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블랙홀 내부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블랙홀의 내부에서는 실제로 무슨일이 일어났는지 정확하게 알수는 없지만 블랙홀 내부의 사건을 과학적으로 관측할수 없기 때문에 그런것이며 블랙홀은 모든것을 끌어당기며 중력은 빛조차 빠져나갈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하기에 내부를 직접적으로 관측하는게 어려운것으로 보입니다. 블랙홀 내부로 들어가기 전에 먼저 지나쳐야 하는 경계는 사건의 지평선인데 이곳을 지나면 아무것도 빠져나오지 못하는걸로 알려져 있지용~블랙홀의 중심부에는 특이점이라는 이론적인 지점이 있으며 중력이 무한대로 강해지며 시간이 멈추고 공간이 무한히 구부러지는 곳이라고 밝혀져있습니다.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름녀 이곳에선 덩시ㅏㅇ 물리법칙들이 적용되지 않으며 그렇기에 기존의 우리가 알고 있는 물리학적 법칙으로는 설명이 안되는 것이지요~ 블랙홀 내부로 들어간 물질이 어떻게 운동하는지에 대해서는 ㄴ여전히 이론적인것만 이야기하며 그 이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는 명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인공위성의 원리와 역할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인공위성은 지구의 중력에 의해 궤도를 유지하며 지구 주위를 계쏙해서 도는 인공적인 물체이지요~ 우주로 발사된 이후 원심력과 지구의 중력이 균형을 이루게 되고 궤도를 유지하게 하는것입니다.인고우이성은 지구의 중력에 의해 끌려 떨어지지 않고 동시에 빠른 속도로 지구 주위를 도는 원심력으로 궤도를 유지하게 하는데 일정한 속도로 지구 주위를 돌기에 궤도를 벗어나지 않고 일정 궤도를 유지하게 되는것이지용. 이 속도를 유지하는것은 너무 느려지면 지구로 떨어지고 너무 빠르면 중력을 벗어나기에 정교한 속도를 유지할 필요가 잇게 됩니다.인공위성은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되지만 통신위성(전세계 통신 네트워크를 연결하며 TV나 전화 인터넷 등을 연결하게 해줌), 기상위성(대기의 변화를 관찰하고 날씨 예보를 할수 있도록 도움을 줌), 탐사위성(우주 탐사, 지구자원탐사 등을 진행함), 군사 및 정찰위성(국가 안보를 위해 적구그이 군사 움직임이나 정밀타격등을 윟나 정보 수집), GPS 위성(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항공이나 해상 육상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 에 따라 용도가 다르게 사용되며 인공위성의 궤도는 저궤도(200~2000km에 위치하며 지구 관측이나 통신, 군사 위성), 중궤도위성(2000~35,000km GPS위성), 정지궤도위성(약35,000km에 위치하며 통신이나 기상위성)으로 나누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바다 같은 경우는 어떻게 보면 큰 물이 고여 있는것 같은데 해류가 생기는 원인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해류는 바다에서 대규모로 물이 이동하는 흐름을 이야기하며 고여 잇는 물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순환하는 동적인 시스템을 이야기합니다`해류는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주로 영향을 받는것은 바람입니다~ 바람이 바다 표면을 가로질러 불게 되면 바닷물을 끌어당기며 수평적으로 이동하고 무역풍과 편서풍과 같은 지구의 주요 바람 패턴이 해류를 형성하고 바람의 방향에 따라 해류가 형성되어 특정경로로 물을 이동시키게 되는것이지용~지구는자전을 하기에 전향력이라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 현상에 의해 해류가 북반구에서는 오른쪽 남반구에서는 왼쪼으로 휘게 되는것입니다. 이로 인해 바닷물이 특정 결로를 따라 이동하며 해류를 형성하게 하지요. 물은 밀도차이를 이동하게 되는데 바닷물의 온도와 염분에 따라 밀도가 달라지게 되고 차가운 물은 밀도가 높아 아래로 가라앉고 따뜻한 물은 밀도가 낮아 위로 떠오르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 의해 심층해류를 만들게 되는ㄱ 서잊비다. 또한 조석에 의해서 바닷물이 이동하는 과정을 거치며 대륙이냐 대륙의 경계냐에 따라서도 큰 영향을 받게 됩니다!이런 모든 과정을 열염순환이라고 하며 지구 전체에 걸쳐 매우 느리지만 중요하게 작용하며 온도와 염분에 의해 발생하며 물이 이동하며 따뜼한물은 적도에서 극으로 차가운 물은 극에서 다시 적도로 이동하며 전체 지구의 해양 순환과 기후를 조절하여 대양 컨베이어 벨트라고도 부르고 있지용!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사막에 있는 오아시스는 어떻게 만들어 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오아시스는 사막에 존재하는 물이 고여있는 장소인데 대부분 지하수로부터 형성되며 사막 아래에 지하수가 흐르고 있을수 있는데 지형적인 조건이 맞으면 이 지하수가 지표면으로 솟아오르게 되면서 나타납니다. 암석층이나 지하수층이 얇아져서 물이 새어나오는 지점이 중요한 역할을하며 산이나 고지대 근처에서 빗물이나 눈이 ㄴ고은 물이 지하수로 스며들어 그 물이 낮은 지형으로 흐르게되며 오아시스를 만들게 되는 것이지용~사막 지역에는 암석 지층이 불투수층 역할을 하게 되는데 즉 물이 더잇아깊이 침투할수없는 암석층이 있을때 물이 고이게 되고 이들이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면서 오아시스를 형성하게 됩니다~사막에서도 비가 눈이 내리기도 하는데 이것들이 지하로 흘러들어가면서 지하수층을 충전하면서 지속적으로 지표면으로 올라오게 되는 것이지요~ 오아시스의 물은 깨끘할수도 그렇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물이 고인 상태에서 외부 오염원들인 먼지나 모래 등이 날라오면 그리고 동물들이 물을 마시면 배설물을 노출하면 더러워 질수도 있끼 땜누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에는 정말 화이트 홀이 존재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화이트홀 자체는 블랙홀과 상반되는 개념으로서 물질과 에너지가 빠져나가는 출구로 생각되는 천체이며 블랙홀이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중력의 함정인 곳이라면 화이트홀은 그 반대되며 물질이 전혀 들어갈수 없고 오히려 바깥으로 방출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잊이ㅛ~ 화이트홀은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제기된 가설이며 시간의 흐름을 반대로 블랙홀에 ㅈ거용하면 물질을 흡수하는 것이 아니라 방출하는 존재가 있따는 것이지요~ 이 가설은 수학적으로는 가능한것으로 보고 있지만 아직까지 실제로 관측된적은 없습ㄴ디ㅏ~ 스티븐 호킹은 주로 블랙홀을 연구한것으로 유명하며 블랙홀의 증발이론인 호킹복사를 제시하여 블랙홀이 단순히 물질을 흡수하는것 뿐만아니라 시간에 따라 에너지를 방출하며 결국 사라질수 있따는 것을 이야기하게 되었지요~ 화이트홀은 현재까지 실제 관측된적이 없기에 이론적으로 가능할뿐 발견되지 않았다고 ㅗ지만 언젠가는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발견될수도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6466476486496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