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중력이 강한 곳이 있다면 교신의 속도가 확 늦어지거나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중력이 강한 곳에서는 교신의 속도가 늦어지거나 영향을 받게 되는데 이는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해 설명되지용! 중력이 강한 곳에서는 시간의 흐름이 느려지며 중력이 매우 강한 블랙홀 근처에서는 시간이 더 느리게 흐르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 보내거나 받는 신호의 주파수와 속도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를 시간지연현상이라고 하며 신호가 중력이 강한 영역을 통과할 때 시간이 더 느리게 흐르기 때문에, 지구에서 보기에 신호의 전달 속도가 느려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중력은 빛과 같은 전자기파의 경로를 휘게 하며, 중력이 매우 강한 곳을 통과하는 교신 신호는 휘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호가 지연되거나 방향을 바뀌게 하는 것이지용! 블랙홀 근처를 통과하는 신호는 그 경로가 휘어져서 목적지에 도달하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릴 수 있게 되는 것 입니당! 실제로 우리가 쏘아올린 GPS 위성의 경우 중력장내에서 이러한 효과로 인하여 시간 보정을 해줘야 계산의 오차가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날이 더워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당!
지구과학·천문우주
Q. 화성 밑에서 바다가 발견이 되었다고 하는데 어떻게 지금까지 발견 안되다가 발견이 된건지 생명체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화성에서 물이 존재할 가능성은 레이더를 통한 탐사를 진행하였으며 화성 표면 아래를 관찰할수 있는 고성능 레이더를 이탈리아 우주국에서 마스 익스프레스 탐사선을 ㅗㅌㅇ해 지하에서 반사된 신호를 분석하여 지하 구조를 파악하게 되었습니다! 2018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탐사에서 화성 남극의 두꺼운 얼음층 아래에 반사 신호가 나타났고, 이 신호는 지구에서 호수나 바다가 나타내는 반사 신호와 유사했으며, 이는 얼음층 아래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이 발견이 늦어진 이유로 화성의 극지방은 매우 극한의 환경으로, 얼음층이 매우 두꺼워 지하를 탐사하기가 어려웠으며 이전의 탐사 장비들은 지하 깊숙한 곳까지 탐사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적이었었습니다! 화성의 극지방에서 발견된 바다는 순수한 물이 아니라 염수일 가능성이 크며 화성의 낮은 온도에서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하려면 염분이 높아야하며 염수는 물의 어는 점을 낮춰 액체 상태를 유지하게 합니다! 이 바다는 화성 남극 아래의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있는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크기나 깊이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게 되는것이죠! 바다가 생명체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은 아직은 불확실하며 과학자들은 가능성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습니다! 지구에서도 깊은 바다에 생명체가 살고 있는 것처럼 극한의 상황에서도 생명체는 살고 있는것으로 보이기 때문이지용! 날이 덥네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ㅇ면 좋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태양계 외곽의 행성은 왜 위성을 많이 갖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태양계 외곽의 행성들인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은 모두 매우 큰 질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행성들의 강한 중력은 주변의 물질을 끌어당기기 때문에 위성이 만들어 지기 더 쉽게 됩니다. 행성의 중력이 크면 더 많은 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커지며, 외곽 행성들은 이러한 강한 중력으로 인해 여러 개의 위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태양계 형성 초기에는 태양 주위에 원시 행성계 원반이 존재했고, 이 원반은 가스와 먼지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거대 가스 행성들이 형성될 때 그 주변의 물질들이 함께 위성으로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지용! 거대 행성들은 자신들 주위에 작은 원시 원반을 형성할 수 있었고, 이 원반 내에서 위성들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목성과 토성의 많은 위성들이 이런 방식으로 형성 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태양계 외곽에는 얼음과 먼지가 풍부하게 존재하여 태양계 내부보다는 외곽에 더 많은 물질들이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물질들이 거대 행성들의 위성을 형성 하게 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지역에서는 행성 주위에서 물질이 응집되어 큰 위성들을 형성할 수 있었고, 이는 외곽 행성들이 많은 위성을 가지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지용!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당 :)
지구과학·천문우주
Q. 위성이 위성을 갖고 있을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위성의 위성인 하위 위성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고 봅니다~ 이는 행성 주위를 도는 위성은 이미 행성의 중력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데 이 위성이 또 다른 작은 위성을 가지려면, 그 작은 위성은 주 위성과 행성 사이의 복잡한 중력 상호작용 속에서 궤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만약 작은 위성이 큰 위성 주위를 돌면서 안정된 궤도를 유지하려면, 그 궤도가 큰 위성의 지배적 중력 구역 내에 있어야 하며, 큰 위성이 작은 위성에 대한 중력적 지배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로 하위 위성이 존재할 가능성은 낮은데 행성과 위성 간의 중력적 상호작용, 그리고 다른 위성들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하위 위성의 궤도는 매우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하위 위성이 궤도를 벗어나거나 충돌할 수 있는 위험을 증가시키게 됩니당!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당 :)
지구과학·천문우주
Q. 오로라는 왜 극지방에서만 관찰 가능한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태양에서 방출된 고에너지 입자들(주로 전자와 양성자)이 태양풍을 형성하며, 이 태양풍은 지구로 끊임없이 쏟아져 들어옵니다. 지구는 강력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으며, 이 자기장은 지구 주위에서 자기권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자기권이 태양풍 입자들이 지구 대기에 직접 닿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지구의 자기장은 극지방(북극과 남극)에서 가장 강하게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곳에서 지구의 자기장은 태양풍 입자들을 자기장의 힘에 따라 지구 대기로 끌어들입니다. 즉 지구의 북극에서 시작하여 남극으로 들어가는 자기장에 의해서 북극과 남극 지역에 주로 몰려들게 되는 것이지용! 태양풍 입자들이 극지방에서 지구 대기의 상층부(주로 전리층)로 들어오게 되면, 대기 중의 산소나 질소 분자와 충돌하게 됩니다. 이 충돌로 인해 에너지가 방출되면서 빛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들이 로로라인것이지용! 로라가 발생하는 고위도 지역이 아닌 저위도 지역에서는 자기장의 영향이 약하기 때문에, 태양풍 입자들이 대기에 직접 닿을 가능성이 거의 없고, 따라서 오로라를 볼 수 없게 되는 것이지용!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으낳루 되셔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