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한정현 전문가
부산예술고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Trick or Treat는 무슨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 말 뜻은 "과자를 안 주면 장난칠 거예요"이다.trick(트릭)은 '장난'이라는 뜻이고 'treat'(트릿)은 '대접하다'라는 뜻이다. 여기서 대접의 매개체는 바로 과자다. 이는 할로윈 데이에 아이들이 유령이나 괴물 분장을 하고 집집마다 다니며 사탕이나 초콜릿 등 과자를 받는 풍습을 가리킨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몽골군은 어떻게 유럽까지 쳐들어갈 수 있었던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몽골군이 유럽까지 쳐들어 갈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신출귀몰한 기동력 덕분이었다. 당시 보통 몽골 기병 한 명이 서너 마리의 말을 끌고 다니며, 길게는 하루 이동 거리가 200km에 달했다고 한다. 당시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빠른 속도였다. 러시아와 유럽은 전광석화와 같은 몽고군의 기습에 혼비백산했다. 이 정도면 당시의 전령보다 빠른 속도였다. 공격받는 입장에서 전방의 성이 함락됐다는 소식을 가진 전령보다 몽골 부대가 더 빨리 도착한다는 것이다. 그야말로 마른 하늘에 날벼락이나 다름없는 느낌이었을 것이다.몽골군의 비밀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그들은 심지어 기동성을 저해하는 보급 부대조차 없었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군대가 움직일 때는 그 뒤를 따라가는 보급 부대가 있는 것이 상식이다. 식량과 보급품들을 지원해줘야 하기 때문이다. 어떤 때는 전투병 보다 이러한 보급 부대 인원이 더 많았다. 하지만 대규모 보급 부대와 같이 움직이는 전투 부대는 기동력이 빠를 수가 없었다. 그러나 몽골군에게는 이러한 보급 부대를 끌고 다닐 필요가 없어 행군 속도가 빠르고 기동력 있는 작전이 가능했다. 그 시대의 상식으로는 말도 안되는 일이었다.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 몽골군은 보급 부대 없이 장병 스스로 자기 먹을 걸 안장 밑에 갖고 다니며 스스로 식사를 해결했기 때문이다. 심지어 급할 때는 따로 식사 시간이 없이 끊임없이 달리면서 식사를 했다고 한다. 그 안장 밑 음식이 바로 말젖 분말과 육포 가루였다. 마르코 폴로의 기록에 의하면 몽골군은 4~5kg 정도의 말젖 분말을 휴대하고 다니다가 아침 무렵에 500g 정도를 가죽 자루에 넣고 물을 부은 다음, 저녁 때 불려 먹었다고 한다. 그리고 전투 중에는 '보르츠'라고 불리는 육포 가루를 물에 타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들의 육포는 주로 소고기로 만들었으며, 경우에 따라 양고기, 말고기, 물고기 등으로도 만들 수 있었다고 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영국의 튜터시대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튜터왕조는 영국의 역대 왕조 중 하나이자 랭커스터 가문의 방계 가문이다. 절대 왕권으로 유명한데, 영국 역사상 가장 강력한 왕권을 휘두른 왕조가 바로 이 왕조이다.1485년, 헨리 튜더가 장미 전쟁을 끝내고 헨리 7세로 즉위하면서 시작되었다가 엘리자베스 1세 이후로는 직계 후손이 없어 단절되었다.다만 뒤를 이은 스튜어트 왕조의 시조 제임스 1세가 모계로는 헨리 튜더의 피를 잇고 있어서 현재 영국 왕실에까지 튜더 가문의 피가 흐르고 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 잡과로 올라갈 수 있는 최대 관직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잡과에 급제해도 벼슬을 받기는 하지만, 문,무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대접을 받았으며 승진 품계에 한계가 명확했기에(한품서용) 문과 급제 가문에서는 잡과를 천시했다. 물론 어의가 되거나 역관으로서 큰 공을 세워 왕의 총애를 받는 경우도 있지만 흔하지는 않았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북한이 우리나라를 괴뢰팀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괴뢰’라는 말은 남이 부추기는 대로 따라 움직이는 꼭두각시를 지칭하는 말로, 북한에서는 제국주의의 앞잡이인 민족 반역자라는 의미를 담아 사용합니다. 