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Q.  우리 지구에서 관측을 할수 있는 별의 갯수는 몇개나 될까요?
지구에서 맨눈으로 볼수 있는 경우를 의미하시겠지요? 맨눈으로는 아주 맑고 빛 공해가 없는 사막이나 산속 해발고도가 높은 곳에서는 최대 3천개 정도 북반구에서 볼수 있다고 합니ㅏㄷ. 지구 반대편까지 모두 포함하면 약 6천개 정도가 되겠지요! 도시에는 100개도 덜 보이게 됩니다! 하지만 망원경을 사용하면 그 갯수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나게 됩니다. 4인치정도 되는 구경을 사용하면 약 100만개 이상의 별을, 12인치 정도의 구경까지는 1억개 이상의 별들을 볼수 있지요. 유명한 허블우주 망원경의 경우 약 2천억개 정도의 별도 볼수 있답니다! 우리 은하와 다른 은하들을 포함하게 되면 우리가 볼수 있는 우주의 은하 갯수는 약2조개 이상일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우주에 있는 모든 별의 갯수는 10^24개 정도일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10^24개는 1000조 * 1000억 이라 어마어마한 큰 숫자이지요! 따라서 지구의 모든 모래알을 합친 것보다 별의 갯수가 많다라고 비유하기도 한답니다!
Q.  엘리뇨 현상이 우리에게 유익하게 해주는것은 없나요?
세상의 모든 이치가 그렇더라구요. 긍정적인게 있으면 부정적인게 있는 한없이 좋은것만 있는 한없이 나쁜것만 있는것은 아닙니다~ 엘리뇨의 긍정적인 영향으로는 태평양의 수온이 상승하고 대기 순환이 변화하게 되면서 대서양의 허리케인 발생 빈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로 인해 미국 동부와 카리브해 지역에서 강력한 허리케인 피해를 줄이는 효과를 주지요~ 또한 일부 지역에선 가뭄을 완화 하는 효과를 보여줍니다. 평소 건조한 지역에서는 엘리뇨의 영향으로 비가 많이 내려 가뭄을 해소하게 됩니다. 미국 캘리포니아는 엘리뇨가 강할때 많은 강수량을 받아 물 부족 문제를 완화시키기도 하지요! 또한 농업생산량을 증가시키기도 합니다. 남미는 엘리뇨가 강하게 되면 강수량이 증가하게 되고 옥수수, 콩, 밀 등의 농작물 수확량이 증가하기도 합니다. 호주 북부와 동남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는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줄어들며 수확이 안정적인 경우도 있답니다! 엘리뇨는 일반적으로 페루, 칠레 등의 어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긴 하지만 일본이나 캘리포니아 알래스카 등의 어업에는 유리한 조건을 만들기도 합니다! 북미와 유럽 일부 지역은 엘리뇨가 발생하게 되면서 한파가 덜해지기도 하지요! 따라서 한곳이 좋으면 한곳이 안좋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엘리뇨나 라니냐를 부정적으로만 보지만 지구의 기후 시스템의 결과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Q.  모든 은하의 중심에는 블랙홀이 있는 건가요?
우주에서 발견된 대부분의 거대 은하 중심엔 초거대질량 블랙홀이 존재하는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모든 은하가 반드시 블랙홀을 가지고 있는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우리은하의 경우 거대한 블랙홀이 중심부에 있는데 질량이 태양 질량의 약 430만배정도로 계산되며 주변 별들이 아주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것이 관측되어 블랙홀의 존재가 확정되었습니다. 이후 2022년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을 통해 그림자를 직접 촬영하기까지 하였지요. 다른 은하들에서도 그 존재가 확인되며 중력효과로 관측하였답니다. 하지만 왜소은하나 불규칙은하와 같은 곳에선 블랙홀이 발견되지 않기도 하며 블랙홀과 은하와 관련해서는 블랙홀이 먼저 생성되고 주변 물질을 끌어모아 은하를 형성한다와 은하가 먼저 형성되고 중심에 물질이 뭉쳐 블랙홀이 만들어지는 두 가설이 있는데 현재까지 는 블랙홀와 은하는 서로 ㅕㅇ향을 주며 함꼐 진화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Q.  우주에 최초로 나간 생울은 무엇인가요?
최초로 우주에 보낸 생물로는 1947년 초파리였다고 합니다. 1947년 2월 20일 초파리를 미국이 V-2로켓에 태워 우주로 보냈다고 하며 고도 약 109km까지 올라갔다고 합니다. 이 이후 1957년 11월 3일 소련이 개 라이카를 스푸트니크 2호에 태워 우주로 보냈고 지구 궤도 200~1,600km까지 올라갔다고 합니다.
Q.  우라늄이 매장된 지역에는 어디가 있나요?
우라늄은 원자력 발전과 핵무기 제주에 사용되는 원소인데요. 가장 많이 매몰되어있는 국가는 호주이며 전세계 비율이ㅡ 28%를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다음이 카자흐스탄(14%), 캐나다(10%), 러시아(8%) 순으로 형성되어있습니다. 주요한 생산국은 카자흐스탄이 1위인데요 전세계의 45%를 생산하고, 그다음이 캐나다로 16%정도를 생산해 내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우라늄 매장량이 매우 적으며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2862872882892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