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국제 무역 분쟁에서의 패소가 관련 산업의 수출 전략에 미칠 영향은 어떠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WTO 무역 분쟁에서 패소하면 해당 산업 기업들은 수출 전략을 재조정해야 합니다. 패소로 인해 관세 인상이나 수입 제한 같은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업은 대체 시장 개척에 집중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분쟁국 대신 동남아, 유럽 등 새로운 시장을 타겟으로 수출 비중을 늘리고, FTA를 활용해 관세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제품 차별화(기술 혁신, 브랜드 강화)를 통해 경쟁력을 높여야 분쟁국의 규제 영향을 상쇄할 수 있습니다.다만, 기존시장에서 해당 부분에 대한 핸디캡을 받아드리고 이에 대하여 대응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부분은 수입자체가 금지되지 않을때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Q. 기대와도 다르게 미국주식시장이 안좋은데 트럼프정부는 왜 관세전쟁을 시작한걸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트럼프 정부가 관세를 주요 정책으로 삼은 이유는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와 경제적·안보적 목표를 달성하려는 의도 때문입니다. 트럼프는 관세를 통해 미국 내 제조업 일자리를 보호하고, 무역 적자를 줄이며, 외국 기업들이 미국으로 생산 기지를 옮기도록 압박하려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2025년 3월 4일부터 캐나다·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 10% 관세를 부과하며 펜타닐 유입 억제와 국경 안보를 명분으로 내세웠습니다. 또한, 트럼프는 관세를 재정 수입원이자 정치적 약속 이행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는 19세기 관세 중심 경제를 이상적으로 여기며, 소득세를 대체할 정도로 관세 수입을 늘려 국가 부채를 줄이고 국민 세금을 감면하겠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관세 수입(2024년 약 814억 달러)은 연방 세입(4.2조 달러)에 비해 미미하며, 전문가들은 관세 전쟁이 물가 상승과 보복 관세로 이어져 미국 경제에 오히려 손해를 끼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Q. 수출 상대국의 소비자 불매운동이 해당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미칠 영향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특정 국가에서 한국 제품에 대한 불매 운동이 발생하면 기업은 브랜드 이미지 재정립과 대체 시장 공략을 중심으로 전략을 조정해야 합니다. 불매 원인(정치적, 문화적 갈등 등)을 분석해 현지 소비자 감정을 자극하지 않도록 브랜드 메시지를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으로 수정하고, 한국적 색채를 줄인 글로벌 브랜드로 포지셔닝(예: ‘K-’ 대신 국제적 이미지 강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SNS 등에서 현지 여론을 모니터링하며 신속히 사과나 해명을 내놓아 반감을 완화해야 합니다.마케팅 방식은 현지화와 다변화로 전환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현지 파트너와 협업해 제품을 로컬 브랜드처럼 보이게 하거나(예: 현지 OEM 생산), 불매 영향을 받지 않는 대체 시장(동남아, 유럽 등)을 타겟으로 판촉 활동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마케팅을 활용해 타 국가 소비자와의 접점을 늘리고, 불매 국가에서는 직접 광고를 줄이는 대신 입소문이나 간접 홍보로 피해를 최소화하는 전략이 효과적입니다.감사합니다
Q. FOB 조건으로 수출시 인보이스에 위험물 검사비용을 추가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FOB(Free On Board) 조건에서는 수출자가 선적항까지의 비용과 책임을 부담하며, 해상운임은 수입자가 부담하므로 인보이스에는 해상운임을 기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위험물 검사비용은 선적 전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이므로, 이를 인보이스에 포함할 수 있습니다.일반적으로, 위험물 검사비용을 수입자에게 청구하려면 인보이스 하단에 별도 항목으로 "Dangerous Goods Inspection Fee" 등의 명칭으로 기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수입자와 사전 협의를 통해 비용 부담 주체를 명확히 해야 하며, 경우에 따라 수입자가 별도 송금하거나, 본선인도 이전에 부담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바이어는 위험물 관련 비용을 포함한 수정된 FOB 조건(예: FOB 포함 위험물 검사비)을 원할 수 있으므로 계약 단계에서 이를 조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감사합니다
Q. 미국과 교역을 많이 하는 상위 5개국이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미국이 관세 전쟁을 선포하며 글로벌 무역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운데, 2024년 기준으로 미국과 교역액(수출입 합계)이 가장 많은 상위 5개 국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미국 상무부와 인구조사국(US Census Bureau) 데이터에 따르면, 멕시코가 약 7,980억 달러로 1위를 차지하며, 캐나다가 약 7,730억 달러로 2위, 중국이 약 5,750억 달러로 3위를 기록했습니다. 이 세 국가는 미국 전체 교역의 약 42%를 차지합니다. 4위와 5위는 독일과 일본으로, 각각 약 2,360억 달러와 2,230억 달러 수준입니다. 이 국가들은 자동차, 기계, 전자제품 등 주요 품목에서 미국과 밀접한 무역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국가들은 현재 트럼프과 관세정책의 목표 국가들이기도 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