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슬픈영화를 보면 눈물이 나오는 과정을 설명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생물전문가님의 질문인것 같습니다만 슬픈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뇌의 시각 피질이 해당장면을 인식하면서 뇌가 이러한 정보들을 처리하면서 슬픈감정이나 공감을 일으켜 편도체라는 뇌의 부분이 활성화되며 감정을 처리하고 이를 몸에 전달하게 되는것이지요~ 이러한 과정을 통해 편도체가 활성화되면 감정과 관련된 신경회로들이 작동하기 시작하고 자율신경계중 부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면서 감정적인 반응이 일어나게 되는것입니다! 자세한건 생물전공자분들꼐 여쭤보시면 더 자세하게 알려주실겁니당! :)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습하다해서 꼭 구름이 많은 것도 아니던데, 지구에 구름이 안생기면 어찌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구에 구름이 전혀 생기지 않게 되면 여러가지 기후변화 현상이 나타나게 될것입니다~ 구름은 태양에서 오는 복사 에너지를 반사하고, 지구에서 방출되는 복사 에너지를 잡아두는 역할을하지만 만약 구름이 없다면 낮에는 태양복사에너지가 지표면에 많이 도달하여 기온을 급격히 상승시킬것이며 밤에는 지구복사열이 방출되지만 구름이 없어서 급격히 기온을떨어뜨리게 될것이기에 매우 극심한 기온차이를 나타내게 되는 거겠지용~ 구름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형성되며 이 과정에서 비와 눈 같은 강수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만약 구름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면 지구 대부분의 지역에서 비가 내리지 않게 될것이고 이로 인하여 전세계적인 가뭄이 나타나게 될것입니다~ 강수량 감소는 결과적으로 지표수와 지하수 자원의 고갈로 이어지게 되며 농업이나 생태계 시스템 식수의 공급등 많은부분에 악영향이 미쳐질것이며 결과적으로 크게 영향을 ㅂ다는건 우리 인간들이 되게 될것입니다~ 구름이 생기지 않게 된다면 대기중의 수증기가 계속해서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온실가스가 많아지게 되어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될수도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진은 왜 발생을 하고 어떻게 탐지를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진은 지각의 판이 우밎ㄱ이면서 나타나게 되는데 지구의 표면 자체가 여러개의 큰 판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이 판들이 서로 부딪히거나 미끄러지면ㅅ ㅓ지진을 일으키게 하느넉싱죠~ 지진이 발생하는 주요한 원인은 지구의 판들이 끊임없이 움직여 서로 충돌하거나 떨어지거나 미끄러지면서 지각에 응력을 쌓게되고 이 응력이 임계점을 넘게되면서 판들이 갑자기 움직이게 되어 지진을 일으키는 것이지요~그렇게 되면 발산형경계(판들이 서로 멀어지는 지역), 수렴형경계(판들이 서로 충돌하는 지역), 변환형 경계(판들이 서로 미끄러지듯 이동하는 경계)가 나타나게 되는 겁니다~ 화산활동은 화산의 폭발이나 마그마의 이동으로 인해 지진이 발생하는것으로 화산 지진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인공적으로도 지진이 나타나기도 합니다!지진을 탐지하는건 지진계를 이용하는것인데 지진계를 이용하면 P파나 S파, L파의 지진을 보게되며 여러 지진계에서 지진파가 도달하는 시간을 기록하며 진앙지를 추적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평상시에는 구름은 흰색이지만, 왜 비가 올 때는 색깔이 먹색? 회색의 색깔을 띄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구름은 비가 오기 전에 회색이나 먹색으로 보이게 되는 이유가 빛의 산란과 흡수에 의해서 발생하게 되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구름속은 구름속의 물방울들이 빛을 모든방향으로 균일하게 산란시키게 되면서 태양빛이 여러 파장으로 구성되어있는 상태로 구름속 물방울들이 모든 파장의 빛을 반사하기때문에 흰색으로 보이게 되는것인데 비가 올때는 비구름 속에는 더 큰 물방울이 포함되며, 이 물방울들은 작은 물방울보다 더 많은 빛을 흡수하거나 산란시키게 되고 그래서 빛이 구름을 더 잘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구름이 더 어둡고 덜 투명하게 보이게 됩니다.비구름은 일반적으로 더 두꺼우며 밀도가 높게 되는데 두꺼운 구름이 빛을 통과하면서 양을 줄이고 구름의 아래쪾에서 보는 사람에겐 빛이 덜 도달하면서 구름이 회색으로 또는 먹색으로 보이게 해주는 것입니다! 구름이 두꺼워지면서 빛이 구름 내부에서 많이 흡수되고 산란되며 하부로 내려가는 빛의 양이 줄어들게 되며 어두워 지는 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화성 테라포밍에 일론머스크가 핵폭탄 발언을 했는데 뭔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일론머스크가 이야기하는 핵폭탄 발언자체는 테라포밍을 위한 아이디어로서 화성의 환경을 인간이 거주할수 있또록 변화시키도록 만든다는것이며 화성을 온난화시켜 사람이 살수 있도록 핵폭탄을 화성의 양극에 터뜨리자고 하는 것입니다~ 머스크의 아이디어 자체가 핵폭탄을 화성의 극지방에 터뜨리려는 것이며 이로 인해 온실효과를 강제적으로 만들어내는것인데 화성엔 극지방에 이산화탄소와 얼음이 많이 존재하기에 이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빠르게 증발하면 온실효과를 일으킬수 있어 화성의 온도를 서서히 높일수 있다고 하는 것이지요~ 이렇게 기온을 올리면 화성의 대기가 두꺼워져, 궁극적으로 인간이 생존 가능한 환경이 될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현재 화성의 대기는 매우 얇고, 온도가 너무 낮아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없으므로, 온실 효과를 통해 대기 압력과 온도를 높이려는 것이지요~ 물론 이 방법에는 실질적인 문제가 잇지요~ 핵폭발이 화성의 환경에 미치는 예상치 못한 영향, 방사성 물질의 퍼짐, 그리고 장기적인 안정성 문제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과학자들과 전문가들은 이 방법이 실현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하고 있지요~
6566576586596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