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갈라파고스 제도는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화산 활동과 해양 지형이 섬들의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갈라파고스 제도는 나스카 판 위에 있고 동쪽으로 이 판이 지속적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그 아래엔 고정된 열점이 존재하고 이 열점에서 뜨거운 마그마가 분출되어 바닷속에 화산이 형성되고 점차 섬으로 성장하였고 나스카 판이 동쪽으로 움직이며 옛 섬들이 동쪽에 위치해지고 새로 생긴 섬들이 서쪽에 위치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각 섬은 독립적인 화산섬으로서 떨어져 있고 동물과 식물이 섬마다 다른 방식으로 진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초기엔 용암지대, 화산분화구, 현무암 지형등에 의해 황폐한 땅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풍화작용과 조류, 조류배설물 등의 유기물로 토양이 점차 형성되어 생물이 살 수 있게 되었지요. 갈라파고수 주변엔 험볼트 해류가 차가운 물을 공급해 플랑크톤이 풍부해지고 이에 따라 해양 생물이 다양해졌으며 코론트 해류는 따뜻한 물이 도달하여 열대 생물도 서식하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차가운 해류와 따뜻한 해류가 만나는 지역이라 열대성과 한대성 생명이 공존하게 되는 독특한 해양 생태계가 형성 된 것이지요.
Q. 현재 AI의 발전으로 거의 모든분야에 활용되고있잖아요
AI를 이용하여 천문과학에선 은하나 별을 분류하고 탐지하기도 하며(천문망원경이 관측하는 데이터트 사진만해도 수십억장이기에 이러한 방대한 사진에서 은하나 별을 분류하거나 새로운 천체들을 발견하는 등의 현상을 AI가 자동으로 찾아주고 있다고 합니다), LIGO와 같은 중력파 관측소에서 엄청난 노이즈 속에서 신호를 구별하기도 하며, 외계행성을 탐사하기 위해 망원경등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찾아내는 역할도 하며, 천체의 궤도 예측과 충돌 위험을 분석하며 천문학분야에서 다방면으로 사용되고 있따고 합니다. 천문학은 데이터 양이 어마어마하기에 이러한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고 하지요!
Q. 미국 NASA에서 발사한 LRO가 달의 방사선 수치를 측정하는 방법은 어떤 방식인가?
나사가 2009년 달 궤도에 올린 고해상도 달탐사선인 LRO는 달 기지 건설이나 유인탐사, 자원탐색등을 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LRO는 CRaTER탐지기를 이용하여 방사선을 측정하였다고 알려져 있는데 우주에서 날아오는 은하 우주선, 태양입자 등의 고에너지 방사선을 실리콘 반도체 탐지기를 통해 입자충돌시 발생하는 신호를 측정하고 인간 조직과 유사한 장치를 측정하여 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도 예측할 수 있게 해 주었습니다. 방사선의 세기, 입자의 종류, 에너지, 방향 등을 정밀분석하여 입자 에너지 및 투과력을 분석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우주복 및 방호 기술을 개발하고 인간의 건강 위험을 평가하며 달 기지 건설이 어느 부분이 가장 적합한지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