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아폴로11호 달 착륙에 대한 음모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말하는 근거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아폴로 11호의 조작에 관해서는 달표면에서 펄럭이는 성조기(바람에 펄럭이는것처럼 보인다)를 이야깋는데요~ 이는 성조기가 펄럭이는 것처럼 보이는것이 깃발 내부에 금속 지지대가 설치되어 깃발이 펼쳐지도록 설계되었기 대문이라고 알려져있스빈다! 별이 보이지 않는하늘에 대한것도 나오는데요. 카메라의 노출 설정으로 인하여 별이 보이지 않았던것으로 이야기를 하고 있으며, 그림자의 방향이 불규칙하다는 음모론을 이야기하는데 달 표면의 지형이 불규칙하게 울퉁불퉁하기 대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로켓 발사체의 흔적이 안보인다는건데 달의 중력은 지구보다 1/6밖에 안되기에 달 표면에 천천히 착륙하였고 이에 따라 착륙 직전 최소화하는 엔진추력으로 흔적이 남기지 않게 되었따고 합니다1 또한 그당시에 어떻게 (1969년) 생방송으로 영상을 보여주었냐인데, 이때 특수 제작된 카메라로 송신을 하였따고 알려져있습니다! 그렇다면 오늘날엔 왜 안가는것이냐! 인데 지금은 굳이 필요성을 느끼지 않아서 그렇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해가 질때 노을이 빨갛게 생기는 이유는 뭔가요?
해가 지면서 노을이 빨갛게 물드는것은 빛의 산란때문인데요~ 태양빛은 여러가지 색으로 되어있는 백색광입니다! 이 색깔들은 각기 다른 파장을 가지며 빨간색은 긴 파장을 파란색은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는데 대기의 공기 분자가 태양빛을 산란하는 과정에서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더 잘 산란되게 하여 낮에는 하늘이 파랗게 보이며 해질 무렵이나 해뜰 무렵 태양빛이 지표면에 도달하기 위해 대기를 더 길게 통과하는 과정을 거치게 합니다. 그러면서 붉으스름한 하늘을 보게 하는것이지요! 대기중의 미세먼지나 수증기, 연기등이 많아진다면 빛이 산란을 더욱 강하게 하면서 노을의 붉은 빛을 강렬하게 만들어주며 태양이 지평선에 가까울수록 대기를 통과하는 경로가 길어지며 노을의 색이 더 ㅂ룩게 보이게 됩니다! 여름과 가을엔 대기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기에 수분과 먼지가 적당히 포함되어 노을이 더 알므답게 보이기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온난화는 왜 일어나는건가요 궁금해요
지구온난화란 대기중의 온실가스 농도가 증가하며 지구의 평균 기온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인데요 자연적인 기후 변화와 더불어 인간 활동에 의해 촉진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지구온난화 현상은 온실효과의 강화로 발생하게 되는데요~ 온실가스는 태양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고 다시 지구로 방출해 지표면의 온도를 유지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지요! 이 온실가스들은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수증기 등이 그러한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온실가스들이 인간의 활동들로 인하여(산업화,삼림 파괴, 농업, 도시화 등) 갑작스럽게 많이 증가하게 되었고 이로인하여 온실효과가 급격하게 나타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것이지요! 이로인해 기후변화, 해수면의 상승,생태계파괴, 농업 및 식량문제, 건강문제, 경제적인 비용등의 큰 피해를 입게 되는 상황이 나타나게 된것 입니다! 이를 이겨나가기 위해 국제적으로 서로 머리를 맞대고 있는데요~ 파리협정을 통해 온실가스를 감축하는데 각 국에서 노력하고 있으며 개인들도 이를 위해 노력하는 자세를 가지게 되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비가 오고 나면 추워지는 이유가 뭔가요
비가 내리면서 대기는 냉각이 되는데요~ 비가 내릴대 일부 물방울이 지표면에 도달하기 전에 공기중에서 증발하게 되고 주변 공기의 열을 흡수해 증발이이루어지며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공기가 건조할수록 증발이 활발히 일어나며 냉각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날수 있께 되지요! 비가 내릴대 대기의 상층과 하층이 섞이는 현상이 나타나고 비는 상층에서 형성되므로 차가운 공기를 지표면으로 끌어내리는 역할을 하게 되어 온도를 하강시키게 됩니다!비가 내릴대 구름속의 수증기가 물방울로 응결하며 열을 방출하는데 이 열은 주로 대기의 상층으로 이동해 지표면 공기가 상대적으로 냉각되게 되고 비가 내린 후 구름이 걷히게 되면 대기는 밤에 더 빠르게 냉각되게 되며 구름은 열을 가두는 역할을 하는데 비가 내리고 나서 구름이 사라지면 지표면의 복사 냉각이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 이지요! 비는 종종 저기압과 함꼐 발생하는데 저기압이 지나가면 그 뒤로 찬 공기가 유입되는데 보통 한랭전선이 이러한 역할을 하게 합ㄴ다! 비가 내리면서 지표면이 물로 젖어 열용량을 증가시키게 되어 젖은 지표면이 물을 증발시키며 추가적인 열을 잃게 하여 더 빠르게 냉각되게 되며 비가 오는동안 태양복사를 차단하면서 지표면에 도달하는 열 에너지가 줄어들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불의 고리'는 어디를 얘기하는 것인가요?
불의 고리는 태평양판을 둘러싸고 잇는 지역들을 이야기하며 이 지역에서 지진과 화산이 약 75%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스빈다! 동쪽으론 북미 대륙의 서쪽해안인 알래스카, 미국서부, 중미, 남비 서부의 안데스 산맥을 포함하며 서쪽으론 동아시아인 일본, 필리핀, 대만과 동남아시아의 여러 섬들, 남쪽으로는 오세아니아인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등,북쪽으로는 러시아 캄차카 반도를 포함하고 있따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곳에선 두판이 충돌하거나 한판 아래로 섭입하는 섭입대가 있으며 판이 서로 벌어지느 ㄴ경계에서 새로운 지각을 형성하는 발산형 경계를 두판이 서로 멀어지는 변환단층을 가지기에 이러한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이곳에선 화산활동이 매우 활발하게 나타나 불처럼 보이는 화산대가 연결되어 잇는것처럼 보인다해서 불의 고리라는 이름이 붙었따고 합니다!
4214224234244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