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18일 전 작성 됨
Q.
은하에 존재하는 항성들은 언제 블랙홀 안으로 전부 빨려들어가나요?
모든 별은 블랙홀에 빨려들어가는 일이 거의 나타나지 않게 되는데요.중력이 매우 강하긴 하지만 본인에게 가까이 있는 물체에만 영향을 주게 합니다. 태양 질량의 수백만~수십억 밷 ㅚ는 초거대질량 블랙홀이 은하 중심에 있지만 전체 크기에 비하면 중력 영향이 중심 부근에만 국한되게 되죠. 우리 태양은 은하 중심에서 약 26,000광년 떨어져 있는데 이 거리에선 중심 블랙홀이 중력을 거의 무시할 수준이 되는 것이죠. 시간이 지나도 대부분의 별은 안정적인 궤도에서 움직이게 되며 모든 별은 사실상 무한대에서 이 영향을 받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18일 전 작성 됨
Q.
지구에 떨어진 운석이 비싸게 팔리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우주에서 온 ㅇ누석이 비싼것은 희소성이 가장 크죠. 운석은 매일 지구에 떨어지긴 하지만 대부분 대기중에서 타버리지만 지표까지 도달해 회수 가능한 운석은 극히 일부분이기에 온전한 형태로 발견되기가 매우 드뭅니다. 그렇기에 희소성이 높게 되겠죠. 과학적 가치가 매우 큰데 운석은 보통 태양계 초기의 정보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기에 의미가 더욱 더 있게 되겠지요!
18일 전 작성 됨
Q.
블랙홀은 얼마나 많이 분포되어 있는건가요?
블랙홀은 우리은하 안에서도 약 1억개 이상이 있을것으로 보고 있끼에 우주 전체를 보면 수천억~수조개의 블랙홀이 있을수 있을것입니다. 별은 매우 오래전부터 태어나고 죽어왔기에 태양보다 훨씬 큰 별은 죽으면서 블랙홀로 붕괴되어 여러 블랙홀들이 만들얼지게 된것이지요.
18일 전 작성 됨
Q.
블랙홀은 공간에 구멍이 난게 맞는건가요?
블랙홀은 구멍이 난것이 아닌 질량이 너무커서 시공간이 극단적으로 휘어지는 지점이죠. 별이 너무 커서 자체 중력을 견디지 못하고 붕괴하게 되면 모든 질량이 중심점에 몰리게 되고 이 중심이 무한히 작고 밀도가 무한히 큰 상태가 되는데 이로인해 중력장이 너무 강해지고 빛조차 탈출할 수 없게 되는 영역인 사건의 지평선을 만들게 됩니다. 블랙홀은 질량이 공간을 휘어지게 만드는 극단적인 예시이며 질량이 클수록 시공간이 더 깊이 오목하게 패이게 되고 블랙홀은 그 오목함으로 끝없이 깊어진 극단적인 굴곡을 가지게 하는 것이죠.
18일 전 작성 됨
Q.
모든 별이 블랙홀로 변할 수 있나요? 아닌가요?
별은 핵융합 에너지로 스스로 빛을 내며 살아가다가 연료가 다 떨어지게 되면 중력에 의해 수축하며 죽음의 단계로 들어가게 됩니다.이는 별의 초기 질량에 따라 다라지는데 0.08~8배 정도는 백색왜성으로 죽게 된 이후 암흑왜성이 되게 됩니다. 8~25배 정도는 초신성폭발이 이루어지며 중성자별이 되고, 25배 이상은 초신성이 폭발한 이후 블랙홀을 만들게 합니다. 큰별만 블랙홀이 되는 것은 별이 죽을때 중력과 압력의 싸움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질량이 작으면 자체 압력이 중력을 버텨내며 백색왜성이 되지만 무거워지면 중력붕괴가 너무 강해져 모든것을 안으로 집어삼키게 되는 것이죠!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