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층화산과 순상화산의 구조적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십니까 화산을 보게 되면 성층화산이 있으며 순상화산이 있는데요 그렇다면 이 두 화산의 차이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성층화산은 높고 가파란 원뿔형이며 용암과 화산쇄설물이 층층이 쌓여 만들어지게 되고 겉에서 보면 층이 겹겹이 쌓인 구조가 됩니다. 점성이 높은 화산암질 마그마가 잘 흐르지 않게 되면서 압력이 많이 쌓이고 폭발력이 강한 화산에 의해 분출되고 판이 충돌하는 수렴형 경계에서 주로 나타나게 됩니다. 순상화산은 넓고 완만한 경사의 돔 형태로 마그마가 반복해서 넓게 퍼지며 흐르게 되고 낮고 넓은 구조를 가지게 합니다. 점성이 낮은 현무암질 마그마로 잘 흐르고 압력이 잘 빠져나가서 비교적 조용한 분출이 나타나게 됩니다. 열점이나 발산형경계에서 나타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
성층화산과 순상화산의 차이는 근본적으로 분출하는 마그마의 조성에 따라 발생합니다.
마그마는 SiO2 함량에 따라 52% 이하인 현무암질, 63% 이상인 유문암질, 그 사이인 안산암질로 구분합니다. 현무암질 마그마는 온도가 높고 유동성이 크며, 휘발성분이 적습니다. 그에 비해 유문람질 마그마는 점성이 크고 휘발성분이 많습니다.
현무암질 마그마는 지표의 좁은 틈만 있어도 빠져나오며 유동성이 커서 멀리까지 흘러갑니다. 따라서 현무암질 마그마의 분출로 만들어진 화산체는 경사가 완만한 용암대지나 순상화산을 형성합니다.
안산암질 마그마는 현무암질과 유문암질의 중간 성질을 가지므로 비교적 조용한 분출(주로 용암 분출)과 격렬한 분출(화산 쇄설물 분출)을 번갈아 합니다. 이로 인해 안산암질 마그마의 분출로 형성된 화산체는 용암과 화산쇄설물이 번갈아 쌓여 층을 이루는 성층화산이 됩니다.
순상화산은 모양에 관계된 용어이지만 성층화산은 모양보다는 화산체를 이루는 물질의 층에 관계된 용어입니다.
화산체의 경사는 현무암질에서 유문암질로 갈수록 급해집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