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1 지구과학 질문입니다. 기권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기권의 구조는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나뉘며 그 경계엔 대류권계면, 성층권계면, 중간권계면이라는 경계부분이 있습니다. 각 층은 고도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데 계면에서는 온도 변화가 거의 없이 일정하게 되죠. 성층권계면에서 온도가 일정한 것은 고도가 높아질수록 오존층이 자외선을 흡수하여 온도가 상승하는 성층권이지만 꼭대기에선 더이상 자외선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오존이 거의 없게 되고 자외선 ㅇ흡수가 가열작용을 끝내게 되고 이에 따라 온도가 올라가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는 것이죠. 중간권계면의 경우 고도가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지는데 이는 복사 냉각 때문입니다. 꼭대기인 중간권계면즈음엔 공기가 매우 희박하고 복사 에너지 손실이 적어지기에 기체 분자의 운동이 거의 없어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Q. 일기예보가 어느시기부터 과학의 영역으로 들어오게 된건가요?
초기 일기예보는 과학보다는 감에 의존한 예측이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서 물리학, 수학, 천문학, 기상학, 컴퓨터 등의 과학들에 대해서 총동원된 고도의 과학분야가 되게 됩니다. 이는 1643년 토리첼리가 기압계를 발명하고 이후 18세기 후반이 되면서 기상 데이터를 수집하기 시작하면서 점점더 현재의 모습이 되 갑니다. 일기예보의 과확하는 19세기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영국은 기상청을 창설하고 이러한 것들에따라 일기예보 체계가 도입되기 시작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