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지구와 달처럼 달의 한면만 보이는 조건을 가진 다른 행성도 존재하는지 궁금합니다.
달은 항상 지구에서 같은 부분이 보이는 것이 조석고정때문인데 이는 중력에 의해 위성과 행성이 서로 잡아당기며 조석력을 만들게 하고 이 힘은 시간이 지나며 위성의 자전을 공전주기와 일치하게 만들고 항상 한면을 보도록 고정시켜 주는 것이지요. 또한 태양계 내의 대부분의 위성들은 조석 고정상태를 유지합니다.(목성엔 이오,유로파,가니메데,칼리스토가, 해왕성은 트리톤이, 천왕성엔 티타니아, 오베론 등이) 또한 행성과 별 사이에도 조석 고정이 가능하며 태양계 바깥 외계행성 중 일부는 자기 항성에 조석 고정된것으로 작고 차가운 별인 M형 왜성을도는 지구형 외계 행성은 대부분 조석고정일 상태가 높지요. 조석고정은 기온을 극단적으로 그리고 생명체의 거주성에 영향을 줄수 있스빈다.
Q. 구름의 종류에 따라서 높이도 다른가요?
구름은 크게 고도층에 따라 상층운, 중층운, 하층운으로 나뉘며 상층운은 6~13km이상, 중층운은 2~7km, 하층운은 지상~2km정도의 높이를 나타내는 구름을 의미합니다. 구름의 높이는 높은곳일수록 온도가 낮고 기압이 낮아 구름의 종류가 달라지며 적운이나 적란운은 상승 기류가 강할때 층운은 기류가 약할때 형성됩니다. 날씨가 좋을땐 적운, 흐리고 비가 올땐 층운이나 적란운이 나타나죠. 물론 상층의 권운이나 중층의 고적운, 하층의 층운이 동시에 관찰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