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과학의 진보는 언제부터 급발전 했을까요??
과학은 초기에 철학의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나 에라토스테네스 등의 관찰과 논증을 기반으로 과학적인 사고가 이루어졌으며 이 이후 코페르니쿠스나 갈릴레오, 뉴턴 등의 급속도로 르네상스 이후 발전해 나가며 실험과 수학적인 모델을 기반으로 과학이 이루어지게 되었지요~ 이 이후 제임스 와트나 페러데이 등에 의해서 과학과 기술의 융합이 되었으며 이 이후 아이슈타인이나 막스 플랑크 마리퀴리 등의 현대물리학이 발전하며 큰 도약의 시기를 맞게 됩니다! 이 이후 알고리즘을 통한 인공지능, 생명과학, 우주 과학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과학의 발전이 이룩되고 있는 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Q. 빗방울도 크기가 다양한데 그 크기는 어떻게 결정되나요?
구름 안에서 미세한 물방울이 응결핵 주위에 형성되는데 구름 내부에서 상승 기류와 하강 기류에 의해 작은 물방울들이 충돌하고 합쳐지면서 점점 큰 물방울로 성장을 하게 되며 물방울의 크기는 구름의 높이와 온도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높은 구름에서는 물방울이 얼어 빙정으로 변하게 된 뒤 녹아 더 큰 빗방울을 형성하며 낮은 구름에선 물방울이 성장하는데 한계가 있어 상대적으로 작은 빗방울을 형성하게 합니다. 이에따라 구름은 적운형구름, 층운형 구름으로 나누어 소나기성 비가, 이슬비가 내리게 됩니다! 대기의 상태에 따라 습도가 높을수록 구름에서 떨어지는 빗방울이 증발하지 않고 더 큰 크기를 유지하기도 하며 건조한 공기에서는 빗방울이 떠렁지는 동안 증발하며 작아질수도 있게 되지요~ 또한 높은 기온에선 물방울의 증발이 더 빨리 일어지면서 작은 빗방울이 더 많이 관찰되기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바람이 부는 방향을 어떤 원리로 측정할 수 있나요?
풍향계의 작동 원리는 바람에 반응하여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흔히 우리가 아는 바람개비 모양이나 V자형의 금속판이 회전축에 부착되어 있는데 무게 중심이 한쪽에 치우쳐 있끼에 바람이 불면 가벼운 쪽이 바람의 방향을 따라 움직이게 되고 무거운 쪽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가리키게 하는ㄱ ㅓㅅ이지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4방위가 아닌 16방위로 나뉘어져 있으며 현대에는 전자식 풍향계를 이용하여 전자센서가 풍향을 측정하게 됩니다~ 풍향계는 기상관측소나, 공항, 항구 및 해안가 등에 주로 설치 되며 이를 이용하여 기상예보를 하게 되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