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남극은 원래 농작을 하며 살아 갈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약 1억 년 전, 백악기 시기에는 남극 대륙이 온난한 기후였다고 알려져 있습니당! 그 당시 남극은 오늘날처럼 남극점에 위치하지 않았고, 남반구의 다른 지역과 연결되 있었으며, 이 시기의 대륙이 온난한 기후를 가지면서, 나무와 같은 식물들이 자랄 수 있었으며, 공룡과 같은 생물들도 서식할 수 있게 된 것이지요! 이는 남극에서 발견된 고대 식물 화석들은 이 지역이 한때 훨씬 더 온난했으며, 그로 인해 다양한 식물이 자랄 수 있었음을 나타내 줍니다! 약 3400만 년 전, 남극 대륙은 점차 남극점에 위치하게 되었고, 지구의 기후가 점점 냉각되면서 남극 대륙은 서서히 얼음으로 뒤덮이기 시작고, 남극해의 해류가 대륙 주위를 돌며 대륙을 더욱 냉각시키게 되빈당! 남극 대륙은 수백만 년 동안 두꺼운 빙상으로 덮이게 되었고, 현재와 같은 극한 환경으로 변했습니다. 이로 인해 농작은 불가능한 지역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기후 변화로 인해 남극의 일부 지역에서는 빙하가 녹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표면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이로 인해 이끼와 같은 식물이 자라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남극이 전반적으로 농작이 가능한 지역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훨씬 더 큰 기후 변화가 필요하죠~ 아직까지는 그러니까 불가능이라고 생각하시며 ㄴ될것 같습니당! 구는 장기적인 기후 주기를 가지고 있으며, 남극이 현재와 같은 얼음 덩어리로 변하기까지 수천만 년이 걸렸습니다. 기후 변화가 가속화된다고 해도 남극이 다시 완전히 온난한 대륙으로 돌아가려면 매우 오랜 시간이 필요하겠죵!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 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당!
지구과학·천문우주
Q. 가끔 하늘을 보면 구름이 평소보다 빠르게 움직이는 경우가 있던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구름은 다양한 고도에서 형성되며, 그 고도에 따라 바람의 속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바람이 강하게 불 수도 있습니당! 저기압과 고기압이 이동할 때, 그 주변의 공기 흐름이 강해지며 저기압이 발달하면 그 주변의 바람이 강해져 구름이 빠르게 이동하게 됩니다. 저기압에서는 공기가 빠르게 상승하고, 그로 인해 형성된 구름이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구름이 빠르게 움직이는 것은 종종 기상 변화, 특히 폭풍, 강풍, 또는 기압 변화의 징후이며, 이러한 현상은 비가 내리거나 바람이 강해지기 전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높은 고도에서 형성된 얇은 구름은 낮은 고도에서 형성된 구름보다 빠르게 이동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는데, 바람의 영향뿐만 아니라 고도에 따른 시각적인 착시 효과 때문이죵! 높은 구름은 지표면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같은 속도로 움직이더라도 더 빠르게 이동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제트기류에 의해 고속의 바람이 고도 약 9~16km 사이에서 매우 빠르게 불고 있습니다. 이 제트기류에 의해 구름이 평소보다 더 빠르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당 :)
지구과학·천문우주
Q. 히말하야 산맥과 달리 왜 일본은 지진이 자주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히말라야 산맥은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이 충돌하면서 형성된 산맥입니다. 이 충돌은 수백만 년에 걸쳐 지속되었으며, 판들이 서로 밀어붙이면서 지각이 압축되고, 그 결과로 거대한 산맥이 형성되었습니다. 히말라야 지역에서는 판이 서로를 밀어올리면서 산맥이 형성되는 것이 주요 지질 활동입니다. 이러한 판의 충돌로 인해 압축 응력이 쌓이지만, 그 결과는 주로 산맥의 융기로 나타나게 되어 큰 지진도 발생할 수 있지만, 일본과 비교하면 지진 활동의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되는 것입니다. 일본은 태평양판, 북아메리아카판, 유라시아판, 필리핀해판의 경계면으로서 서로 충돌하고 한판이 밑으로 내려간는 섭입대를 형성하기도 하지요~ 일본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지진은 섭입대에서 발생하고, 태평양판과 필리핀해판이 유라시아판과 북아메리카판 아래로 밀려 들어가면서, 지각이 변형되고 압력을 쌓게 됩니다. 이 쌓인 압력이 한계점을 넘으면, 지각이 급격히 이동하면서 큰 지진을 만들어 내게 되므로 일본을 세계에서 지진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지역 중 하나로 만듭니다. 특히 일본 해구와 같은 지역에서는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섭입하면서, 지각이 끊임없이 변형되고, 그 결과로 큰 지진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 과정에서 해저에서 발생하는 지진은 때때로 쓰나미를 일으키기도 하는 것이지용!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당 :)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의 크기를 비교해서 행성 크기 순서대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수성(직경이 4,880km로 태양게에서 가장 작은 행성), 화성(직경이 6,779km로 지구보다 더 작게 됨), 금성(직경이 약 12,100km로 지구와 비슷), 지구(직경이 약 12,740km), 해왕성(직경이 약 49,240km), 천왕성( 직경이 약 50,720km), 토성( 직경이 약 116,460km), 목성(직경이 약 140,000km로 태양계 내에서 가장 큰 행성) 순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날이 덥스비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셔용~!
지구과학·천문우주
Q. 낙뢰, 천둥, 번개, 벼락은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번개는 대기중에서 일어난 강력한 전기 방전 현상이며 대기 중에서 구름과 구름 사이, 혹은 구름과 지면 사이에 전기적 불균형이 발생하면 이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번개가 발생합니다. 번개는 순간적으로 수천에서 수억 볼트의 전기를 방출하며, 매우 밝은 빛을 내뿜습니다. 벼락은 번개가 지면에 떨어질때를 의미하며 지면이나 건물, 나무 등에 떨어질 수 있으며, 매우 큰 피해를 주게 됩니다. 천둥은 번개가 발생할때 만들어지는 소리로서 공기 중을 통과하면서 엄청난 열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주변 공기가 급격히 팽창하며 충격파가 발생하고 공기를 통해 전달되며 우리는 이를 천둥으로 듣게 되는 것입니당! 천둥소리는 번개보다 늦게 들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빛의 속도보다 소리의 속도가 훨씬 느리기 때문이지용! 낙뢰는 번개나 물체가 사람을 직접 때리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피해가 발생하면 낙뢰라고 합니다!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셧으면 좋겠습니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