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외계인인 정말로 존재 가능할까요? 있다면 만날수 있을까요?
우주는 상상을 초월할정도로 넓고 관측가능한 우주에는 약 2조개의 은하가 있다고 하지요. 그 은하에는 또 1천억에서 4천억개의 항성들이 있다고 하며 이러한것들을 종합해보았을때 생명체가 이 넓은 우주에서 생명체가 우리 지구에만 있다는것은 너무나도 큰 공간 낭비이기도 하지요~ 생명체는 물, 유기분자, 에너지 등의 특정한 ㅗㅈ건에서 발생할수 있따고 추정하는데 이러한 조건들을 갖춘 곳이 분명히 더 있을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드레이크방젓기에 의해 수학적인 계산등을 해보면 은하 내 항성의수나 생명체가 발생할수 있는 확률적인 계산으로 충분히 있따고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주는 너무 넓고 우리가 외계 생명체를 직접 만나는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까울정도로 넓으며 현재 우리에게서 가장 가까운 프록시마 센타우리라는 별 조차도 4.24광년이 걸리며 수천년이 걸릴만큼 굉장히 먼 거리이지요. 따라서 관측의 한계가 있으며 언젠가는 외계인이 만날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하며 SETI프로젝트나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등을 이용하여 외계인을 만날 준비 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자전으로 생기는 현상은 어떤것들이 있나요?
지구는 자전축을 중심으로 하루에 한바퀴씩 24시간을 주기로 회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낮과 밤이 생기며 태양의 일주운동(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게 되는), 자전 코리올리 효과(물체가 지구 표면에서 이동하면서 경로가 휘어지는 현상), 시간의 기준이 생기며, 지구의 형태(적도가 팽창하는), 조석현상, 별의 일주운동 등이 생겨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하늘의 별은 겨울과 여름중 어느 계절에 더 잘 보이나요?
보통 별을 관측하기에 가장 좋은 계쩔을 겨울로 이야기하는데요 겨울철엔 대기가 차갑고 건조하여 공기중의 수증기와 먼지 입자가 작으며 빛의 산란과 흡수가 줄어들어 하늘이 더 맑고 별이 선명하게 보이는 조건을 만들게 합니다. 여름엔 습도가 높고 먼지와 수증기가 많기에 별빛이 흐려지거나 가려지게 되기도 하지요~ 겨울엔 또한 밤이 길고 별을 관측할수 있는 시간이 길게 되며 겨울철 하늘에는 밝은 별(베텔게우스,리겔,시리우스 등)이 많이 뜨기에 쉽게 관측할수 있게 도와줍니다! 또한 도시엔 빛공해들이 많아 쉽게 관측할순 없지만 시골은 빛공해가 적기에 별 관측하기에 유리하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