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5년 1월 31일 작성 됨
Q.
우주에서 식물이 자라면 뿌리는 어디로 뻗을까요?
우주에선 중력이 거의 없는 미세중력환경이기에 지구에서처럼 뿌리가 아래로 자라지 않게 될것이며 중력을 감지하는 능력이 있는 식물의 입장에서는 무작위로 퍼져나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될것입니다. 즉 우주에선 식물이 뿌리 아래, 줄기 위의 개념없이 자유롭게 성장한다는 것이지요. 중력이 거의 없는 환경에서 뿌리가 중력을 감지할 수 없기에 방향성을 잃고 무작위로 뻗어 나가게 될것인데 이러한 것들은 실제 국제우주정거장 에서 수행된 여러 실험에서 뿌리가 모든 방향으로 퍼지는 것을 통해 확인하기도 하였습니다. 중력이 방향성이 사라지기에 빛이 식물 성장의 주요 신호 역할을 하게 되어 뿌리조차도 빛을 따라 자라는 경향을 보이게 될것입니다. 지구에선 중력이 있어 물과 양분이뿌리를 따라 흘러내리지만 우주에선 액체가 둥둥 떠다니기에 물을 뿌리 쪽으로 유도하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될것입니다!
2025년 1월 31일 작성 됨
Q.
우리 지구에 달이 없다면 어떻게 되나요?
달은 지구에게 굉장히 이로운 존재이기도 한데요. 달이 없어지면 하루의 길이가 짧아지며 지구 자전속도가 증가될것입니다. 지구는 하루가 24시간으로 달의 중력에 의해 조절되고 있으며 과거엔 지구의 자전 속도가 훨씬 빨랐지만 하루가 약 6시간 정도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달이 없으면 조석 마찰이 사라지면서 지구의 자전 속도가 점점 빨라지게 되어 지구의 하루가 짧아지고 10~12시간 정도로 감소하게 돌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현재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는 23.5도로 달의 중력으로 인해 비교적 안정적인 형태이지만 달이 사라지게 되면서 자전축이 불규칙하게 흔들리게 되고 기후가 극단적으로 변하게 될수도 있습니다. 달로 인해 조석현상이 나타나는데 태양도 불론 영향을 미치지만 지금 현재 우리 지구의 조석은 6~70%가 달에 의해서 발생하는데 달이 없어지면 현재의 조석보다 1/3 이하로 줄어들게 되며 해안 생태계가 붕괴될 가능성이 높게 됩니다! 달은 지구 생명체의 진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에 이들이 사라지면서 지구의 생명체 먹이사슬 시스템 자체가 완전히 붕괴될수 있습니다!
2025년 1월 31일 작성 됨
Q.
최근 한국에서 발생한 대규모 자연재해는 무엇인가?
2023년 자연재해로 인한 사망 실종자 수가 140명으로 최근 10년 사이 가장 많은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폭염으로 85명 호우로 53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025년 1월 31일 작성 됨
Q.
겨울에 봄꽃이 피고 있는 상황은, 기후 이상인건가요?
장기적으로 본다면 기후변화 현상이룻도 있을것같습니다!우리나라의 겨울이 점점 따뜻해지고 잇는 겨울철 온난화 현상이 나타나는데 2023년과 2024년 겨울은 평균기온이 예년보다 높았으며 2024년 1월 초 남부 지역은 낮 기온이 15~18도 까지 상승한것으로 보고 2023년 12월 서울에서 100년만에 가장 따뜻한 12월이 나타났다는 기록이 있지요. 특히 남부 지방과 제주도는 따뜻한 기온으로 인해 식물이 봄이 온 것으로 착각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식물이 겨울을 인ㅅ기하지 못하는 휴면타파 현상인데요. 많은 식물은 겨울철 일정한 기간 동안 저온을 경험한 후 따뜻해지면 개화를 준빟나ㅡㄴ데 기온이 너무 따뜻하게 되면서 겨울이 왔따는 신호를 받지 못하고 개화 시기가 뒤엉퀴게 되는것 이지요! 최근 몇년 간 온난한 겨울을 만드는 이상기후 현상이 증가하게 되었고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지속적으로 관측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나라의 사계절이 무너지고 있다는 소리이지요. 기온 상승으로 봄 가을이 짧아지고 봄 가을이 점점 짧아져 여름 겨울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이게 됩니다. 2024년 기상청 보고서에 따르면 봄꽃 개화시기가 30년전보다 5~10일정도 빨라졌다고 합니다! 또한 관측이래 한바도의 연평균 기온이 1912년 이후 1.8도 상승하여 세계평균보다 빠르게 기후변화ㅏㄱ 진행되고 있다고 합니다!
2025년 1월 31일 작성 됨
Q.
우리은하에는 몇개의 항성광 행성이 있나요?
우리은하에는 약 2천억~4천억개정도의 항성이 존재하는것으로 추정하고 있고 행서의 갯수는 그것보다 훨씬 더 많이 존재하게 되겠지요! 우리 은하는 태양과 같은 항성이 모여 있는 거대한 나선은하로 초거대질량 블랙홀인 궁수자리A가 있고 항성들은 은하 중심을 공전하고 있습니다. 과거연구에선 1천억개로 추정했지만 최근 관측값은 2천억~4천억개 정도로 보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망원경 기술이 발전하면 이 값이 변할수도 있겠지요! 따라서 이에 따른 행성의 갯수는 최소 6천억~1조개 정도로 보고 있답니다!
291
292
293
294
2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