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도시의 하늘이 회색빛을 띠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도시의 하늘이 회색빛을 띄는 가장 큰 이유는 미세먼지나 오염물질, 구름 등의 복합적인 영향때문입니다~ 도시지역엔 자동차의 배기가스, 공장의 매연, 난방시스템등에서 나오는 오염물질로 대기중에 미세먼지나 오존, 이산화황, 이산화진소 등의 다양한 오염물질들이 다량 포함되게 됩니다~이로 인해 공기가 고여 잇꺼나 습도가 높아지면서 스모그를 형성하면서 뿌얗게 보이게 되는것이지요~ 대기중의 오염물질이 빛을 산란시키고 일부는 흡수되면서 햇빛이 제대로 통과하지 못하게 되며 레일리 산란이라는 현상으로 인해 하늘이 파랗게 보이지만 미세먼지나 오염물질등으로 미산란으로 희석되어 회색빛이 보이게 되는것이빈다~ 도시에는 높은 건물들이 많아 빛이더 반사되고 흡수되며 대기중의 오염물질이 고엿 ㅓ축적되기 쉬우며 이런 환경에서 하늘이 더 탁하게 보이며 더 밝고 맑은 하늘색이 안니 회색이나 뿌연 색조를 느끼게 하며 열섬으로 인해 공기의 순환이 방해되어 오염물질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어 한곳에 머무르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부끄럽거나 창피할 때 얼굴이 빨개지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구과학적인 내용과는 별개인것같지만 제가 아는선에서 말씀드리자면 신체의 자율신경계에 의해서 나타나는 현상인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생물전공자님께서 알려주실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의 형태는 굳이 말하자면 구형태가 맞나요? 평평한 형태라고 하는 학설도 있던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우주가 어떤 모양을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내용들은 다양한 연구와 관측으로 =아직도 진행중이며 가장 현재 신빙성을 ㄱ지고 믿고 있는건 평평한 우주에 대한 내용입니다~우주의 형태ㄱ는 일반상대성이론과 빅뱅이론에 기반하여 크게 3가지로 나뉘어지며 구형우주(우주가 양의 곡률을 가지고 있으며 구와 같은 모양이라고 보고 있음), 평평한우주(우주가 0의 ㄱ ㅗㄱ률인 유클리드 공간처럼 직선적으로 평평함), 열린우주(음의 곡률을 가지고 있는 형태로 우주가 마치 안쪽으로 휘어진 형태를 가짐)로 나누어서 생각할수 있께됩니다~ 하지만 현재 우주배경복사를 바탕으로 빅뱅 직후 발생한 빛이 우주 전역에 퍼져 있는데 이것들을 바탕으로 가장 유력하게 믿고 있는건 평평한 우주 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인플레이션 이론과의 일치도도 살펴볼수 있으며 모든 과학자들은 현재 이와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믿고 있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낮에 별을 볼 수 없는 이유가 지평선 아래로 내려가기 때문이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낮에는 태양이 하늘에 떠있게 되며 태양빛이 지구 대기에 의해서 산란되게 되지요~ 이 산란된 빛은 하늘을 환하게 만들어주어 별빛이 상대적으로 희미해져서 보이지 않게 되는 과정이 나타나게 되는것이지요~ 이러한 과정을 우리는 레일리 산란이라고 하며 대기중 작은 입자들이 태양 빛을 여러 방향으로 퍼뜨리기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게 만들며 대기중 작은 입자들이 태양 빛을 여러 방향으로 퍼뜨리기에 하늘이 파랗게 보여 그 결과 별들이 미약한 빛을 가리게 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지요~ 별들은 실제로 아침이 되면 지평선 아래로 내려가는것이 아닌 별들이 밤과 낮 모두 하늘에 존재하긴 하지만 빛이 없을때는 그 별들이 잘보이게 되지만 빛이 있으면서 잘 안보이게 되는것이지요~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하늘의 별들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별들이 실제로 밤낮 상관없이 그자리에 그대로 있께 되며 낮 동안 태양의 빛이 너무 밝아 별들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얼마나 대단한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2021년 12월 발사되었으며 지구로부터 150만km떨어진 라그랑지에점 2에서 우주를 관측하여 초기 우주 상태와 행성계의 형성과정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허블 우주망원경은 주로 가시광선과 자외선 영역을 관찰하여 우리가 육안으로 구별가능한 영역들을 살펴보는데 반해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적외선 영역을 관측하기에 긴 파장으로 먼지와 가스 구름등을 통과하여 살펴볼수 있기에 우주의 물체들을 좀 더 잘 관찰할수 있게 해주는것이죠 이에 따라 우주의 초기상태도 관측할수 있는것입니다~ 또한 허블우주망원경은 주경이 약 2.4M인 반면 제임스웹 마우언경은 주경이 약 6.5M정도입니다~ 이를 통해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138억년전 우주의 초기 은하와 별들까지 모두 관찰하게 되었습니다~
6566576586596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