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친절하고 꼼꼼하게 세법문제를 해결해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친절하고 꼼꼼하게 세법문제를 해결해드리겠습니다
최희원 전문가
삼도회계법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세금·세무
자격증
종합소득세
2023년 10월 5일 작성 됨
Q.
월세를 낸 것도 소득공제를 받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희원 세무사입니다.네 맞습니다. 총급여액이 7천만 원이 넘어가지 않는다면 월세 지급내역과 임대차계약서를 제출하시면연말정산 때 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문의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상속세
2023년 10월 5일 작성 됨
Q.
아버지 돌아가셔서 상속관련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희원 세무사입니다.감정평가를 받게 된다면 감정평가금액으로 상속세 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산정된 금액이추후 양도 시 취득가액으로 계상되어 세액을 절감시킬 수 있습니다.문의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종합소득세
2023년 10월 5일 작성 됨
Q.
종합부동산세 기준 금액이 정확히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희원 세무사입니다.네 맞습니다. 공시지가의 합계로 과세표준이 잡힙니다. 그리고 2주택자 이상의 경우에는 9억까지 공제를 해주게 됩니다.공제 된 금액에 대해서 세율이 적용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문의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법인세
2023년 10월 4일 작성 됨
Q.
법인의 상업용 부동산을 취득할 때 취득세등의 세금은
안녕하세요. 최희원 세무사입니다.5년 이내의 법인이 수도권 내의 부동산을 취득하게 되면 중과세가 적용 됩니다.취득세율은 중과세가 적용되는 경우 9.4%가 됩니다. 따라서, 과밀억제권역 밖의 본점 소재지의 법인으로 매수를 하시는 것이세금면에서는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문의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종합소득세
2023년 10월 4일 작성 됨
Q.
이런경우에 여동생 남편도 세액공제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희원 세무사입니다.기타 친족의 경우에도 1천만 원 공제가 가능합니다.4촌 이내의 혈족, 3촌 이내의 인척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여동생의 남편에 대해서도 공제가 됩니다.문의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연말정산
2023년 10월 4일 작성 됨
Q.
직장인 근로소득과 개인사업자 수익의 종합소득세 처리 방식?
안녕하세요. 최희원 세무사입니다.총급여액에 대해서도 근로소득공제액이 있기 때문에 순 근로소득금액이 있을 것입니다.그 금액에 말씀하신대로 매출-경비를 뺀 사업소득금액을 더해서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시게 되겠습니다.문의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종합소득세
2023년 10월 4일 작성 됨
Q.
은행 적금이나 예금을 가입하면 세금을 떼나요?
안녕하세요. 최희원 세무사입니다.네, 맞습니다. 이자나 배당에 대해서는 금융기관의 경우에는 15.4%를 떼고 지급하게 됩니다. 그리고 1년 내의 이자, 배당의 합계 금액이 2천만 원 넘어가게되면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도 하셔야 합니다.문의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양도소득세
2023년 10월 4일 작성 됨
Q.
분양권 매매 후 언제까지 양도세 신고를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희원 세무사입니다.분양권의 경우에는 매도일이 속한 달의 말일로부터 2달안에 신고, 납부하셔야 합니다. 1년 내 양도의 경우, 주택 분양권에 대해서는 77%가 과세되고, 오피스텔 등 분양권은 55%가 과세됩니다.저는 부동산 관련 세법, 경매학원 강의, 양도/상속/증여 등에 대한 내용으로 블로그 운영 중입니다.문의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종합소득세
2023년 10월 1일 작성 됨
Q.
개인사업자인데 현금영수증 할때 휴대폰번호로 해도되나요??
안녕하세요. 최희원 세무사입니다.개인사업자의 경우에는 지출증빙용으로 사업자등록번호로만 가능합니다. 핸드폰 번호나 주민등록번호로 현금영수증을 발급받게되면사업용으로 경비처리가 되지 않습니다.문의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상속세
2023년 10월 1일 작성 됨
Q.
증여세와 상속세의 차이는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희원 세무사입니다.상속은 피상속인이 사망을 함으로써 나머지 상속인에게 지분이전이 되는 개념입니다.증여는 증여자가 살아있을 때 지분이전 시키는 것으로 세율은 상속세율과 증여세율이 같지만, 상속은 사망 시점의 재산을 전부 합쳐서 세율을 적용시키기 때문에 훨씬 더 많이 나온다고 보시면 됩니다.따라서, 사망 시점으로부터 미리미리 증여를 함으로써 상속 때 누적된 세금을 줄이기 위한 플랜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문의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