남한이 미 제국주의의 앞잡이 노릇을 하며 미국의 꼭두각시 역할을 하고 있다는 비방인데, 주체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북한이 한반도의 정통성 있는 정부라는 시각이 깔려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진사나 생원이라는 직함이 붙으면 관리가 되었던 건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생원진사시는 조선시대 성균관에 입학할 자격을 부여하는 것을 본래의 목적으로 실시한 과거이다. 소과 또는 사마시라고도 한다. 유교경전에 대한 지식을 시험하는 생원시와 시·부의 제목으로 문예창작능력을 시험하는 진사시에서 각각 100명을 선발하여 성균관 입학자격을 부여했다. 그러나 성균관에서 수학하지 않아도 문과에 응시할 수 있었고 성균관의 운영이 부실해 입학하는 자가 많지 않았다. 초시와 복시의 두 단계로 나뉘어 시험이 이루어졌다. 조선조 후기로 가면서 관직 진출보다는 가문과 후손의 영예를 위한 자격시험으로 그 성격이 변해갔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맹꽁이라는 동물의 이름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맹꽁이라는 이름은 수컷 맹꽁이가 암컷을 부르는 울음소리인 "맹꽁맹꽁" 하는 소리에서 유래했다. 사실 한 마리가 맹꽁맹꽁 우는 게 아니라, "맹"이라고 우는 맹꽁이와 "꽁"이라고 우는 맹꽁이의 소리가 겹쳐져 그렇게 들리는 것. 정확히 말하면 어떤 한 마리가 "맹" 하고 울면 다른 녀석은 자신의 소리를 암컷이 구별하도록 하기 위해서 "꽁"으로 소리를 바꿔서 운다고 한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고추먹고 맴맴 이라는 동요에 대해서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맴맴은 한국의 동요로서 1920년대 '집 보는 아기의 노래'라는 제목으로 발표되었으나 해방 후 국정음악교과서에 수록될 때 곡명이 '맴맴'으로 바뀌었다. 가사도 원래는 "담배 먹고 맴맴"이었으나 동요로 부적절하다고 하여 "달래 먹고 맴맴"으로 바뀌었다.맴맴의 뜻은 '맴돌다'할 때의 맴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시대 자제위라는 기관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자제위는 1372년(공민왕 21) 10월 왕권을 강화하고 신변 호위 및 인재를 양성할 목적으로 궁중에 설치하였고, 공신과 고위 관직자의 자제를 선발하여 배속시켰으며 대언(代言) 김흥경(金興慶)으로 하여금 총관하게 했다.『고려사』에 의하면 공민왕이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가 죽은 뒤 젊고 용모가 빼어난 젊은이들을 이곳에 소속시킨 뒤 이들과 변태 성욕을 즐기고, 후사를 얻기 위하여 이들로 하여금 비빈(妃嬪)들을 욕보이게 하였다는 등 부정적으로 서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서술은 조선 초의 사가들에 의하여 조선왕조의 개창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왜곡한 것으로 보인다.한편 공민왕은 국내외의 불안한 정정이 거듭되면서 결국 자신이 설치한 자제위 소속의 홍륜(洪倫) 등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자제위에 소속된 인물로는 권진(權瑨)·한안(韓安)·홍관(洪寬)·노선(盧瑄)·홍륜 등이 확인되는데, 이들은 뒤에 효수되었을 뿐만 아니라 가산까지 몰수당하였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시대의 토지제도 중에서 구분전이라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구분전은 고려시대에 양반 및 군인의 유가족에게 지급하여 생활을 돕도록 한 토지이다. 양반 및 군인의 유가족은 구분전을 통해 생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 구분전은 단순히 휼양(恤養)을 목적으로 지급하였다고 보기도 하며, 전시과와 관련시켜 이해하기도 한다. 후자의 견해는 관직과 직역 계승이 단절되어 전시과가 국가에 환수될 때 유가족을 위해 마련된 토지가 구분전이었다고 해석한다.
363738394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