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나라는 지진으로 안전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한반도는 주요 지진대(환태평양 조산대)와 다소 거리가 떨어져 있어 지진 발생 빈도가 낮은 편입니다. 그러나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과 인접해 있으며, 특히 일본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지진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곳이기도 하지요~한반도 자체에도 활성 단층이 존재하며, 이 단층들이 움직이면서 지진이 발생시키게 합니다. 가장 큰 지진으로는 2016년에 발생한 경쥬지진(규모 5.8)과 2017년에 발생한 포항지진(규모 5.4)이 있습니다. 이러한 지진은 한반도가 지진 위험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 않다는 사실을 보여주기도 하지요~ 그렇다해서 경상도쪽에서만 나타나는것이 아니라 전라도지역에서도 나타나며 모든 곳이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하지요!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지진이 많이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과거 건축물에는 내진 설계가 충분히 적용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지만 경주 지진 이후, 내진 설계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최근 지어진 건물들은 내진 기준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지진 대비 훈련을 강화하고, 지진 발생 시 대피 요령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학교와 공공 기관 등에서는 정기적으로 지진 대피 훈련을 하고 있지요! 기상청에서는 지진 발생 시 실시간으로 지진 정보를 제공하며, 긴급 재난 문자 시스템을 통해 국민들에게 신속히 알리고 있습니다! 날이 더워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옛날 과학자들은 빛의 속도를 어떻게 알아냇나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600년대 초에 빛의 속도를 측정하려는 시도를 했는데 두 사람이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랜턴을 사용하여 빛을 보내고 받는 방식으로 빛의 속도를 측정하려 했습니다! 빛의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결론에 도달했으며, 그의 실험 장비로는 빛의 속도를 측정할 수 없음을 인식했습니다. 그의 시도는 실패로 끝났지만, 빛의 속도를 측정하려는 최초의 시도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후 덴마크의 천문학자 올레 뢰머는 1676년에 목성의 위성 이오의 식이 지구의 위치에 따라 시간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관찰했고 그는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빛의 속도가 유한하다는 가설을 세워 측정하였는데 목성에서 이오의 식이 지구가 태양에서 멀어질 때 지연되는 것을 관찰했고, 이로부터 빛이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를 이동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고 결론지었습니다. 그는 빛의 속도를 대략적으로 214,000 km/s로 계산했으며, 이는 실제 빛의 속도(299,792 km/s)와 매우 근접한 값으로 측정하게 된것이지요~ 과거의 과학자들은 현대 기술이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방법으로 중요한 과학적 발견을 이룰 수 있었습니다. 이들은 철저한 관찰과 논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과학적 지식을 발전시켰습니다.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자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어용!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진이 발생하는 원인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구의 표면은 여러 개의 거대한 판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이 판들은 지구의 맨틀 위에서 천천히 움직이게 됩니다. 이 판들이 서로 부딪히거나, 미끄러지거나, 갈라지면서 지진이 발생합니다. 판 구조 운동이 지진의 원인이 되는데요~ 이에 따라 3개의 경계부분으로 나누어 수렴형경계(두판이 서로 충돌하는 곳으로 섭입대와 같은 강한 지진을 일으킬 수 있는 곳이 있음), 발산형경계(두 판이 서로 멀어지는 곳), 변환형경계(서로 반대로 미끄렁지면ㅅ ㅓ발생하는 지진)으로 나누어서 지진을 일으키게 합니다! 지구의 지각은 항상 움직이며, 그 과정에서 지각 내에 스트레스가 축적되어 지각의 약한 부분에서 한꺼번에 방출되면서 지진을 일으키게 합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나라와 같이 단층에 의해서 발생하게 되는 지진이 있으며 화산활동등에 의해서도 나타나게 되지요~ 또한 지진은 인공적으로도 발생하게 할수 있지만 그 강도는 매우 약하게 됩니다~ 날이 덥네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셧으면 좋겠습니당!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안녕하세요 시티헌터입니다 태양계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나요 12개 행성으로 제가 기억을 하고 있는데요 그 바깥에 것은 발견을 못 한 건지 아니면 어떻게 정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태양계는 태양과 8개의 행성,그리고 왜소행성과 소행성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카이퍼벨트대와 오으트 구름, 혜성등으로도 구성되어 있습니다! 태양계 내의 행성은 3가지를 충족하여야 하는데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충분한 질량을 가져 중력으로 구형에 가까운 형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궤도 주변의 다른 천체들을 깨끗하게 제거할수 있는 형태여야 하는데 그런 조건을 모두 가지는게 8개의 행성들 밖에 없는것이지요~태양계 밖의 외계행성도 있지만 이들은 태양게 내에 구속되어 있는 천체들이 아니기에 열외로 생각하셔도 될것 같습니당! 날이 더워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당!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에일리언같이 먹을것을 안먹고도 영원히 사는게 실제로 가능은한가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현실적으로 살펴본다면 어떤 생명체도 아무런 에너지나 영양분을 섭취하지 않고 영원히 사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모든 생명체는 생존과 성장, 그리고 생리적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가 필요로 하는데 이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음식, 햇빛(광합성), 또는 화학적 에너지원에서 얻게 됩니다~ 모든 생명체는 세포가 기능을 유지하고, 증식하고, 손상된 조직을 복구하기 위해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는데 음식물(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을 섭취하고 소화 과정에서 분해하여 얻습니다. 세포는 에너지를 ATP(아데노신 삼인산) 형태로 저장하고 사용하면서 생존을 해 나가게 되지요~ 에일리언 같은 생명체는 공상 과학 영화에서 창조된 상상 속의 생명체입니다. 이런 생명체가 에너지 없이 살아갈 수 있다는 설정은 흥미로운 이야기 요소로 작용할 수 있지만, 과학적으로는 현실적이지 않습니다! 태아는 모체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아 성장합니다. 태반을 통해 산소, 포도당, 아미노산 등의 필수 영양소를 공급받아, 세포 분열과 성장이 이루어집니다. 태아가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면, 정상적인 발달이 불가능합니다. 날이 덥네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셔용!
7467477487497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