가지 않는다는 이유로 죄를 뒤집어씌우는데에 혈안이 되어있었는데 정작 이순신은 출진을 했고, 김응서와 협의 후 회군하던 중 아군 병력이 납치되자 가덕도로 진군해 구출하기까지 합니다. 그러나 윤근수, 윤두수 형제는 이런 점은 무시한 채 무조건 이순신이 왜군을 무찌르지 않으려고 나서지 않았다고 우겼고 선조는 이를 이순신을 내칠 좋은 기회라 여기고 받아들였으며 원균은 삼도수군총제사 자리가 탐이 나 윤두수, 윤근수 형제의 의견을 적극 지지, 결국 이순신은 삭탈 관직당하고 원균이 후임 삼도수군통제사로 부임했는데 막상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자 이순신과 같은 논리로 출진을 거부, 원균도 부산 점령이 무리하는 것을 잘 알고 있었고 공격을 조금이라도 감행했던 이순신과는 정반대로 부산포 근처에 얼씬도 하지 않았습니다.부산 공격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걸 알면서도 이순신을 떨어트리기 위해 선조에게 '내가 부산을 치겠다' 허언을 한 것, 권율로서는 처벌할 근거가 충분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마야 문명의 시작은 언제부터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마야 문명은 지금의 메소아메리카에서 기원전 2000년부터 기원후 17세기까지 약 3800년에 걸쳐 번영을 누린 문명 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삼은이라 불린 인물 중 한명인 이색의 생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341년 진사가 되고 1348년 3월 원나라에 가서 국자감의 생원이 되어 성리학을 연구, 1351년 아버지 상을 당해 귀국, 1352년 4월 전제의 개혁, 국방 계획, 교육의 진흥, 불교의 억제 등 당면한 여러 정책의 시정개혁에 관한 건의문을 올렸으며 이듬해 향시와 덩동행성의 향시에 1등으로 합격해 서장관이 되었습니다.원나라에 가서 1354년 제과의 회시에 1등, 전시에 2등으로 합격해 원나라에서 응봉 한림문자 승사랑 동지제고 겸국사원편수관을 지냈으며 제과에 합격한 뒤 곧 귀국길에 올라 한산으로 돌아왔고, 같은 해 12월 통직랑 전리정랑 예문응교 지제교 겸 춘추관편수관에 임명, 이듬해 윤정월 내서사인으로 승진했으며 같은 해 3월 사은자 윤지표의 서장관으로 원나라에 가서 한림원에 등용되었으며 어머니를 봉양해야 한다는 구실로 1456년 1월 고려로 돌아와 중산대부 이부시랑 한림직학사 지제교 겸 춘추관편수관 겸병부낭중이 되어 인사행정을 주관하고 개혁을 건의해 정방을 폐지하게 했습니다.1357년 2월 국좌재주, 7월 우간의대부가 되어 유학에 의거한 삼년상제도를 건의해 시행하도록했고 이듬해 7월 추밀원우부승선 한림학사가 되고 , 1360년 3월 추밀원좌부승선지예부사에 이르렀으며 1361년 홍건적의 침입으로 왕이 남행할 때 호종, 이후 좌승선, 지병부사, 우대언, 지군부사사, 동지춘추관사, 보문각과 예관의 대제학 및 판개성부사 등을 지냈습니다.1362년 원으로부터 정동행중서성유학제거에 임명, 고려에서는 밀직제학 동지춘추관사로 승진, 단성보리공신에 봉해졌고 1363년 윤3월 1361년 호종한 공으로 기해격주홍적공신에 봉해지지만 모친상을 당해 9월 관직에서 물러났고 이듬해 기복되었으나 곧 병을 칭탁하고 사직을 청해 1373년 11월 면직되며 한산군에 봉해졌습니다.1375년 왕의 요청으로 다시 벼슬에 나아가 정당문학, 판삼사사를 역임, 1377년 추충보절동덕찬화공신의 호를 받고 우왕의 사부가 되었으며 1388년 철령위문제가 일어나 화평을 주장, 1389년 위화도회군으로 우왕이 강화로 쫓겨나자 조민수와 함께 창왕을 옹립, 즉위하게 했습니다.