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구름이 생성되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구름이 생성되기 위해선 공기중의 수증기가 응결하거나 승하ㅗ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물방울이나 얼음 입자로 변하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하는데 공기가 상승하면 기압이 낮아지게 되어 공기가 팽창하고 온도가 낮아지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공기중의 수증기가 이슬점에 도달하면서 수증기를 응결시키게 합니다.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하기 위해선 대기중의 먼지, 소금, 미세입자등이 필요하며 이러한 입자들이 응결핵의 역할을 하며 숮으기가 물방울로 변하는데 도움을 주게 되는것이지요! 구름을 생성하게 만드는 주요한 요인은 공기가 상승하면서 온도가 낮아지고 수증기가 응결하며 구름을 형성하게 하는데 공기를 상승시키는 방법은 지형에 의해서 상승하거나, 대류에 의해서 상승, 전선등에 의해서 상승, 국지적인 가열에 의해서 상승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 수증기가 공급되고 대기가 불안정해지면 구름이 생길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 응결핵이 있어야 하는데요 응결핵은 먼지나 소금, 황산입자 등의 미세한 입자들을 통틀어서 이야기한답니다! 구름들은 이것들로 인해 적운형 구름, 층운형 구름과 같은 구름들을 만들어내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외계행성을 테라포밍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느 정도의 가능성이 있나요?
테라포밍이란 지구와 비슷한 환경을 만드는 것인데 외계 행성의 대기, 기온, 생태계를 조작해 지구와 유사한 환경을 만드는 과정을 이야기하지요~산소의 농도를 생명체가 살수있도록 만들어주거나 안정적인 온도를 갖추게 하거나 액체 상태의 물을 가지게 하거나 방사선 차단등을 하는 과정입니다. 화성엔 극지방의 얼음, 지하수, 과거 물이 흐른 흔적등을 통해 물을 화룡ㅇ할수 있을것으로 예상하며 중력이 38%정도로 대기를 유지할만큼 강하게 있는것으로 확인됩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러한것들이 있떠라도 대기가 매우 얇어 자기장도 거의 없으며 에너지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것들이 많으며여러방면으로 한계점을 가지고 있기에 장기적으로 체류하기 위한 테라포밍 프로젝트를 진행하는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힘든 과정이 될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달에 매장되어 있는 자원에는 어떤 게 있나요?
헬륨-3가 대표적입니다! 헬륨-3는 달 표면의 토양에 포함된 희귀한 동위원소로서 지구에서는 매우 희소하지만 달에서는 태양풍에 의해 축적된것으로 보이며 핵융합 에너지의 연료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으며 깨끗하고 방사성 폐기물이 적은 에너지원으로 미래의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주목받게 됩니다~또한 달의 극지방에 얼음형태의 물이 존재하는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산수와 수소로 분해해 로켓연료를 만듥나 생명유지에 도움을 주게 되겠지요! 이외에도 히ㅡ토류원소(달의 지각에 포함된 란타넘, 세륨, 네오디윰 등), 금속광물(달 표면의 토양과 암석에 철, 알루미늄, 티타님 같은 금속이 포함됨), 규소(달 표면 토양에 다량 함유 됨), 방사성 원소(달의 암석에 지구보다 높은 농도의 방사성 원소가 포함되어 있음) 등이 경제적인 가치를 가질것으로 보고 잇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리나라 겨울철에 보이는 별에는 어떤 별들이 대표적인가요?
겨울철 밤하늘에는 겨울철 대삼각형과 함께 밝은 별들이 포함된 유명한 별자리들이 많은데요 시리우스(큰개자리에서가장밝은별로 밤하늘에서 가장 밝게 보여 쉽게 논에 띔), 프로키온(작은개자리의 가장 밝은별로 시리우스와 가까운곳에 있으며 대삼각형의 꼭짓점중 하나), 베텔게우스(오리온자리에서 어깨에 있으며 색이 붉게 보이는것이 특징), 황소자리의 알데바란(붉은빛을 띄는 밝은 별로 황소자리의 눈 부분에 위치함), 쌍둥이자리의 카스토르(희미하지만 흰색의 밝은별) 등을 관측할수 있습니다. 북두칠성은 북쪽하늘에서 쉽게 보이는데 북극성을 찾는 길잡이 역할을 하게 해주지요~ 겨울철에도 북쪽하늘에서 비교적 높게 위치하게 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