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국제 우주정거장에서는 보통 어떤일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국제우주정거장은 우주 환경에서 과학 연구 수행, 우주 비행과 생명체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고, 달화성 유인 탐사의 전초기지 역할을 하고 국제협력과 기술 실험의 장으로 우주를 연구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곳입니다.국제우주정거장에서 우주인들은 과학실험, 정비 및 유지 보수, 지구와 우주 관측, 생활실험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Q. 국제 우주 정거장의 관리는 어디서 하고 예산은 한 국가에서 전담해서 관리하는건가요?
국제우주정거장은 말 그대로 여러나라가 힘을 합쳐 만든 국제 공동 프로젝트로 한나라가 전담해서 관리하거나 예산을 부담하는 것이 절대 아니죠. 지구 상공 약 400km 궤도를 도는 인류 최대의 우주 실험실로 무게 약 420톤, 축구장만한 크기로 1998년부터 조립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20년 이상 운영중입니다. 미국, 러시아, 유럽우주국, 일본, 캐나다 등이 공동으로 설게, 건설, 운영하고 있으며 기술력과 자금 인력 등을 협력하여 운영하는 완전한 국제적인 프로젝트이죠! 예산 총 규모는 연간 30~40억 달러 정도로 추정되고 그 중 나사가 가장 많은 몫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Q. 우리 태양계에 존재하는 행성중에 주변에 띠가 형성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태양계에서 어떤 행성은 주변에 아름다운 띠를 갖고 있으며 어떤 행성은 전혀 없는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띠를 가진 행성은 외행성으로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며 고리는 작은입자들로 구성돼 있는데, 오랫동안 유지되려면 강한 중력을 가져야 하는데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같은 거대한 가스 행성은 중력이 강하기에 고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지요. 행성 주변 일정 거리 안에선 달이 조각나서 고리가 될 수 있는 한계 거리가 있꼬 이 안에 작은 위성이 중력 차이로 찢기게 되면 고리를 형성하게 되고 토성의 고리는 과거의 위성 충돌 또는 파괴로 생긴것으로 추정이 되죠. 고리는 때때로 위성이 다른 물체와 ㅊ충돌하거나 행성 중력에 의해 찢기면서 생기게 되고 가스 행성들은 작은 위성을 많이 거느리고 있끼에 충돌이나 조각 파편이 고리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지구도 과거엔 고리가 있었을수도 있으며 중력이나 대기 저항, 태야웊ㅇ 등에 의해 시간이 지나며 사라졌을수도 있습니다!
Q. 목성은 기체행성인데 어째서 중력이 엄청나게 강한건가요?
행성의 중력은 무엇으로 만들어졌냐보다는 얼마나 질량이 크냐가 더 영향을 줍니다. 중력은 질량이 크면 중력이 강하고, 반지름이 너무 크면 그 효과가 줄어들며 목성의 질량이 지구보다 약 318배, 반지름은 11배 이기에 표면중력이 24.8m/s2으로서 지구의 2.5배입니다~ 목성의 90% 이상이 수소와 헬륨으로 되어 있지만, 안쪽에는 고체 핵이 존재할 가능성이 크며 중력에 의해 내부 수소는 액체 상태, 심지언 금속수소 상태로 존재할 정도로 압축되어 있습니다. 이정도로 밀도가 높아지면 기체라도 중력이 엄청나게 강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