판문하부사가 되어 명나라에 사신으로 가 창왕의 입조와 명나라의 고려에 대한 감국을 조청해 이성계 일파의 세력을 억제하려 했습니다.이해에 이성계 일파가 세력을 잡자 오사충의 상소로 장단에 유배, 이듬해 함창으로 옮겨졌다 이초의 옥에 연루되어 청주의 옥에 갇혔는데 수재가 발생함으로 함창으로 다시 옮겨 안치되었습니다.1391년 석방되어 한산부원군에 봉해지나 1392년 정몽주가 피살되자 이에 연루되어 금주로 추방, 여흥, 장흥 등지로 유배된 뒤 석방되었으며 1395년 한산백에 봉해지고 이성계의 출사 종용이 있었으나 끝내 고사하고 이듬해 여강으로 가던 도중 사망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과거시험을 볼 때 부정행위를 어떻게 할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과거제에서 부정행위는 고반- 고개를 돌려 옆의 답안지 베끼기, 낙지- 답안지를 일부러 떨어뜨려 다른 사람을 보게 하는 것설화- 옆사람과 의견을 나누어 답을 적는 것수종협책- 책 자체를 가지고 들어가는 것으로 콧구멍 속에 숨기는 의영고, 붓 속에 숨기는 협서 등 다양했습니다.암표- 응시자가 시험관과 미리 정해놓은 표시를 시험지에 해서 자신을 알리는 방법외장서입- 시험지가 외부에서 들어오는 것음아- 서로 짠 옆사람이 들을 수 있도록 웅얼거려 말해주는 방법이석- 자리 옮기기이졸환면출입- 시험장을 경비하는 이졸을 미리 매수한 사람으로 교체해 하는 부정행위자축자의환롱- 시험지에 장난을 친 후 그 답안지를 손봐 합격하는 행위절과- 합격자의 답안지에서 이름 부분만 미리 정해진 사람과 바꿔 붙이는 경우정권분답- 시험지 바꿔치기차술차작- 다른 사람의 글을 빌려 쓰는 것, 대리시험혁제 - 시험관 매수혁제공행- 과거 제목을 미리 아는 것등 부정행위는 다양했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정종때 시행한 분경금지법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분경금지법은 조선시대 하급관리가 상급관리의 집을 방문하지 못하도록 규정한 법 입니다.이는 엽관운동과 청탁을 막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상왕은 무엇이고 왜 생겼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위를 물려주고 물러난 황제를 높여 가리키는 칭호로 상황, 태황제, 태상황제 라고 하기도 합니다.한국사에서는 태상왕, 상왕이라 불러왔으며, 태상왕이 상왕보다 격이 높은 호칭입니다.조선사에서 태조와 정종처럼 상왕이 복수 존재하는 상황에서 상왕간의 서열을 정리하기 위해 격이 높은 호칭으로 태상왕이 사용, 세조와 예종의 경우 양위하여 물러난 상왕을 높이기 위한 표현으로 사용되기도했습니다.태상황이 되는 경우는 여러 이유이지만 자의로 퇴위하는 경우, 강제로 퇴위하는 경우로 나뉩니다.국왕의 보좌, 자기가 물러나고 아들이 즉위해도 잘 할지 모르나 일단 왕위를 넘겨 가르치고 보좌해준다는 것, 왕보다는 태상황이 위고 승계에 있어 태상황이 왕위보다 위라 다다음 왕이 누가 될 지 정하기 위해 물러나기도 하고 자기 후계자의 지위가 불안정하니 일단 물려줘 자기 권위로 지위를 안정시켜주기 위해 물러나기도 합니다.
7467477487497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