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명왕성이 태양계에서 왜 빠지게 됐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2006년 국제천문연맹에서 결정한 행성으로서의 역할이 달랐기 때문에 기존과는 다르게 행성에서 제외된것입니다! 2006년 국제천문연맹에서는 정례회의를 통해 태양계에서 행성으로 인정받기 위한 3가지의 조건을 형성하게 하는데 첫째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한다. 둘째 자신의 중력에 의해 둥근 모양의 형태를 가지며 충분한 질량을 가지게 한다. 셋째 공전 궤도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하여 그 궤도내에서 지배적인 천체여야 한다 라는 조건이였습니다! 명왕성은 카이퍼벨트대에 위치하기에 3번째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게 되었고 이에 퇴출되게 된것이지용! 명왕성의 궤도는 다른 행성들에 비해 기울어져 있고, 매우 타원적이며, 해왕성의 궤도와 교차할 정도로 궤도가 불규칙하며, 이는 행성으로서의 일반적인 특징과는 다르게 된 것이지요! 또한 명왕성은 다른 행성들에 비해 훨씬 작고, 질량도 매우 적기에 큰 소행성들이 태양계 외곽에서 발견되기 시작하면서, 명왕성을 행성으로 분류하는 것에 대한 논란이 커졌습니다. 이에 명왕성을 행서에서 제외시키고 왜소행성으로 재분류하게 된것이지용! 날이 덥네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당 :)
지구과학·천문우주
Q. 블랙홀은 아무것도 못빠져나오는데 x선은 어떻게 나오나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블랙홀 주위에는 종종 물질이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기 전에 블랙홀을 공전하며 고속으로 회전하는 얇고 뜨거운 원반 모양의 구조인 강착원반을 형성하고 이 원반은 블랙홀의 강한 중력에 의해 끌려온 가스와 먼지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강착 원반의 물질들은 블랙홀에 가까워질수록 중력에 의해 엄청난 에너지를 얻으면서 온도가 매우 높아지며 물질들이 수백만 도에 이르는 고온 상태가 되어 강력한 X선을 방출하게 됩니다. 이 X선은 블랙홀의 이벤트 호라이즌 바깥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블랙홀에 빠지지 않고 우주 공간으로 방출됩니다. 일부 블랙홀중에는 회전하는 블랙홀에서는 강착 원반에 있는 물질들이 블랙홀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극도로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입자들인 플라즈마를 제트 형태로 블랙홀의 극 방향으로 방출하기도 합니다. 이 제트는 빛의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이동하며, X선, 감마선 등 강한 에너지를 방출하게 되는 것이지용! 제트는 블랙홀의 이벤트 호라이즌 내부가 아니라, 강착 원반 바로 바깥쪽에서 형성되어 제트에서 방출되는 X선이나 다른 방사선은 블랙홀에 갇히지 않고 자유롭게 우주로 퍼져나갈 수 있습니다. 날이 덥네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으낳루 되셨으면 좋겠스빈당 :)
지구과학·천문우주
Q. 인류의 우주측정에 대해서 궁금한점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인류가 관측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정해져있지요! 이를 우리는 관측가능한 우주라고 부르며 우주에서는 빛이 유한한 속도로 우밎ㄱ이는데(초당 30만km) 우리가 어떤 천체를 볼때 천체에서 출발한 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데 걸린 시간이 반영되어 과거의 모습을 보게 되는것이죠! 관측 가능한 우주는 우리가 빛을 통해 관측할 수 있는 최대 거리로 정의되며, 현재의 우주 나이(약 138억 년)에 빛의 속도를 곱하여 계산하여 우리가 관측할수있는 우주의 최대범위로 설정하게 됩니다! 우주는 빅뱅 이후 지속적으로 팽창해 왔으며, 현재도 팽창 속도는 계속 가속되고 있다고 하지요!(암흑물질 등에 의해서)우주의 팽창 속도는 먼 거리에 있는 천체들에서는 빛의 속도보다 더 빠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운동장의 트렉의 가장자리에서 더 빠르게 뛰어야 하는 것처럼)이에 따라 우리 인류가 관측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대략 930억 광년으로 알려져있으며 빅뱅 이후 우주가 팽창하면서 빛이 이동하게 되는 최대 거리라고 합니다. 관측 가능한 우주는 우주 전체의 일부분이며 실제 우주의 전체 크기는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범위를 훨씬 넘어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 너머에 대해 직접적인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관측 가능한 우주 내에서만 연구가 가능할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날이 덥습니당 ㅁㅁ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당 :)
지구과학·천문우주
Q. 에레베스트산은 지금도 높이가 올라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맞아용! 지금도 에베레스트 산은 높아지고 있지용! 약 5천만 년 전, 인도판이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유라시아판과 충돌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충돌로 인해 지각이 압축되고 위로 솟아올라 히말라야 산맥이 형성되었고 현재도 진행 중이며, 판들이 서로 밀어내면서 히말라야 산맥의 고도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현재 에베레스트 산은 연간 약 1~3mm 정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판들의 충돌과 압축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지질학적 시간 스케일로 볼 때는 상당한 변화라고 합니다! 이로 인해 지진이 자주 발생하며 바람이나 비 빙하등의 움직임으로 에베레스트 산이 깍여지기도 한다고합니당! 날이 덥습니다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