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시대에 궁에는 맹인 침술사를 뒀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자는 본국에 돌아온 지 얼마 안 되어 병을 얻었고 병이 난 지 수일 만에 죽었는데, 온 몸이 전부 검은 빛이었고 이목구비의 일곱 구멍에서는 모두 선혈(鮮血)이 흘러나오므로, 검은 멱목(幎目)으로 그 얼굴 반쪽만 덮어 놓았으나, 곁에 있는 사람도 그 얼굴빛을 분변할 수 없어서 마치 약물(藥物)에 중독되어 죽은 사람과 같았다.’ - 인조실록 23년 6월 27일영화 ‘올빼미’는 조선 왕가의 의문사인 소현세자의 죽음에 새로운 인물을 추가해 완성한 영화다. 위의 인조실록에 ‘마치 약물에 중독되어 죽은 사람 같았다’는 기록에, 밤에만 희미하게 볼 수 있는 ‘맹인 침술사’라는 허구의 신선한 설정을 결합했다.
Q. 결혼 폐백때 밤과 대추를 던져주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결혼식 폐백 예식에서 절을 받은 집안 어른들이 신랑과 신부에게 대추와 밤을 던지는 풍습은 아들, 딸 많이 낳으라는 의미이다. 흔히 씨가 있는 대추는 아들, 씨가 없는 밤은 딸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여긴다.그런데 이런 풍습은 유사한 발음으로 새로운 의미를 전달하는 중국어의 해음(諧音)현상을 이용한 데에서 생겨난 걸로 보인다. 즉 대추를 나타내는 조(棗, zǎo)와 이를 조(早, zǎo)의 발음이 같고, 밤(栗子, lìzi)과 '자식을 세우다(立子, lì zǐ)'는 말의 발음이 같아 합치면 결혼했으니 '일찍 자식을 낳아라(早立子)'는 의미가 된다.
Q. 역사에서 구족을 멸한 사례가 실제로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구족은 삼족보다 더 넓은 9개 범주위 친족관계를 말하는데 크게 두가지 설이 있습니다. 1. 다른 성을 포함하여 부계 4대,모계3대,처당 2대를 가리킴(외조부,외조모,이모의 자녀,처족인 장인,장모,고모의자녀,자매의자녀,딸의 자녀와 자기의 동족 등) 2. 동성을 기준으로 자신부터 세어 위로 4대 고조부까지, 아래로는 4대 현손까지(고조,증조,조부,부친,본인,아들,손자,증손,현손) 1번일 경우 연결된 관계가 몇천명은 되다보니 실제로 행해진 역사가 거의 없으며 2번 역시 상당히 많은 수가 죽어나가야 하다보니 마찬가지로 구족을 멸한 예가 존재하지 않는 편입니다.