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한정현 전문가
부산예술고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본이 현재 시행하고 있는 노령화 대책으로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정부는 국민건강 수명의 연장 및 생활의 질적 향상을 위해 건강구축의 종합적 추진, 개호보험제도 실시, 개호서비스 확충, 고령자의료제도 개혁, 육아지원의 종합적 추진 등의 시책을 마련하고 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제승방략체제는 왜 만들어진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승(制勝)’이란 적을 제압하여 승리로 이끈다는 뜻이다. 다시 말해 제승방략은 전쟁에 승리하는 전략인 셈이다. 조선 전기 국방 체제는 1457년(세조 3) 만들어진 진관 체제(鎭管體制)였다. 이는 병력 이동 없이 행정 단위에 따라 소속 지역을 지키는 전략이었기 때문에 많은 군사와 군비(軍費)를 발생시켰다. 또한 진관 체제는 군사를 분산시키게 되므로 상습적으로 침입을 당하는 지역이나 군사 요충지를 선별하여 병력을 집중시키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조선 전기의 골칫거리였던 북방 여진족과 남해안 왜구와 벌이는 소규모 국지전에 대처하기에는 비효율적이었다.조선 정부는 1510년(중종 5) 일어난 3포 왜란을 계기로 하여 전투가 벌어지는 거점 지역에 각 진관의 수령이 휘하 군사들을 이동시키고, 중앙 정부에서 보낸 군사 전문 지휘관의 지휘를 받는 전략, 곧 제승방략(制勝方略)의 방어 체제를 구축하였다. 조선 정부는 비전문가가 지휘하는 분산적 방어 시스템을 전문가가 지휘하는 집중적 방어 시스템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변방의 국지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임진왜란과 같은 전면전에서 제승방략 체제는 매우 취약하였다. 집중적 방어 거점 지역이 함락될 경우 후방에서 방어선을 다시 형성할 방법이 없었으며, 중앙 지휘관이 전선에 도착하는 시간보다 적의 진격이 빠를 경우 전장은 혼란에 빠질 수밖에 없었다. 이는 일본군이 삽시간에 수도를 함락시키는 것으로 현실화되었다. 결국 임진왜란 이후 국방 체제는 제승방략 체제의 취약점을 보완하여 중앙군을 강화한 5군영과 지방군을 강화한 속오군으로 크게 변화하였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피카소는 왜 갑자기 추상화에 빠지게 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젊은 날의 피카소는 고전주의 풍의 그림들을 그렸다. 미술계에서는 그의 실력을 인정하기는 했으나, 다른 그림과 비슷한 그의 그림에 크게 주목하지는 않았다. 그러던 중 피카소는 우연히 기존의 형태가 아닌 자신의 시각을 담은 그림을 그렸다. 파격적인 그림에 미술계는 그에 대한 태도를 바꿨다. 덕분에 부와 명예를 얻게 된 피카소는 미술계가 원하는 것은 ‘잘’그린 그림이 아닌 ‘파격’임을 깨닫는다. 그는 또 다른 파격들을 시도한다. 그리고 미술계는 그가 파격을 시도할 때마다 찬사를 보낸다. 피카소는 말년에 마네, 푸생, 벨라스케즈, 들라쿠루아 등의 선배 화가들의 작품을 자신만의 시각으로 모방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의 연호라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 거죠?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연호는 황제의 통치권을 상징하였으므로 황제의 지배를 받는 모든 사람은 그 황제의 연호를 사용해야 하였다. 조선은 스스로 중국의 제후국을 자처하였으므로 독다적인 연호를 만들지 않고 중국의 것을 받아다 썼다. 그래서 조선 전기에는 명나라의 연호를 쓰고, 후기에는 청나라의 연호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19세기에 들어 조선도 독자적인 연호를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조선이 독자적인 연호를 쓰게 된 계기는 강화도 조약이었다. 