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과학 시간에 배운 중력 수축에 대해 궁금증이 생겨 질문합니다
중력수축이 일어나기 위한 조건은 그 물질 내부의 압력을 이겨내야 시작됩니다. 중력수축은 질량이 충분히 크고, 온도가 낮으며 밀도가 높고 방해 요소가 없을때 일어나게 됩니다. 질량이 클수록 중력의 인력이 강해지고, 내부 압력을 눌러 수축을 유도하게 됩니다. 진공에 티끌이 하나만 있어도 중력은 작용하지만 그 티끌 자체는 중력수축을 하지 않게 되겠지요! 온도가 높으면 내부의 기체 압력이 커지며 중력을 막게 되고 차갑고 조밀해지면서 중력수축이 잘 이루어질수 있게 됩니다. 외부에서 오는 자기장이나 회전 운동, 복사압 등이 있으면 수축이 방해되기에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하여 중력이 수축되면서 별, 행성, 블랙홀등이 진화되게 됩니다. 중력수축이 일어나기 최적의환경이 성운이라고 이야기하는것도 이러한 이유죠. 상대적으로 큰 질량과 온도가 낮고 밀도도 충분하다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성운이 아닌 곳에서도 중력 수축이 일어날 수 있게 됩니다.
Q.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외계생명체 발견에있어 어떤 역할을 수행중인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외계 생명체 탐색에 있어 직접적인 생명체 관측보단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시사하는 환경적 조건을 파악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외계 행성의 대기를 분석하는게 핵심적인 기능입니다. 항성 앞을 행성이 통과할때 별빛이 행성의 대길 통과하며 대기 성분이 흡수하는 파장을 분석하는 통과 분광법을 사용하며 이 분광법에 탁월하며 작은 온도 차이나 희박한 대기 성분도 정밀하게 분석하지요. 수증기, 메탄, 이산화탄소, 산소, 오존등을 바탕으로 비정상적으로 함께 존재하면 생명활동의 징후 일 수 있습니다. 생명체 거주 가능한 영역에 위치한 행성들의 대기 조건을 분석하여 표면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지 판단하며 생물학적 과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화학물질들을 찾아내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