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한정현 전문가
부산예술고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동지팥죽은 중국에서 전래되었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동지에 팥죽을 쑤어 먹거나 소똥과 팥죽을 대문과 마당에 뿌리는데, 악귀와 액운을 내쫓는다는 뜻에서 비롯한 것이다. 6세기 중후반에 쓰여진 중국 고서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중국에 공공(共工) 씨가 재주 없는 아들을 두었는데 그 아들이 동지날에 죽어서 역귀가 되었다. 그런데 그 아이가 살아 있을 때, 팥을 두려워했으므로 동지날에 팥죽을 쑤어 물리친 일을 따른다는 것이다. 그러나 동지에 해당하는 날이 음력으로 11월 1~9일 일 경우에는 애동지라 하여 어린 아이들은 팥죽을 먹지 않는 대신 팥을 넣은 떡을 먹고, 11월 10일 이후일 때는 어른동지라 하여 팥죽을 먹는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 간 전쟁은 어떤 이유로 발발하여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48년 유대인들은 팔레스타인 지역에 이스라엘 국가 건국을 선언했다. 많은 팔레스타인인들은 이스라엘의 국가 수립에 반대했고, 1차 중동전쟁으로 이어졌다. 이웃 아랍국가의 군대들이 참전하였고 이로 인해 팔레스타인 지역 주민 수십만 명이 피난길에 나서야 했다. 이 사건은 아랍어로 '알 나크바(Al Nakba)' 혹은 '대재앙'으로 불린다. 이듬해 1차 중동전쟁이 휴전으로 끝날 무렵,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지역의 대부분을 장악하게 된다. 오늘날 서안지구로 알려진 땅은 요르단이 차지했고, 가자지구는 이집트가 점령했다. 예루살렘의 경우 서쪽은 이스라엘군 지역, 동쪽은 요르단군 지역으로 나뉘게 된다. 하지만 참전 세력들 간 서로를 향한 비난이 끊이지 않으면서 이 전쟁은 결국 평화협정을 맺지 못했고, 이후 수십 년 동안 더 많은 전쟁과 싸움이 지속되고 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심양은 현재의 어디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선양은 중국 랴오닝성의 성도로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심양'이다.이 지명은 시 주변을 흐르는 훈허 강(渾河)의 옛 이름 선수이 강(瀋水)의 북쪽에 있다는 뜻인 '심수지양(瀋水之陽)'에서 유래한 것이다. 발해가 심주라는 이름을 쓴게 최초로 이 지역 지명에 '심'이라는 이름이 붙게 된 것이며, 이후 심주, 심양 등의 이름을 사용하였다. 원나라 시기 고려 국왕이 겸임으로 봉작되었던 심왕위의 '심'이 이 지역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코란에서 규정한 못먹는 음식이나 재료는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슬람 사회에서 금지된 음식, 하람으로 규정된 음식은 돼지고기와 돼지의 부위로 만든 모든 음식입니다. 또한 동물의 피와 그 피로 만든 식품도 하람입니다. ‘알라의 이름으로’라고 기도문을 외우지 않고 도축한 고기도 금기 음식입니다. 이밖에도 도축하지 않고 죽은 동물의 고기, 썩은 고기, 육식하는 야생 동물의 고기 등도 먹을 수 없습니다. 메뚜기를 제외한 모든 곤충도 먹지 못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통신사 규모 및 역사적 의미에대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통신사는 조선시대 조선 국왕의 명의로 일본의 막부장군에게 보낸 공식적인 외교사절이다. 일반적으로 조선통신사라 한다. 명·조선·일본 간의 사대교린 관계에서 조선과 일본은 대등한 처지의 교린국으로서 상호간에 사절을 파견했다. 사절의 명칭은 조선측은 통신사, 일본측은 일본국왕사라 했다. 태종 때부터 통신사의 파견이 정례화되어 조선시대 전 기간에 걸쳐 총 20회(조선 전기 8회, 조선 후기 12회)가 이루어졌다. 조·일 양국 간 우호교린의 상징이었지만 임진왜란 등 정세에 따라 변동을 겪었다. 외교만이 아니라 학술·사상·기술·예술 등 문화교류의 통로이기도 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몽골이 대제국을 만들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복전쟁을 하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전쟁물자의 원활한 조달과 이동속도다. 농경을 하며 정착해 살던 정복당한 나라들과 달리 몽골군대는 유목민족이다 보니 말을 타는 것에 능했다. 군대는 기마병위주로 구성되었고 목적지에 빨리 도착할 수 있었다. 보병위주의 군대들이 생각할 수 있는 이동속도가 아니었다. 방어준비를 끝내기 전에 나타난 몽골군대에 상대편은 당해낼 재간이 없었다. 또 물과 식량에 있어서도 다른 나라의 군대와 달랐는데 양이나 말의 고기를 말려서 만든 육포를 주식으로 하면서 식량의 부피가 크게 줄일 수 있어 수송을 원활하게 했고 정복한 나라의 가축을 통해 식량문제의 해결할 수 있었다. 위생이라는 개념이 적었던 당시에 지역을 옮겨 다니는 경우에 풍토병의 일종인 물갈이를 하기 쉬웠다. 