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는 정말 끝이 있을까요, 아니면 무한히 계속될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우주의 끝에 대해선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바는 ㄴ없지만 우리는 보통 관측가능한 우주의 영역을 이야기하지요~ 우주는 138억년 전 빅뱅으로 시작되었꼬 빛이 이동할수 있는 거리는 제한적이기에 우리에게 관측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약 930억광년정도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우주의 진정한 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기술이 발전하며 이 영역 자체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지요~ 우주의 형태는 크게 3가지로 생각하고 있으며 평평한우주(끝없이 뻗어나갈수 있음을 이야기하며 무한이며 끝이 존재하지 않다고 봄), 구형우주(구처럼 곡선 형태로 위저여 있으며 우주에 끝이 없지만 마치 지구의 표면처럼 한바퀴 도 ㄹ아 원래 위치로 돌아갈수 있는 구조가 될수 있음), 열린우주(안쪽이 휘어진 구조여서 무한히 계쏙 확장될수 있음을 의미)로 나눌수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증거들은 평평에 가깝다고 보고 있습니다!우주는 지속적으로 계속 커지고 있으며 모든 은하들이 서로 멀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빅뱅 이후 우주가 계쏙해서 확장되고 있음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지요~ 만약 우주가 무한히 팽창한다면 끝은 없을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Q. 해는 예나 지금이나 동일한 데 왜 계속 더워지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많이들 이야기하시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현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태양은 오랜시간동안 비슷한 에너지를 방출하지만 지구 환경의 변화로 인해서 나타나는 현상이지요~ 현대에 들어서며 산업화 이후 인간의 활동으로 인하여 홧거연료가 사용되고 공장이나 차량 배기가스 등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와 메탄 등의 온실가스가 대기중에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태양 빛이 지표면에 도달한 이후 반사되는 열을 다시 지구 대기권 내로 가둬두는 역할을 하며 온실효과가 강화되었고 이에 따라 지구오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경향성을 보이게 됩닏. 온실가스가 많아지며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받는 에너지를 우주로 내보내지 못하고 더 많이 머금게 되머 기온이 점차 올라가게 된것이지요~ 산림 자체가 온실가스를 많이 흡수하였으니 산림들이 파괴되며 대기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더욱 높아지게 되었고 도시화로 인해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같은 건축 자재가 널리 사용되며 열을 잘 흡수하고 방출하는 표면이 많아지게 되어 도시 열섬효과가 발생하게 된것이지요~ 지구 대기으 ㅣ온도가 상승하며 해양도 따뜻해지게 되고 해양은 지구의 열을 흡수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데 해양이 따뜻해지면서 열의 순환 과정이 변화하면서 대기와 해양이 ㅇ서로 열을 전달하는 방식도 변화하게 된것이지요~ 해양 온도의 상승은 더 강력한 태풍과 이상기후를 유발할 수 있어 지역적인 기온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ㅇ비니다~ 기후 변화로 인해 지구의 기온 변화가 극심해지고 있으며, 여름철에는 폭염이, 겨울철에는 한파가 더 빈번해지고 강해지고 있습니다. 이런 이상기후 현상은 대기 순환 패턴의 변화, 제트 기류의 변동, 그리고 해양-대기 상호작용 등 복잡한 기후 시스템의 변화에서 비롯됩니다. 그 결과, 일 년 전과 지금 사이에도 기온 차이가 큰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