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은서 전문가
성신학원
음악
음악 이미지
Q.  스위스 요들송은 어떻게 생겨났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세부터 내려오는 스위스 알프스 지방의 노래로, 스위스는 곳곳에 높은 산봉우리나 깊은 산골짜기가 많아 알프스에 사는 목동들은 서로 떨어져 만나기 어려웠기 때문에 멀리 있는 사람에게 소리를 외쳐 자신들의 생각을 전달하기 시작했습니다.즉, 요들송은 목동들이 서로 생각을 주고 받는 신호에서 생기게 되었습니다.처음 요들송은 가사와 악기 반주 없이 남자 혼자 불렀으나 점차 중창곡으로 발전, 18세기 후반부터 가사 있는 요들송이 나타났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홍길동전을 집필했던 허균이 능지처참을 당했던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허균은 광해군 때 권신인 이이첨의 수족으로 영창대군 제거 이후 소성대비의 혜서인 과정에서 주도적으로 활약한 인물로, 유언비어를 살포하고 사람들을 모아 불궤를 도모했다가 일이 커지고 발각이 나자 이이첨에게 버림받은 것으로 구삼 중 부하들에게만 심문이 이루어졌고 본인에게는 제대로 된 심문이 없었으며 곧 이이첨이 의금부에 드나들며 허균을 안심시키다 창졸간에 끌어내 처형했습니다.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허균의 죄는 기준격의 전후 소 중에 나타난 흉모의 곡절과, 김윤황을 사주해 흉격을 화살에 매어 경운궁 가운데 던지게 한것, 남대문의 흉방에 대해 하인준이 허균이 했다고 이른 것, 몰래 승도들을 모아 난을 일으키려고 모의한 것, 산에 올라가 밤에 소리쳐 도성의 백성들을 협박하여 나가게 한것, 유구의 군대가 원수를 갚으러 와서 섬에 숨어있다고 한 설 등이 모두 허균이 한것이라 전후의 흉모에 대해 김윤황과 하인준이 일일이 승복한 죄 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논개는 어떤 직업이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논개는 진주목의 관기 였습니다.관기는 관청에 예속되어있던 기생으로 궁중 또는 관청에서 가무, 기악을 하던 기생을 말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북한은 외래어를 따로 사용하지 않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북한체제가 외래어로 인해 기반이 혼미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사찰에 붙은 이름 중에 '-사'와 '-암'이 있는데 그 차이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와 암의 차이는 절의 크기에 따라 부르는 것으로 큰절은 사, 작은 절은 암 이라는 이름이 붙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향일암은 암이라고 하고, 월정사는 사라고 하는데, 암과 사의 차이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암과 사의 차이는 크기를 나타내는 차이로, 통상적으로 큰 절은 사, 작은 절은 암 을 붙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본에서 메이지유신전까지 고기를 금지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나라, 백제를 통해 일본에 불교가 유입되어 신토와 함께 자리잡자 살생을 금지하는 불교 교리에 따라 675년 덴무 덴노는 농경기간동안 소, 말, 개, 원숭이, 닭의 섭취를 금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백정이라는 말이 조선에서 욕설로 사용된 최초가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평민 하류에 속해 천민인 노비보다 사회적 인식이 나빴으며 조선 전기 중대한 사회문제로 취급받았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강원도 강릉이 순두부로 유명하게된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허난설헌과 허균의 아버지 허엽이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초당두부로 유명하며, 초당동 지역에서 이미 동해의 맑은 물을 간수로 이용해 두부가 유명했고, 허엽이 그 두부 맛에 취해 자신의 호인 초당을 붙여 부르기 시작했다는 설이 있습니다.초당두부는 바닷물을 간수로 이용해 깔끔하면서 부드러운 식감, 통의 고소한 향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허균의 누나 허난설현이 비운의 천재라고 들었는데 허난설현이 어떤 사람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본관 양천, 호 난설헌, 별호 경번, 본명 초희 입니다.명종 19년 강원도 강릉 출생으로 홍길동전의 저자인 허균의 누나로 이달에게 시를 배워 8세때 이미 시를 지었으며 천재적인 시재를 발휘, 1577년 15세때 김성립과 결혼하나 원만하지 못했다고 하며 딸과 아들을 모두 잃고 오빠 허봉이 귀양을 가는 등 불행한 자신의 처지를 시작으로 달래서 섬세한 필치와 독특한 감상을 노래, 애상적 시풍의 특유한 시세계를 이룩했습니다.
8568578588598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