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인공위성의 케플러 기본궤도요소(위성의 케도의 6요소)는 어떤것이 있나요?
케플러 궤도 6요소는 위성의 궤도를 정확히 정의하기 위해 사용하는 여섯가지의 매게 변수로서 반장축,이심률, 궤도경사, 승교점 적경, 근지점 편각, 평균근점이각 으로 나뉩니다~ 이를 이용하여 위성의 위치를 계산하고 추적 시스템을 호라용하며 우주 비행을 계획하게 되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에서의 다른 생명체가 지구와 완전히 같은 형태로 존재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요?
지구와 완전히 같은 형태의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은 우주에서 0에 가깝겠지요~ 우리 인간도 같은 성격 같은 외형으로 존재하기가 힘든만큼이요~ 우주엔 930억광년의 직경을 가진 관측가능의 영역에 약 2조개의 은하가 있꼬 그 은하안에는 또 수천억개의 별들이 그리고 행성들이 있는것들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기에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한다는것은 믿어 의심치 않지만 완벽하게 동일한 지구는 존재할 확률이 거의 0에 가깝지 않으락 싶습니다! 지구는 탄소를 기반으로 하고 물, 일정한 온도, 에너지 공급원, 여러 화학적인 물질등이 존재하며 이러한것들에 적응하며 살아왔습니다. 이들이 완벽하게 다른 공간에서 존재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운것이지요! 하지만 지구와 비슷한 형태의 행서들은 존재할수 있을것이라고 보며 이 공간을 생명가능지대라고 이야기를 하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는 얼마나 넓은지 확인한 내용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우주의 크기는 우리가 관측가능한 영역을 기준으로 930억광년정도라고 알려져 잇는데중심에서 우주의 나이와 빛의 속도에는 한계가 있으며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천체는 빛이 지구에 도달한 범위에 국한되며 우주는 지금도 계속 팽창하기에 관측가능의 영역자체는 한정적인것 이지요~우주의 크기는 적색편이를 이용하는방법(우주가 팽창하면서 파장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나타나는 현상), 우주배경복사를 이용하는 방법(빅뱅이후 38만년 후 형성된 우주의 잔광), 시차, 표준촛불, 은하간의 거리 측정 등의 방법을 이용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