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텐궁1호라 하면 중국의 우주정거장으로 아는데요, 주요 성과가 있나요?
텐궁 1호는 2011년 9월 29일 발사되었고 2018년 4월 임무를 종료하면서 대기권을 통해 재진입하였지요. 중구고치초로 유인 도킹에 성공하였으며(2012년 선저우 9호와 자동 도킹 및 유인 도킹, 2013년 선저우 10호와 재도킹) 이를 통해 중국의 우주 독자 운용 능력을 세계에 선보였습니다. 무엇보다 유인도킹은 정밀화된 자동화 기술과 우주인의 제어 능력이 동시에 필요해 고난이도라고 알려져 있지요. 또한 중국 우주인들을 장기간 우주체류시켰으며, 기초 우주과학 실험등을 진행하며 본격적인 유인 우주 공간 실험을 시작하였습니다. 태양전지판 자동전개, 자세 제어, 에너지 저장 등을 통해 우주정거장을 건설하는 기술을 확보하였고 2016년 이후 지상과 통신 불능 상태가 되면서 태평양 남부 상공에 대기권 재진입을 하며 소멸하였습니다.
Q. 과학이 발달하면 미래 식량은 어떻게 혁신될까요?
과학기술이 발달하며 식량은 점점 더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하게 다양한 진화를 거치고 있습니다. 미래의 식량은 기능성과 영양을 모두 갖춘 알약이나 음료형태로 나올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우주식량에서 이러한 개념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배양육(세포 배양으로 만든 고기), 식용곤충, 3D 프린팅 식품, 유전자 맞춤형 식단 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은 우주인들에게 먼저 적용될 기술들이며 가격적인 문제만 해결된다면 현실가능한 미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