역내전투와 달리 역외전투가 벌어지는 정복전쟁을 하다보면 여러 지역을 옮겨 다니게 된다. 이때 가장 노출되기 쉬운 문제가 바로 마시는 물 문제다. 물갈이를 잘못하면 이질과 같은 질병에 걸려 전투는커녕 스스로 몸을 추스르기도 어려워지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것이 몽골군대의 마유주다. 몽골군대는 말이나 양의 젖으로 만든 마유주라는 술을 물 대신 마시면서 전투를 치렀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로부터 자유로웠던 것이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조선시대 화가 김득신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 1754~1822)은 영·정·순조대의 도화서 화원이자 규장각 초대 자비대령화원이다. 그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화원가문인 개성김씨 출신으로 44년 이상을 화원으로 봉직하며 주요한 화사의 중책을 맡은 전형적인 조선 후기 도화서 화원의 면모를 보여준 화가이다. 또한 그는 잘 알려진 풍속 외에도 산수, 인물, 영모, 화조 등 거의 모든 장르에서 뛰어난 실력을 뽐내던 당대 최고의 화가 중에 한 명이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홍도 화풍의 영향을 많이 받은 화가라든지, 풍속으로만 유명한 화가라든지 그를 한정해서 보는 시각들이 많았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이 논문은 김득신의 생애를 재구성하여 한국회화사에 끼친 그의 영향력을 재평가해보고자 하였다. 김득신의 양가는 조선 후기 명문 화원집안인 개성김씨와 신평한씨로, 그는 일찍부터 철저한 교육을 받고 십대에 도화서 화원 생활을 시작하였다. 1772년(영조48) 『육상궁시호도감의궤』를 비롯하여 19개의 의궤에서 그의 이름이 등장하여 그의 공적 활동을 짐작케 해준다. 또한 규장각 자비대령화원 직제가 생긴 후, 그는 초대 자비대령화원으로 선발되어 37년간 규장각 내부 활동에 정진하였는데, 용주사 불화 조성의 감동(監董), 정조어진 도사, 《화성원행도병》 제작 등 주요한 화업뿐만 아니라 어제 인찰, 도서 편찬 등 일상적인 업무에도 충실하였다. 이같은 탁월한 기량과 성실한 태도로 정·순조 시기 기복 없이 신임을 받았는데, 10차례의 포폄등제(褒貶等第) 기록, 녹취재에서 19회에 걸쳐 정6품 사과(司果)와 정7품 사정(司正)에 부록된 성적, 두 차례의 도화서 별체아 부록 등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는 공적수행 뿐만 아니라 사적인 작품 활동도 꾸준히 전개해나갔다. 그는 김응환을 비롯한 가문 인맥과 김홍도, 이인문 등 선배 화원들과의 친분을 통해 조선 화단의 중요한 인맥들과 교류의 폭을 넓혀나갔다. 이같은 인맥을 통해 그는 사적인 주문을 받아 다양한 장르의 그림을 제작하였는데, 《고산구곡시화병》, 《한강주유아회첩》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영국이 1801년에 아이랜드를 합병했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이 당시 아일랜드는 영국의 식민지였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국 정부는 1707년 연합법 제정으로 스코틀랜드를 합병시켰던 것과 마찬가지로 1801년에 아일랜드를 완전히 영국에 합병시킨다.1800년대 중반에 대기근이 닥쳐 대략 850만 명이었던 아일랜드 인구는 660만 명 정도로 떨어졌고, 많은 사람이 미국을 포함한 해외로 이주했다.1916년 부활절 봉기와 영국-아일랜드 전쟁을 거쳐 1921년 영국-아일랜드 조약을 체결함으로써 아일랜드 32개 주 가운데 남부 26개 주가 아일랜드 자유국으로 독립했다, 1년 후 아일랜드 내전이 일어났다, 1949년에 아일랜드는 영연방에서 탈퇴한 후 아일랜드 공화국으로 완전하게 독립하였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산업 혁명을 통해 인류가 빠른 발전을 할 수 있었는데요 이런 산업 혁명은 근대시대 언제 이뤄졌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산업혁명(産業革命, 영어: Industrial Revolution)은 18세기 중반에서부터 19세기 초반까지, 약 1760년에서 1820년 사이에 영국에서 시작된 기술의 혁신과 새로운 제조 공정(manufacturing process)으로의 전환, 이로 인해 일어난 사회, 경제 등의 큰 변화를 일컫는다. 섬유산업은 현대의 생산 방법을 처음으로 사용했다. 산업혁명은 후에 전 세계로 확산되어 세계를 크게 바꾸어 놓게 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장영실이 파면당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종은 각종 병으로 고생해서 온천에 자주 갔는데, 장영실은 세종이 온천여행을 갈때 타고 갈 어가를 제작하라는 명을 받고 어가를 제작했다. 이 어가도 비범한 것이 무려 자신이 직접 움직일 수 있는 것이었다고 한다. 그러런 중, 어가가 부서지는 사고가 발생했고 장영실은 대불경 으로 의금부에 투옥되어 장형을 받은 뒤 파직되었다.
26272829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