강화도 조약은 일제의 무력 협박에 의한 불평등 조약이었다. 그렇지만 겉으로는 자주 독립국 조선이 일제와 주체적으로 조약을 맺는 형식을 취하였다. 예컨대 강화도 조약의 제1조에 “조선국은 자주 국가로서 일본국과 평등한 권리를 보유한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청나라와의 예속(隷屬) 관계를 단절한다는 의미였다. 강화도 조약 제1조에서 ‘조선국은 자주 국가’라고 하였으므로, 이 조약문에 청나라 연호를 사용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궁여지책(窮餘之策)으로 개국 연호(開國年號)라는 것을 사용하였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공납 제도에는 어떤것들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왕조의 공물은 공안(貢案)에 수록된 정규적인 상공(常貢) 이외에 수요가 발생할 때 수시로 거두는 별공(別貢)이 있었음은 고려와 마찬가지였다.『세종실록지리지』에 나타난 공물의 내역은 농업생산물을 비롯하여 가내수공업제품, 해산물, 과실류, 광산물, 조수류 등이 망라되어 있다. 공물의 부과는 해당지역의 결수(結數)와 호구수(戶口數)가 참작되었지만 그 기준은 분명하지 않았고, 수취과정도 지방관과 향리(鄕吏)에 맡겨졌기 때문에 처음부터 문제의 소지를 안고 있었다. 한편 진상(進上)은 국왕과 궁중에서 필요로 하는 물품을 ‘예헌(禮獻)’의 방식으로 상납하는 것으로서 공물과 마찬가지로 군현 단위로 배정되어 민호에 부과되었다.공물과 진상은 관에서 마련하는 것(官備)과 민호가 갖추어내는 것(民備)이 있었는데 민호의 부담으로 돌아오기는 마찬가지였다. 공물·진상은 그 자체의 부담뿐 아니라 운반·수송에 소요되는 노동력도 요역의 형태로 제공해야 했다. 그 부과도 지역의 산물을 배정하는 것이 원칙이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한번 공물로 정해져서 공안에 오르면 이를 바꾸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고 이를 구하기 어려울 경우 상납물품을 구입하여 납부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구조적 모순이 공물의 대리납부, 즉 방납(防納)을 가져왔다. 상인이나 하급관리, 권세가 등은 방납구조에 기생하여 폭리를 취하였고 그 반대편에는 소농민(小農民)의 몰락이 이어졌다.공납제 개혁문제가 조야의 중대현안으로 떠올랐음은 물론이다. 조광조(趙光祖), 이이(李珥) 등이 공물을 쌀로 대납하는 방안인 대공수미법(代貢收米法)을 제시한 것도 이 때문이었다. 지방 차원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공물가격을 미곡의 형태로 수취하여 방납을 통해 납부하는 관행이 확산되었는데 이를 사대동(私大同)이라 한다. 대동법도 따지고 보면 이러한 사대동의 관행을 국가적 차원에서 공인한 것이었다. 대동법의 선구적 형태는 임란중인 1594년(선조27) 군량조달을 목적으로 유성룡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채택된 ‘대공수미법’이었다. 광해군 즉위 직후 이원익(李元翼) 등의 건의로 경기지역에 처음 실시된 대동법은 충청·전라·경상도 등으로 확대되어 1708년(숙종34) 전국적인 시행을 보게 되었다. 남부지역과는 달리 함경·강원·황해도에는 상정법(詳定法), 평안도에는 수미법(收米法)이 채택되었는데 본질적으로 대동법과 다르지 않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베버리지 보고서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베버리지 보고서(Beveridge Report)는 윌리엄 베버리지(William Henry Beveridge)가 사회보장 제도의 확대를 위해 구상한 보고서로, 제2차 세계 대전 후의 영국이 가야 할 복지국가의 토대가 되었다. 