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한정현 전문가
부산예술고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주6일제 근무에서 주5일제 근무로 바뀌게 된 과정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2004년 먼저 금융·공공 부문과 1,000명 이상 사업체에 시범적으로 토요 휴무제를 실시했습니다. 이듬해부터는 학교를 대상으로 매월 넷째 주 토요일을 휴일로 지정, 이른바 ‘놀토’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2011년까지는 2·4주 격주로 휴일을 늘렸으며 2012년 들어서 매주 토요일로 확산됐습니다.질문자님의 말씀처럼 주6일제 당시 토요일은 오전9시에서 오후1시까지가 근무시간이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시대 쌓았던 천리장성은 지금 현재도 그 유적이 보존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의 천리장성은 요나라(거란), 금나라(여진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축조되었다. 현재도 그 흔적이 남아 북한의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고구려의 장성이 요동 반도에서 만주 중부까지 이어져 있다면, 고려의 장성은 압록강 어귀(강동6주)에서 평안남도 북단을 가로질러 함경남도의 동해 바닷가(정평 해안의 도련포)까지 이어져 있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철종 재위 시절 일어난 임술 농민 봉기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임술민란은 1862년(철종 13) 삼남지역을 중심으로 일어난 농민전쟁이다. 진주 부근의 작은 고을 단성에서 시작된 농민 항쟁은 3월에는 경상도 전역으로, 4월에는 전라도로, 5월에는 충청도로 확산되었다가 제주를 포함한 전국 70여 개 고을로 번졌다. 삼정문란 등 농민에 대한 억압 수탈의 심화가 원인이었다. 조정에서는 선무사·안핵사·암행어사를 파견하여 총체적 실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삼정이정책을 마련하였으나 실질적인 개혁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곧 옛 제도로 환원되고 말았다. 그러자 9월에 다시 민란이 일어났고 이후 대원군·민씨 정권 아래에서도 계속되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충무공이 임진왜란 당시 해전해서 승리할 수 있었던 기술적 이유는 뭐라 보시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총통과 신기전을 활용한 선체 파괴에 중점을 둔 전술, 평저선 즉 판옥선의 특성을 응용한 전술, 조란탄과 거북선 등 신무기의 활용, 병참선의 중요성을 이해한 점등이 승리의 기술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KBS수신료 언제부터 납부하기 시작하였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63년 1월 1일에 '국영 텔레비전 방송사업 운영에 관한 임시조치법' 및 동법 시행령이 제정/시행되면서 TV 수신료가 징수되기 시작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크게 전쟁에서 승리한 것을 대첩이라고 하는데요 여기서 첩의 의미는 무엇을 뜻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첩’은 크게 [대(大)] 이긴 싸움, 즉 대승(大勝)한 전투(戰鬪)에만 붙는 이름이다. 한자 첩(捷)의 뜻은 이긴다는 말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의 한산대첩은 현재 위치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산도는 한산대첩지로 잘 알려진 곳이다.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에 있는 섬으로 추봉도(秋蜂島)에서 북서쪽으로 0.5㎞ 지점, 통영에서 동남쪽으로 약 2.4㎞ 지점에 있다. 면적은 14.72㎢이고, 해안선길이는 30.0㎞이다. 한산도는 통영시의 유인도 중에서 가장 큰 섬이며, 한산면의 29개 유·무인도 중에서 가장 큰 섬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애국가가 친일파에 의해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작곡가 안익태는 친일인명사전에 올라가 있다. 일제강점기의 초반에는 독립운동가로 열심히 활동했으나 중반부터 당시 일본과 친밀감이 있던 독일로 넘어가 만주국 건국 10주년 기념 음악을 만들고, 음악회를 지휘했다. 1941년에는 일본의 궁중음악인 에텐라쿠를 지휘하고, 일본의 국가인 기미가요를 연주하였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대영제국이 행한 악행들에 대해 모조리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벵골 대기근- 방글라데시에서 식량부족으로 700만명을 아사시킨 충격적인 사건이다. 국군이 작성한 비밀 문서에 의해서 이 대기근이 영국의 쌀 수탈 정책에 의해 의도적으로 벌어진 대참사라는 것이 뒤늦게 밝혀졌다. •아일랜드 대기근- 1845년에서 1852년까지 영국의 아일랜드 섬에서 일어난 집단기근, 역병과 집단 해외이주의 시기를 일컫는다. 표면적인 이유는 감자마름병이라고 알려졌지만, 사실 진짜 이유는 영국인 지주들의 착취였다. •아편전쟁- 1840년부터 1842년까지 벌어졌던 제1차 아편전쟁은 영국이라는 나라의 비도덕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전쟁이었다. 영국은 청에게 인도에서 생산되는 직물을 팔려고 했으나 이것이 인기가 없자, 인도에서 생산되는 아편을 팔기 시작했다. 아편의 단점에 대해 모르던 청나라인들은 아편을 즐기기 시작했고 아편굴에는 폐인같은 사람들이 들끓었고 심지어 관리들조차 아편을 즐기며 이성적인 판단이 힘들어졌다. 이에 청나라에서는 영국에게 더 이상 아편거래를 하지않겠다고 하였으나, 영국에서는 아편을 계속 팔기 위해 청과 전쟁을 선포했다. 결과는 영국의 승리로 끝났고 청은 영국과 난징조약을 체결하였다. •쿠르드족 대학살- 1920년 1차세계대전 이후 영국은 쿠르드족의 독립투쟁을 아주 잔혹하게 진압한 역사가 있다. 당시 처칠 수상은 “쿠르드족은 벌레 같고 하찮다.”며 독가스로 다 죽이라는 명령을 내렸다. 쿠르드족이 말살을 피한 이유는 단지 영국의 독가스 재고가 부족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유대 아랍 이중계약- 1917년 영국의 외무장관 아서밸푸어는 유대인의 돈을 빌리기 위해서 유대민족의 국가 건설을 지지한다는 약속으로 밸푸어 선언을 한다. 그런데 2년전에 아랍지도자 알리 빈 후세인에게도 팔레스타인 지역에 아랍 국가를 건설하게 하겠다는 맥마흔 선언을 했다. 같은 지역을 두고 이중계약을 한 것이다. 이로 인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으로 아직까지 매년 수천명의 사람들이 죽고 다치고 있지만 영국은 아직 사과를 한 적도 없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 대한민국이 언제부터 북한의 경제력을 앞서기 시작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74년에 남한은 1인당 GDP 571달러(116위)를 기록하여 515달러(124위)를 기록한 북한을 드디어 추월했고, 1979년 기준으로 남한의 1인당 GDP는 1,805달러(72위), 북한은 622달러(133위)를 기록하게 되어 남북간의 격차가 더 벌어졌다.
1161171181191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