정식 명칭은 사회보험과 관련 서비스(Social Insurance and Allied Services)이다.2차 대전이 진행 중이던 1941년, 영국 노동조합총연맹의 청원을 계기로 부처 간 위원회가 조직되어 국민건강보험제도에 관한 검토를 시작하였다. 이 검사에 기반하여 1942년 11월에 제시된 것이 베버리지 보고서로, 건강보험, 실업보험, 연금 등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제도를 정비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였다. 이 보고서는 대중의 관심을 집중시켰고, 복지 국가로의 기대를 가지게 하였다.유럽에서 2차 대전이 끝난 뒤인 1945년 7월에 치러진 선거에서 노동당이 대승을 거둬 클레멘트 애틀리(Clement Richard Attlee)가 이끄는 내각이 출범하였고, 베버리지 보고서의 구상을 실현하기 시작했다. 1946년에는 국민보험법, 국민보건서비스법, 국민부조법 등이 제정되었으며, 소위 「요람에서 무덤까지」로 일컬어지는 복지 국가로의 길을 걷기 시작하였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비틀즈가 과거에 설립한 회사는 어떤 회사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애플 코어(Apple Corps Ltd.)는 1968년 영국의 록 밴드 비틀즈에 의해 설립된 다각적 회사조직이다. 비틀즈의 매니저 브라이언 엡스타인이 세금대책을 위해 비틀즈의 경영을 다각화하여 투자 대상을 늘리는 방향이 좋겠다고 회계사에게 들은 데서부터 시작된다. 브라이언은 베이커 스트리트에 '애플 퍼블리싱'이라는 음악출판사를 세운다.1967년 8월 27일 브라이언이 사망하자 'NEMS 엔터프라이즈'가 엉망진창이 되고, NEMS의 관계자가 브라이언 대신 비틀즈를 결산하려 하자 "브라이언을 대신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며 비틀즈는 자기들 스스로 매니지먼트하기로 결정한다. 그리고 자신들의 오피스와 조직이 필요케 되어 "이왕 할 바에는 우리들이 좋아하는 쪽으로 하자"며 비틀즈는 '애플'을 비틀즈의 회사로서 확대하기로 한다. 여기에는 "뮤지션 혹은 아티스트 본위의 회사"를 만들고 싶다는 바람이 있었다.존 레논 - "비즈니스의 시스템 속에서 예술적인 자유를 확보하는 것"폴 매카트니 - "애플은 일종의 공동체, 다른 사람들에게 꿈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거둥고개의 유래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거둥고개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에 있는 고개로 정조의 후궁 의빈 성씨와 아들 문효세자의 무덤이 있었습니다. 정조가 이들의 무덤에 거둥(왕의 행차)할 때 지나갔다 하여 거둥고개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비틀즈의 애니메이션 내용에 대해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비틀즈의 에니메이션은 영화는 비틀즈의 노래 Yellow Submarine을 계기로 1968년 제작되었다. 깊은 해저 어딘가에 존재하는 아름다운 나라 '페퍼랜드(Pepperland)'의 평화가 노래를 싫어하는 악당 '블루 미니(Blue Meanie)'의 군대에 의해 깨져 버리고, 페퍼랜드의 시장으로부터 명을 받아 선장 프레드가 노란 잠수함을 타고 탈출한 뒤 비틀즈를 만난다. 그렇게 비틀즈 4인방과 프레드는 잠수함을 타고 온갖 이상한 세계를 오고 가는 모험을 하며, 페퍼랜드의 평화를 되찾고자 블루 미니 일당과 한판 승부를 벌이는 이야기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치종청은 무엇을 하는 곳이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종기를 치료하기 위한 일을 관장하였던 관서이며,관원으로는 교수 1인(전의감교수로서 치종청에 이속시킴), 침의(鍼醫) 3인, 전함(前銜) 10인, 생도 10인을 두었다고 되어 있다. 처음에는 독립된 관서로 설치하였다가 뒤에 전의감에 합병된 것으로 추정된다.
26272829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